목차

프롤로그 PART 1 돈의 속성: 계속 늘어나고, 늘어나야만 한다 자꾸만 돈이 늘어나는 비밀, 3개의 수도꼭지 - 첫 번째 수도꼭지: 민간은행 - 두 번째 수도꼭지: 정부와 한국은행 - 세 번째 수도꼭지: 외국인 (서프라이징 투자 TIP 돈의 양이 늘어나면 항상 돈의 가치는 떨어지는가) 돈이 늘지 않으면, 최대의 피해자는 국민이다 - 나쁜 점을 견딜 수 있는가? - 미국, 인플레이션이 큰 문제가 되지 않는 이유 (서프라이징 투자 TIP 투자란 돈의 물결과 남의 어깨에 올라타는 일) PART 2 리스크와 포트폴리오: 변동성을 잡아내는 방법 주식과 부동산 투자에 대한 ‘의미 있는’ 질문 - 변동성과 관련된 차이 - 가격 결정의 중요한 요인 어느 순간 말려들게 되는 나락의 사이클 - 매번 실패하기만 하는 사람의 심리 - 변동성이 큰 투자는 항상 나쁜 결과를 가져온다 - 투자 수익률은 오로지 기다림에서 나온다 -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이라는 말의 의미 - 100% 내가 이기는 게임의 법칙 - 우리가 믿을 수 있는 유일한 것 (서프라이징 투자 TIP 모건 하우젤의 가상 투자 게임) PART 3 환율, 금리, 채권: 요동치는 돈의 세상 채권과 금리에 대한 세상에서 가장 쉬운 설명 - 현재의 돈과 미래의 돈 - 채권 가격과 시중 금리의 관계 채권과 금리 관계로 살펴보는 경기에 대한 판단 - 배고픈 철수는 왜 설거지까지 하려고 할까? - 중앙은행이 금리를 결정하게 놔두는 이유 요동치는 환율을 꿰뚫어 보는 시선 - 환율 변동의 주요 요인들 - 환율이 변하지 않으면 생기는 일 - 왜 전 세계 모든 국가의 금리는 동일하지 않을까 PART 4 부동산: 아파트 불패 신화의 탄생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대한민국 아파트 시장 - 정부 주도의 아파트 공급 - 허약한 시행사가 든 깃발 - 왜 우리나라 아파트는 다 똑같이 생겼을까? - 부동산 뉴스를 들을 때 생각해야 하는 것 아파트 가격 상승과 하락의 여러 요인 - 고작 ‘시멘트 덩어리’인 아파트는 왜 비싸질까? - 공급이 많으면 가격은 낮아진다 금리, 수출 그리고 집값의 비밀 - 한국이 낮은 금리를 유지할 수 있는 이유 - 그러면 못사는 나라의 집값은 쌀까? (서프라이징 투자 TIP 사실 통화량과 부동산 가격은 관계가 별로 없다) PART 5 부채: 현대 경제 시스템의 엔진 경제 문제를 해결하는 부채의 역할 - 은행의 핵심 수익 모델은? - 알고 보면 세상은 100% 부채로 구성되어 있다 - 문제의 드라마틱한 해결 내 인생을 바꿀 수 있는 좋은 부채 - 지금이냐, 10년 뒤냐? - 빚으로 미래의 시간을 사다 - 견딜 수 없는 변동성의 위험 가계 부채 때문에 대한민국은 망하는 걸까? - 공포심에 사로잡힐 필요는 없어 - 가계 부채가 많을 수밖에 없는 이유 (서프라이징 투자 TIP 정답이 없는 딜레마, 부채라는 숙명) PART 6 금융 위기: 무엇이 위기이고, 어떤 점을 관찰해야 하나? 경제와 금융, ‘위기’의 기준은 무엇일까? - 은행이 의심받는 그 순간 - 뉴스의 크기에 상관없는 위기의 시작 은행이 처해 있는 의심받는 구조 - 은행의 탄생 - 지급준비율과 자기자본비율 (서프라이징 투자 TIP 은행과 대부업, 어디가 더 나쁠까?) 미국과 한국의 사례에서 보는 금융 위기의 전개 과정 - 최초의 좋은 의도 - IMF, 환율이 만들어 낸 외환 위기 (서프라이징 투자 TIP 금융 위기가 닥쳐올 때 보이는 신호들) PART 7 잘사는 나라의 비밀: 나는 무엇을 할 것인가? 도대체 잘사는 나라는 왜 잘살게 된 것일까? - 어떻게 해야 잘사는 나라가 되는가 - 단 하나의 정답은 없다 - 제2의 대한민국이 쏟아질 수 있을까 - 하필 중국이 개혁 개방을 늦게 해서… 영국에서 살펴보는 잘사는 나라의 원인 - 나무에 목숨 걸어야 했던 영국 - 개량된 증기기관의 압도적인 효율성 - 이자가 만들어 낸 잘사는 나라의 비결 서프라이징 투자 TIP 불편한 환경의 극복 과정에서 이뤄지는 성취 부자 나라의 비밀, 결국 다시 사람으로… - 발전이 멈추고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