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v 일러두기 xvi 서론: 미적 반인지주의에서 미적 인지주의로 1 제 1 장 굿맨의 상대주의적 구성주의 11 1.1. 배경적 고찰|11 1.1.1. 유명론|11 1.1.2. 외연주의 의미론과 동의성|14 1.2. 초기 저술의 상대주의적 구성주의|29 1.2.1. <SA>의 구성주의 인식론 개요|29 1.2.2. ‘해명’으로서의 구성적 정의|42 1.2.3. <SA>의 상대주의|47 1.2.4. 논문 「세계 존재방식」의 상대주의|55 1.3. <WW>와 세계제작|59 1.3.1. 비실재론|59 1.3.2. 진리에서 옳음으로|77 1.3.3. 지식에서 이해로|93 1.3.4. 급진적 상대주의|107 제 2 장 엘긴의 불완전 절차 인식론 119 2.1. 지식에서 인지적 우수성으로|119 2.1.1. 외재주의 비판|121 2.1.2. 내재주의 비판|125 2.2. 사실과 가치의 객관적 상대성|130 2.2.1. 사실의 객관적 상대성|131 2.2.2. 가치의 객관적 상대성|136 2.3. 불완전 절차 인식론|144 2.3.1. 완전 절차 인식론 비판|145 2.3.2. 순수 절차 인식론 비판|164 2.3.3. 불완전 절차 인식론|176 제 3 장 구성주의적 예술기호론 193 3.1. 구성주의 방법과 기호론적 미학|194 3.2. 지칭: 외연주의적 기호체계의 원초|202 3.2.1. 지시|211 3.2.2. 예시|225 3.3. 재현|236 3.3.1. 지각주의 비판|239 3.3.2. 굿맨: 지시로서의 재현|258 3.3.3. 원근법의 규약성|281 3.3.4. 전통적인 항등성과 충실성 이론 비판|290 3.4. 표현|303 3.4.1. 속성으로서의 표현|305 3.4.2. 전통적인 양극 비판|311 3.4.3. 굿맨: 은유적 예시로서의 표현|318 3.5. 양식|333 3.5.1. 전통적인 두 견해 비판|333 3.5.2. 굿맨: 지칭과 서명으로서의 양식|339 제 4 장 표기법 351 4.1. 위조와 대필/자필 구분|352 4.2. 표기법의 요건|361 4.2.1. 통사론적 요건|362 4.2.2. 의미론적 요건|367 4.2.3. 지시 기호체계들의 차이|370 4.3. 예술작품 존재론|378 제 5 장 미학의 새로운 구상 387 5.1. 지칭기호로서의 예술|389 5.2. 미적 징후와 인지적 가치|402 5.2.1. 다섯 가지 미적 징후|402 5.2.2. 인지적 가치|408 5.3. 과학과 예술의 차이|413 5.4. 예술작품 해석|420 5.4.1. 비평적 일원주의에서 다원주의로|420 5.4.2. 마골리스 비판|425 5.4.3. 굿맨: 해석의 비결정성과 작품의 정체성|434 제 6 장 미적 반인지주의 비판 453 6.1. 비어즐리 비판|455 6.1.1. 예술과 명제적 진리|455 6.1.2. 예술의 미적 개념 비판|464 6.1.3. 굿맨: ‘인지’의 확대와 이해로서의 미적 경험|471 6.2. 대표적인 반인지주의 논변 비판|474 제 7 장 정서·예시·허구·은유의 인지기능 487 7.1. 정서의 인지기능|488 7.1.1. 정서의 인지적 기여|489 7.1.2. 미적 경험과 정서의 인지기능|495 7.2. 예시의 인지기능|501 7.2.1. 예시와 이해|502 7.2.2. 예시의 인지적 효율성|508 7.2.3. 예시체계와 예술의 비결정성|515 7.3. 허구를 통한 세계이해|521 7.3.1. 사실 내 허구와 이해증진|524 7.3.2. 허구의 사실에 대한 피드백|534 7.4. 은유의 인지적 지위|536 7.4.1. 비교이론 비판과 은유적 인지|538 7.4.2. 은유적 의미와 은유적 진리|542 7.4.3. 은유의 인지적 유용성|553 제 8 장 예술 인지주의와 예술교육 561 8.1. <프로젝트 제로> 설립|562 8.2. 기호이론과 새로운 예술교육|565 8.3. <프로젝트 제로> 초기 연구|569 8.3.1. 1970년대 연구의 주요 사례|571 8.3.2. 1980년대 예술발달 논의 개요|577 8.4. 교육적 함축|580 8.4.1. 예술교육 방법|580 8.4.2. 예술교육 실제|583 8.4.3. 예술교육 연구의 정당성|586 제 9 장 반론과 옹호 591 9.1. 별의 논쟁|591 9.1.1. 굿맨과 쉐플러의 논쟁|591 9.1.2. 굿맨 옹호|603 9.2. 예시 논란|611 9.3. 예술작품 정체성(1)|618 9.4. 예술작품 정체성(2)|623 참고문헌|629 찾아보기|645 Abstract|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