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시작하는 글 왜 서양철학을 배우고 익혀야 할까? Chapter 1 세계는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고대 그리스철학에서 중세 신학까지 01 소크라테스 왜 겸손해야 할까? _ 무지의 지 질문은 왜 중요한가? _ 대화법 02 플라톤 왜 현실을 의심해야 할까? _ 이데아 사랑이란 무엇인가? _ 에로스 03 아리스토텔레스 사물은 어떻게 발전하는가? _ 4원인설 최고의 선택이란? _ 중용 04 아우구스티누스 그리스도교와 철학의 관계는? _ 이원론적 세계관 교회란 무엇인가? _ 은총론 05 토마스 아퀴나스 중세 시대는 철학을 어떻게 받아들였을까? _ 목적론적 세계관 신이란 무엇인가? _ 존재의 유추 칼럼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자들 48 Chapter 2 인간을 생각하다 르네상스 시대에서 근대 초기까지 06 마키아벨리 진정한 리더십이란? _ 마키아벨리즘 어떤 정치 체제가 바람직한가? _ 공화정 07 몽테뉴 인간은 왜 목표가 필요할까? _ 모럴리스트 나는 무엇을 알고 있는가? _ 크 세주 08 파스칼 생각한다는 것은 무엇일까? _ 기하학적 정신과 섬세한 정신 인간과 식물의 차이점은? _ 생각하는 갈대 09 데카르트 결코 의심할 수 없는 것은 무엇일까? _ 방법적 회의 마음과 몸은 별개일까? _ 심신 이원론 10 스피노자 신과 자연의 관계는? _ 범신론 몸과 마음은 하나라고 할 수 있을까? _ 심신 평행론 11 라이프니츠 이 세상을 구성하는 원리는? _ 모나드 사물이 존재하는 이유는? _ 충족 이유율 12 홉스 절대 권력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_ 리바이어던 국가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 _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 13 베이컨 어떻게 편견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_ 우상 일반법칙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_ 귀납법 칼럼 르네상스가 인간에 주목한 이유 100 Chapter 3 이성의 한계를 규명하다 영국 경험론과 대륙 합리론의 대립에서 독일 관념론까지 14 로크 관념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_ 타불라 라사 자연권이란 무엇인가? _ 자연권 15 버클리 지각이란 무엇인가? _ 지각의 일원론 만져 본 것은 존재하는가? _ 주관적 관념론 16 흄 인간의 감정이란? _ 정념 자아란 무엇인가? _ 지각의 다발 17 루소 모든 국민이 함께할 수 있는 의지가 있을까? _ 일반의지 문명사회는 좋은 사회일까? _ 문명사회 18 몽테스키외 정부의 바람직한 형태는? _ 정체 구분론 권력은 누가 장악해야 하는가? _ 삼권분립설 19 칸트 인간은 무엇이든지 알 수 있을까? _ 물자체 옳고 그름의 판단은 무엇에 기초하는가? _ 선의지 20 피히테 내가 먼저인가, 사물이 먼저인가? _ 사행 절대적 자아란? _ 자아와 비아 21 셸링 자연이란 무엇인가? _ 자연 주관과 객관은 별개인가? _ 동일철학 22 헤겔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_ 변증법 인간은 어디까지 똑똑해질 수 있을까? _ 절대지 칼럼 이성은 절대적일까? Chapter 4 나의 존재란 무엇인가? 19~20세기, 현상학과 실존철학 23 쇼펜하우어 번뇌에서 벗어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_ 의지와 표상 동정이란 무엇인가? _ 동정 24 키르케고르 절망이란 무엇인가? _ 절망 어떻게 하면 자신의 본래 모습을 되찾을 수 있을까? _ 실존의 세 가지 단계 25 니체 강하게 살아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_ 위버멘쉬 인간을 움직이는 힘은? _ 힘을 향한 의지 26 베르그송 시간이란 무엇인가? _ 순수 지속 인간은 어떻게 진화하는가? _ 엘랑 비탈 27 후설 세계를 다른 관점에서 보는 방법은? _ 현상학적 환원 판단을 멈춘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_ 에포케 28 하이데거 인간의 근원적인 삶이란? _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