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표

프랑수아 케네 · 경제서
162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목차

경제표 ······················1 경제표 설명 ··················5 쉴리 공의 왕국경제 교본 ············20 경제표 분석 ···················57 주요 논평 ···················71 부록 1: 1758∼1759년판 경제표 해설 ········91 부록 2: 제1판 경제표 ···············111 부록 3: 제2판 경제표 ···············119 해설 ······················129 지은이에 대해 ··················156 옮긴이에 대해 ··················160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농업자본을 바탕으로 한 사회를 가정하고, 혈액의 순환에 빗대어 경제의 순환을 설명한 최초의 과학적 경제서다. 현대 경제학에 비하면 초보적이고 논리적 오류가 있기는 하지만, 후에 마르크스의 재생산표식과 레온티예프의 산업영향표에 큰 영향을 끼쳤다. 상세하고 친절한 해설과 주석이 있어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다. 가장 위대하고 독창적인 사상가 경제학설사에서 재생산론이 그 자체로서 최초로 제시된 것이 ≪경제표≫다. 프랑스의 의사 출신 경제학자인 프랑수아 케네는 인체의 혈액순환에서 힌트를 얻어 이 책을 썼다. ≪경제표≫는 ‘자본주의적 재생산에 대한 최초의 체계적 파악’을 이루는 중농주의 학설에서 핵심적 지위를 점하면서, 경제 전반의 재생산과 유통의 문제를 둘러싼 이론사에서 그 출발점을 이루었다. 그 파악의 예리함과 대담함 때문에 훗날 조지프 슘페터는 케네를 ‘가장 위대하고 독창적인 사상가’로 평가했다. 케네 이후 경제학사에서 재생산론의 확립은 마르크스로 이어졌다. 마르크스는 ≪케네의 경제표 연구≫에서 출발했고, ≪나의 경제표≫를 가치론과 잉여가치론 위에 재구성했다. 마르크스의 수식 성립은 한 사회의 재생산 구조를 ‘표’가 아니라 ‘표식’으로 파악하게 해서 재생산표식이 성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스핑크스의 수수께끼 경제를 과학으로 파악했다는 점에서 중농학파인 케네의 ≪경제표≫는 경제학 발달에 특히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자세히 살펴보면 ≪경제표≫에 관한 설명이 혼란스럽고 일관되지 못한 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엥겔스는 이 책을 “스핑크스의 수수께끼”라고 언급했다. 그는 “사람들이 아는 바와 같이 케네는 ≪경제표≫에서 수수께끼 하나를 남겼지만, 지금까지 어떤 경제학 비평가와 학설사가도 이것을 감당할 수 없었다”고 했다. 이는 케네와 미라보의 설명이 명쾌하지 않고, 그들의 설명에 근거해서 일관된 이미지를 갖는 것조차 곤란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농업과 상공업이 고루 발전해야 한다는 그의 생각은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에서 되풀이되었고, 경제 발전 이론에서 오늘날까지 농공병진정책으로 이어진다. 또한 국민의 번영이 국가의 번영과 국가 안보의 기초를 이룬다고 보았고, 농업이나 상업에 독점이나 초과 수익이 있어서는 안 되며, 하층민의 소득이 높아져야 사회의 소비가 늘어난다고 보았다. 따라서 다시 사회 전반의 재생산과 수입이 늘어나는 선순환형 발전을 이룰 수 있다는 생각은 그의 사상이 국가경제론이 아니라 국민경제론임을 알게 한다. 여기에 단순한 추상이 아니라 구체적인 사례에 대한 실증적 계산을 통해 현실을 정확하게 파악하려 하는 그의 관점은, 경제에 동물의 생체를 적용해 분석함으로써 실증적 과학으로서의 기초를 제시했다. 이렇게 해서 그의 사상은 애덤 스미스와 고전학파, 마르크스경제학 등에 영향을 주었고, 지금까지도 유효한 의의를 갖고 있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