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윤영의 청소년 건축 특강

서윤영 · 역사
180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3.0
평균 별점
(1명)
코멘트
더보기
[운영] 해피엔드 선착순 2,000 캐시백_보드배너[운영] 해피엔드 선착순 2,000 캐시백_보드배너

일제가 한국인의 민족성을 말살하려고 훼손한 경복궁, 창경궁, 덕수궁 등 조선의 궁궐들과 식민지 지배를 위해 지은 조선총독부, 조선 신궁, 경성제국대학 등 열 가지 건축물에 관한 이야기를 담았다. 해방 이후 일제가 지은 건축물을 청산하는 과정을 청소년 눈높이에서 쉽게 알려 준다. 일제 강점기를 건축으로 살펴본 이 책은 한국 근현대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건축이 당시 시대 상황과 어떻게 맞물려 작용했는지 알려 주고 있다. 건축가가 되고 싶거나 건축의 역할이 무엇인지 궁금해하는 청소년들에게 건축을 인문학적으로 이해하는 데 있어 좋은 길잡이가 될 수 있다.

디즈니+ 단독 스트리밍

스탠다드 멤버십 월 9,900원

디즈니+ · AD

디즈니+ 단독 스트리밍

스탠다드 멤버십 월 9,900원

디즈니+ · AD

저자/역자

목차

머리말 일제 강점기 건축은 당시 시대 상황과 어떻게 맞물려 있을까? 1부. 일본의 침략과 조선의 궁궐 1. 20세기 일본 제국주의의 특징 유럽 식민지 vs 일본 식민지 유럽을 모방한 일본식 건축 일본 근린 제국주의의 한양 지우기 군사 제국주의 2. 산업 박람회장이 된 경복궁 경복궁 중건과 아관파천 경복궁에서 개최된 조선 물산 공진회 흥례문을 헐어내고 총독부를 짓다 다시 시민의 품으로 3. 미술관이 된 덕수궁 경운궁 중건과 한성 개조 사업 우리나라에 지어진 최초의 서양식 궁전 덕수궁 앞에 들어선 경성부 청사 미술관이 된 덕수궁 서울도서관이 된 경성부 청사 4. 동물원이 된 창경궁 순종 즉위와 창덕궁 창경궁은 왜 ‘창경원’이 되었나? 제관 양식으로 지은 ‘이왕가 박물관’ 창덕궁-조선의 역대 왕들이 가장 오래 머물렀던 공간 부. 민족성을 말살하는 일제의 건축물 5. 함춘원과 성균관의 수난 창경궁 후원에 세워진 대한의원 성균관의 교육 기능을 없애다 일본의 여섯 번째 제국대학, 경성제대 대학의 거리가 된 봄의 정원 6. 민족성을 말살하는 조선 신궁 일제의 유화 정치와 신궁 건립 조선 신궁과 경성 신사 전국 거점 도시에 들어선 일본 신사 전시 체제기 호국 신사의 등장 7. 이토 히로부미 추모 사찰, 박문사 별기군 해체 후 들어선 경성운동장 장충단의 이토 히로부미 추모 사찰 의류 디자인 중심지 동대문 3부. 건축으로 보는 일제 잔재 청산 8. 종로에서 명동으로 바뀐 상권 선혜청과 육의전 은목전이 세운 은행, 광통관 식민지 경제의 두 축-은행과 백화점 해방 후 찾아온 변화 9. 경제 수탈의 출발지, 경성역 산업 혁명과 식민 지배의 상징-철도 군사 기지의 도시, 용산의 성장 도시 구조를 바꾼 식민 지배 한반도를 가로지르는 철도 중심지-경성역 금단의 땅에서 시민의 공원으로 10. 해방 후 일제 건축의 청산 한국 재벌의 일제 잔재 독재 정권의 ‘일본 따라 하기’ 70여 년이 걸린 일제 잔재 청산

출판사 제공 책 소개

한국인의 민족성을 말살하려 한 일제의 건축물 이야기 왜 경복궁 앞에 조선총독부를 지었나? 왜 창경궁을 동물원으로 만들었나? 왜 덕수궁을 미술관으로 만들었나? 왜 남산에 신궁을 지었나? 왜 성균관 앞에 경성제국대학을 세웠나? 왜 장충단에 이토 히로부미의 추모 사찰을 지었나? 이 책은 일제가 한국인의 민족성을 말살하려고 훼손한 경복궁, 창경궁, 덕수궁 등 조선의 궁궐들과 식민지 지배를 위해 지은 조선총독부, 조선 신궁, 경성제국대학 등 열 가지 건축물에 관한 이야기를 담았다. 해방 이후 일제가 지은 건축물을 청산하는 과정을 청소년 눈높이에서 쉽게 알려 준다. 일제는 조선의 궁궐들 대부분을 훼손했는데, 경복궁은 흥례문과 전각들을 허물고 조선총독부를 지었고, 덕수궁은 미술관으로, 창경궁은 동물원으로 만들었다. 태조 이성계와 단군 왕검을 모시는 국사당이 있는 남산에는 일본 신과 메이지 일왕을 기리는 조선 신궁을 지었고, 조선의 최고 교육 기관인 성균관은 교육 기능을 없애고 그 앞에 경성제국대학을 만들었다. 고종이 군인들의 희생을 기리려고 만든 장충단에는 한국 침략의 원흉인 이토 히로부미를 추모하는 사당을 지었다. 대한제국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환구단을 허물고 그 자리에 일본인이 묵는 조선 철도호텔을 지었고, 대한제국의 최초의 근대적 사법 시설인 평리원을 허물고 그 자리에 경성재판소를, 독립문 근처 독립공원 자리에는 서대문 형무소를 지었다.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을 했던 투사들은 경성재판소에서 재판을 받고 서대문 형무소에 감금되었다. 한편 일제는 한국을 군사적으로 제압하며 중국과 만주로 뻗어 나가기 위한 병참 기지로 만들었다. 일본에 대한 애국심을 고취하기 위해 전국에 일본 왕들을 신격화하고 모시는 신사를 세우고 한국인에게 신사참배를 강요했다. 당시 일제는 일본은 물론 한국에도 관청이나 학교, 백화점, 호텔 등을 17~18세기 유럽에서나 봄 직한 형태로 지었다. ‘탈아입구(脫亞入歐)’라 하여 아시아에서 벗어나 유럽이 되기를 원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의식주 생활 전반에서 빠르게 유럽식을 받아들였고, 이를 한국에도 그대로 적용했다. 일제가 훼손한 궁궐들을 지금도 복원하고 있으며, 일제가 지은 조선총독부는 해방 이후 중앙청과 박물관으로 사용하다가 50년 만에 철거했다. 일제의 주요 건축물 중 철거되지 않고 남은 건물들은 박물관이나 역사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일제 강점기를 건축으로 살펴본 이 책은 한국 근현대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건축이 당시 시대 상황과 어떻게 맞물려 작용했는지 알려 주고 있다. 건축가가 되고 싶거나 건축의 역할이 무엇인지 궁금해하는 청소년들에게 건축을 인문학적으로 이해하는 데 있어 좋은 길잡이가 될 수 있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