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살아 있으면 살아집니다 1장 혼자만의 아픔, 소외되는 우리 우리는 혼자라서 더 아프다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한 아픔 코로나19, 이것은 트라우마 상황이다 힘들 때, 누가 내 곁에 있어줄 것인가 갈수록 커지는 정신건강의 격차 사회가 아프니까 나도 아프다 마스크에 갇히면서 잃어버린 것 이것은 타인의 고통이 아니다 정서폭력이 난무하는 사회 억울해서 병난다, 울분 넘치는 사람들 고통에는 소멸시효가 없다 아픔을 대하는 태도가 그 사회의 수준 사람의 생명에도 값이 있을까? 고통의 곁에 선다는 것 2장 존중받지 못한 아픔들 고통이 몸과 마음에 남긴 흔적 트라우마, 마음의 화상을 입다 고통을 기억하는 몸 즐거움과 친밀감을 잃어버리면 상처를 부추기는 것들 : 편견, 혐오, 무지, 막말 고통에서 의미를 찾지 못하면 나쁜 기억은 더 강화된다 현재를 살아가지 못하는 사람들 참혹한 현장을 가장 먼저 만나야 하는 고통 : 소방관의 트라우마 수치심과 맞닥뜨려야 하는 고통 : 성매매 경험자의 트라우마 끔찍한 순간을 혼자 감당해야 하는 고통 : 지하철 기관사의 트라우마 목숨을 걸고 위험과 마주해야 하는 고통 : 산업재해와 트라우마 우리가 꼭 기억해야 할 사회적 트라우마 내가 안전하지 않다는 항시적 불안감 : 성수대교 붕괴 참사 전쟁 이후 가장 많은 생명을 잃은 날 : 삼풍백화점 붕괴 참사 한 번의 방어막이라도 작동했더라면 : 대구지하철 화재 참사 두려움과 죄책감 속에 사는 고통 : 천안함 피격 참사 우리 모두가 집단 트라우마에 빠진 날 : 세월호 침몰 참사 3장 ‘우리’라는 빛을 찾아서 - 과거에서 빠져나와 현재를 살아가려면 - 고립은 병을 부른다 - 몸이 움직이면 마음도 움직인다 - 죽었던 마음이 다시 살아날 때 - 애착, 모든 것의 원인이자 해결점 - 이제는 심리자본을 쌓아야 할 때 - 우리가 함께 울면 아픔도 힘이 된다 - 아픔이 아픔을 위로한다 - 돌봄이란 서로를 의지하며 사는 것 - 외상 후 성장이 아니라 성숙이다 - 건강은 개인적이면서 사회적인 것 - 우리가 연결될 때, 삶은 더 단단해진다 - 고통의 곁에 우리로 살기 위하여 에필로그 ‘빛’은 어둠을 살린다 특별대담 함께의 삶은 쉽게 무너지지 않는다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