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팬데믹을 극복하기 위한 인문학적 노력
1부 코로나 이전
1장 세계를 바꾼 전염병
흑사병 없이는 ‘로미오와 줄리엣’도 없었다
로마황제도 피해갈 수 없었던 대역병
역사의 변곡점이 된 흑사병
흑사병이 자본주의를 열었다?
2장 인간의 탐욕을 이용해온 전염병
‘마르세유 페스트’는 인재다
맬서스 트랩 vs. 페스트 트랩
호모 이코노미쿠스의 출현
몽테스키외는 ‘맬서스 트랩’을 알았을까
2부 코로나 시대
3장 마스크는 보건용품이자 정치의 장이다
미국인이 마스크 착용을 기피하는 이유
마스크 잔혹사
마스크의 정치학
한국인 마스크 착용의 사회심리학
4장 코로나 블루와 ‘고립된 나’의 재발견
예배당이 바이러스의 온상이 되다
자기만의 방
코로나 블루와 ‘고립된 나’
타인이 지옥
타인을 위한 존재로서 ‘고립하는 나’
5장 약한 고리를 노리는 코로나
짐바브웨의 금수저와 한국의 취약계층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사회적 면역력이 낮은 계층에게 더 가혹한 코로나 시대
사회보험이라는 면역
6장 팬데믹이 창궐하면 인포데믹도 기승을 부린다
팬데믹 못지않게 무서운 인포데믹
바이러스처럼 인포데믹도 변이한다
언론 상업화와 ‘직접언론’
혐오와 무지를 먹고 자라는 인포데믹
7장 팬데믹 극복만큼이나 시급한 기후 위기 대응
위생에 필수품이 되어버린 일회용품
‘지평의 비극’을 부술 수 있을까
Z세대는 세계시민으로 각성할 수 있을까
8장 팬데믹 시대, 세계화는 멈출 것인가
자본의 세계화, 바이러스의 세계화
탈세계화와 역세계화
새로운 세계화를 모색할 때
고통을 분담하는 세계시민주의
9장 ‘콘택트’ 없는 ‘언택트’는 디스토피아
코로나로 기회 잡은 쿠팡
대세로 자리 잡은 브이커머스
얼굴인식으로 물건 사는 세상
드론에서 엿보이는 언택트의 딜레마
비대면 세계의 등장
언택트라는 콘택트
나오며-포스트 코로나 시대, 인류는 무엇을 희망해야 하는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