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우리는 시의 말이 증언하는 저 알려지지 않은 시간의
‘어디에선가’, 어떻게든 다시,
만날 수 있을 것입니다”
한국 현대 시의 고유명사, 문학과지성 시인선의
반세기에 가까운 언어적 모험의 역사를 기념하는
600호 ‘시의 말’
반세기 가까이 언어적 모험을 이어오며 한국 현대 시의 고유명사로 자리매김한 문학과지성 시인선이 지닌 고유한 특징은 시집을 마무리하는 지점에서 다시 등장하는 또 하나의 ‘새로운 글’에서도 발견될 수 있습니다. 600호 시인선을 기념하여 지난 500번대 시집의 뒤표지에 담긴 글들을 묶으면서 시나 산문이라는 익숙한 이분법으로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 이 독특한 위치의 글쓰기를 우리는 이제 새로운 이름으로 정의합니다. ‘시의 말’은 미지로 나아가는 말의 운명을 시험하며 씌어진 글입니다. 이 뜻깊은 작업을 통해 시적 언어의 탄생과 연관된 중요한 통찰로 이어지는 귀한 시간을 독자와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앞날개, ‘시집 소개글’
■ 시인이 말하는 ‘문학과지성 시인선’(출처:『문학과사회』 2024년 봄호)
600권의 시집은 최근 45년간 우리 시가 걸어온 길을 보여주는 지도 같다._김기택
문지 시인선은 여전히 전위의 정점과 깊이의 최전선을 호명하고 포용한다. 출발이 그랬던 것처럼 지금까지도 시를 가장 우위에 둔다. 다른 요소와 순위를 바꾸지 않는다. 그것이 문지 시인선의 힘이고 역사이고 고유성이다. 시인도 독자도 그걸 안다. _이원
말하자면 문지 시인선은 한국 시의 변화를 추동해왔으면서 동시에, 시인선 자체가 시대적 변화의 성실한 반영인 셈이다……_이장욱
문학과지성 시인선으로 선보여온 600권의 시집은 특정 출판사의 시적 이력을 넘어 1970년대 이후 한국 현대 시의 역사를 상징적으로 대변한다_김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