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역자의 말 1 소설 속에 나타난 생존자 살아남기 위한 투쟁 |《페스트》|《누명 쓴 사람》|《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연옥》|《암병동》 2 증인이 되기 위하여 살아남아 말해야 한다 | 죽은 자와의 약속 | 힘의 논리를 고발한다 3 배설물의 공격 배설에서 야기되는 참상 | 배설물에 의한 고문 | 정신력을 말살하는 것이 목표 | 몸을 씻지 않는 사람부터 죽었다 | 배설물과의 접촉에서 받는 충격 | 악의 상징으로서의 오물 4 악몽과 현실 유일한 도피처 | 더 이상 살아 있고 싶지 않다 | 휴머니티의 신뢰에 대한 배신 | 비인간적인 솔직성에 대한 자각 | 걸어 다니는 시체들 | 수렁 속에서 의지를 되찾는 섬광 같은 힘 5 죽음 속의 삶 살아남기 위한 두 가지 처방 | 협력과 저항 속의 생존 | 두 가지 용어-‘조직한다’와 ‘캐나다’ | 암시장 | 훌륭한 보직 | 삶의 연대의식 위에서 | 정보수집과 저항운동 | 죽음의 전략적 이용 | 약속도 보상도 필요 없는 도움 | 선물, 무언가를 줄 수 있다는 기쁨 | 빵의 법률, 생존을 위한 응징과 질서 6 우리와 그들 수용소에서의 행위에 대한 정신분석 | 영웅주의에 대한 오해 | 고통을 통한 인간의 재생 | 지옥에 대한 잠재의식 | 종말적 이미지의 극복 7 우리 시대의 예언자 철저한 빼앗김 | 추억과 희망을 버려라 | 성욕의 상실 | 생명의 선천적 잠재능력 | 바이오그램-생물학적 내면 구조 | 집단에의 경보 | 생명의 상향운동 | 문화와 죽음의 상관관계 | 아직은 절망할 때가 아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