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글 : 당신의 첫 목욕은 언제였나요? 1부. 세계 목욕의 역사 1 문명의 시작점에서 함께하다 : 모헨조다로와 고대 그리스의 목욕 문화 2 테르마이, 뜨거운 곳 : 고대 로마의 공중목욕탕 3 더러운 것이 성스러운 것이다 : 초기 기독교의 목욕관 4 탕이 없어도 목욕을 할 수 있을까? : 이슬람의 공중목욕탕, 하맘 5 생겼다가 또 다시 사라진 목욕탕 : 십자군 전쟁 이후의 유럽 6 목욕, 명예를 회복하다 : 유럽 신흥 계층의 등장 7 셜록 홈스는 목욕이라면 사족을 못 썼다 : 산업 혁명과 도시화 8 깨끗함을 새로운 정체성으로 삼다 : 북미의 목욕 문화 9 영혼을 담은 증기를 쐬다 : 핀란드의 사우나 10 영혼을 정화하는 축제 : 인도의 쿰브 멜라 11 비슷하지만 다른 : 일본의 센토 2부. 한국의 목욕 문화 1 목욕으로 죄를 대신 갚다 : 삼국 시대의 목욕 2 개울에서 몸을 씻다 : 고려의 목욕 3 알몸을 보이는 것은 예가 아니다 : 조선의 목욕 4 온천을 찾는 자에게 큰 상을 내릴 것이다 : 조선의 온천 5 가장 가까이 있는 치료소 : 조선의 한증 6 약물로 몸을 씻어 건강을 기원하다 : 민간의 세시 풍속 7 씻지 않음은 곧 미개함이다 : 구한말의 위생 관념 8 기차 타고 온천 나들이 : 일제 강점기 목욕탕과 관광 9 차별과 감시의 공간 : 일제 강점기 조선인의 목욕탕 3부. 공중목욕탕과 현대 한국 사회 1 우리에게 필요한 건 테레비보다는 목욕탕: 공중목욕탕의 보급 2 너희 집에는 욕조 있어? : 주거 형태와 욕실의 변화 3 오르기만 하고 내려오진 않아 : 목욕탕 이용 요금 변천사 4 이 수건은 훔친 수건입니다 : 공중목욕탕 이용 예절 5 유흥과 사치의 공간이 되다 : 강남 개발과 고급 사우나 6 집 같지만 집 아닌 장소 : 한국인과 찜질방 7 누구나 때가 있다 : 때밀이와 이태리타월 8 서울은 네모, 경상도는 둥글 : 환경오염과 목욕탕 굴뚝 9 목욕탕은 추억으로 남아 : 동네 목욕탕과 느슨한 공동체 나가는 글 : 목욕은 지속될 수 있을까 주 이미지 저작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