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내일 지구의 종말이 온다고 해도 나는 오늘 한 그루의 사과나무를 심겠다.” 우리에게 스피노자는 생각보다 잘 알려져 있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가 철학자라는 걸 알아도 어떤 철학을 했는지 잘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하지만 위 명언을 스피노자가 남겼다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물론 요즘 이 명언을 누가 처음 말했느냐를 놓고 스피노자 외에 다른 사상가의 이름이 거론되기도 합니다. 만약 이 말을 스피노자가 했다면 어떤 이유로 했을까요? 이 문장을 대하는 모든 사람은 가장 먼저 자유와 안락함을 느낍니다. 내일 지구의 종말이 온다는 너무나 다급한 상황 속에서도 우리는 사과나무를 심는 자유와 편안함을 그 속에서 찾습니다. 또 다른 의미가 있다면 자연 앞에 무기력한 인간의 모습입니다. 지구의 종말이라는 자연법칙 앞에 인간이 할 수 있는 일은 아무 것도 없다는 나약함을 보여 주기 때문입니다. 스피노자는 유대인이었지만, 유대교의 파문을 받고 유대인과 가까이하지 못했던 철학자입니다. 유대교라는 거대한 조직 앞에 아무것도 할 수 없었던 나약한 한 명의 철학자였습니다. 하지만 그 철학자는 너무나 편안합니다. 너무나 자유롭습니다. 이것이 스피노자가 원했던 삶이 아니었나 생각해 봅니다. 파문을 당한 후 스피노자는 어떤 유대인과도 교류를 할 수 없었습니다. 네덜란드 정부도 유대인의 편이었습니다. 유일하게 네덜란드의 법만이 스피노자의 편이었습니다. 그 좋은 본보기가 바로 아버지의 유산 문제로 여동생과 다투었을 때 스피노자의 손을 들어 준 네덜란드 법정이었습니다. 법이 자신의 편임을 안 스피노자는 법의 판결과 달리 그 유산을 모두 동생에게 양보합니다. 스피노자는 여기서 법을 하나의 자연법칙이라고 본 것 같습니다. 자연법칙과 같은 법의 중요성을 안 스피노자는 법 안에서의 자유와 안락함을 추구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이후로 외적인 모든 활동을 중단합니다. 심지어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의 철학 교수 초빙도 ‘자유의 침해’라는 이유로 정중하게 거절합니다. 오랜 시간 동안 많은 학문적 업적을 남겼지만, 우리에게 잘 알려진 저서는 『윤리학(에티카)』입니다. 『윤리학』은 전지전능한 신의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파문당한 스피노자는 이 전지전능한 힘을 가진 신을, 어디에도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다루고 있습니다. 그 이유를 우리는 스피노자의 자유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유와 평안 역시 궁극적으로는 자연법칙 안에 존재합니다. 스피노자도 이것을 알았기 때문에 그 관계를 설정하기 쉽지 않았을 것입니다. 우리가 『윤리학』을 어렵다고 느끼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스피노자가 이를 수학적 공식처럼 풀어서 더 어렵게 느껴집니다. 하지만 공식만 이해하면 수학이 쉬워지듯이, 스피노자의 『윤리학』도 그 체계만 이해하면 아주 쉽게 읽을 수 있습니다. 『스피노자의 《윤리학》 읽기』의 장점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수학적 공식을 말로 쉽게 풀었기 때문에, 보다 편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독자 여러분도 이 책과 함께 스피노자처럼, 자연법칙 안에 존재하는 무기력함, 그리고 그 속에서 우리에게 주어진 큰 자유와 편안함이 무엇인지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편집자의 말 “우리는 어떻게 행복해질 수 있을까?” 인류의 탄생과 함께 지금까지 이어져 온 질문이다. 행복의 조건에는 무엇이 있을까? 돈, 명예, 맛있는 음식, 안락한 집, 가족, 연인과의 사랑 …. 어떤 사람은 현실적인 삶의 조건이 행복을 준다고 말하고, 어떤 사람은 정신적?종교적 깨달음이 행복을 준다고 말한다. 같은 질문에 스피노자는 ‘덕을 실천하는 것이 바로 행복’이라고 답한다. ‘행복’은 착한 행동의 보상으로 주어지는 게 아니었던 걸까? “신(神)과 행복이 무슨 상관일까?” 처음 『윤리학(에티카)』를 읽는 사람들은 당황하기 일쑤다. 제목만 보면 도덕 교과서 같지만, 내용은 전혀 딴판이기 때문이다. 스피노자는 많은 분량을 할애하여 ‘신’을 인식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주변의 모든 사물, 심지어 ‘나’와 ‘너’에게 깃든 신의 모습을 발견하고자 노력한다. 이런 신에 대한 생각이 어떤 행복을 줄 수 있다는 걸까? 또 어떤 도덕적인 마음을 갖게 한다는 걸까? “자유와 사랑, 신과 사물, 그리고 행복을 향하여” 이 같은 질문을 받은 스피노자는 다소 복잡하고 난해해 보이는 수학적 방법으로 ‘신’의 존재를 증명해 나간다. 그 논리적인 흐름을 따라 신이 어떻게 존재하는지, 모든 사물이 어떤 원인을 갖고 있는지, 그래서 우리에게 어떤 자유가 주어지는지 차근차근 설명한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우리에게 생소할 수 있는 수학적 해법을 말로 풀어 이해를 돕고 있다. 모두가 ‘개인’을 생각하는 현대사회에 ‘윤리’와 ‘행복’이란 단어는 낯설기까지 하다. 하지만 시대를 관통하여 추구해야 할 가치가 있는 법이다. 우리는 『스피노자의 《윤리학》 읽기』와 함께 스피노자가 말하는 ‘가장 순수한 윤리’와 이로써 얻어지는 ‘진정한 행복’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