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 미학의 열정, 감성적 인간학 책의 출발과 출간 동기 | 철학의 욕망 | 미학의 열정과 감성적 인간학 제1부 감성적 인간학을 향하여 1. 미학을 향한 열정 2. 인간다운 삶을 위한 미적 체험과 예술 3. 감정의 인간학, 미학을 위한 현상학적 방법 4. 미학적 사유의 두 원형 : 이상적 형상과 감동적 설득 제2부 서양 미학사의 거장들 고대와 중세 시기 1. 플라톤 : 시와 예술에 관한 성찰의 시조 시적 모방의 매혹과 위험성 | 대화편 『심포지온』에 나타난 시와 철학의 대결 2. 아리스토텔레스 : 시적 서사에 관한 최초의 예술철학 시적·예술적 모방의 복권 | 시적 서사의 가치와 철학적 평가 3. 플로티노스 : 빛과 형상의 감각적 힘의 긍정 미를 통한 영혼의 고양 | 일자의 형이상학과 살아 있는 형상의 미학 4. 중세 미학 개괄 : 빛, 비례, 내면성을 통한 신성의 계시 기독교 신앙과 현세적 삶의 긍정 | 신이 창조한 우주의 완전성, 개별자의 내면성, 빛의 미학 르네상스와 근대 초기 5. 알베르티 : 르네상스의 실천적 기예가의 초상 르네상스적인, 너무도 르네상스적인 | 통합적이며 실천적인 예술 이론 | 알베르티의 교훈 6. 섀프츠베리 : 내적 창조성을 통한 윤리적 미학 성격의 인상학 | 제2의 성격과 예술적 기호 | 창조적 형상과 열광적 관조의 미학 근대 미학의 시기 7. 바움가르텐 : 시적 진실을 위한 미학의 주창자 감성적 인간의 복권 | ‘펠릭스 에스테티쿠스’, 새로운 인간성의 이상 8. 레싱 : 예술적 감동을 정당화하는 유럽적 지성 유럽적 지성의 표상 | 동정심의 미학, 혹은 예술적 감동의 정당화 | 예술적 가상의 자율성 | 『라오콘』의 기호론적 예술 장르론 9. 하만 : 살아 있는 감각과 역사를 위한 신학적 미학 비주류 아웃사이더이자 ‘불편한’ 비판가 | 결핍과 욕망의 인간학 | 역사적이며 실존적인 언어철학 | 『껍질 속의 미학』, 영원한 신학적 미학 10. 헤르더 : 감각주의적인 인간학과 역사적 형성의 미학 감각주의적이며 역사적인 인간학 | 역사적 형성의 철학 | 아래로부터의 미학 | 『조각론』의 신체 현상학과 미학 11. 칸트 : 시민 문화의 통합을 위한 심미적 판단력의 정초 유한한 인간의 한계와 가능성 | 미적 경험에 대한 정교한 해명과 시민 문화의 통합을 향하여 12. 실러 : 전인적 인간의 실현을 향한 실천적 미학 전인적 인간, 유희하는 인간 | 이상적 정치 공동체를 향한 미적·예술적 교육 13. 헤겔 : 역사적 예술철학을 통한 작품미학 문화적 총체성 속의 예술 | 역사적 예술철학의 시도 현대 미학의 시기 14. 피들러 : 예술가의 작업에 대한 명증한 변호 감성적 지각의 탐구 | 예술적 이미지의 자율성과 정신성 | 독창적인 이미지의 철학 15. 니체 : 삶의 창조성을 긍정하는 생철학적 미학 생철학적 전환과 현대성 비판 | 삶을 긍정하고 문화를 혁신하기 위한 예술 | 엄격한 예술비평의 이념 16. 하이데거 : 기술적 사유를 극복하는 예술적 진리 어두운 과거의 사상가 | 현대 철학의 기린아이자 전환점 | 기술 중심적 사유를 거스르는 진리 사건으로서의 예술 17. 벤야민 : 인간학적 유물론의 미학 역사철학적 이념론과 사유 이미지들의 성좌 | 예술과 매체의 역사적 구제 18. 아도르노 : 개별자의 에토스를 옹호하는 예술철학 참된 애도의 정치학 | 비동일성의 사유 | 변증법적 사유의 예술철학 19. 메를로-퐁티 : 몸과 세계의 공생적 소통 신체 현상학과 사유의 전환 | 몸-세계의 공생적 소통을 표현하는 예술의 의미 20. 리오타르 : 포스트모던 시대의 숭고의 미학 기만적 환상의 끝과 포스트모던 시대 | 전위적 예술의 도전, 혹은 숭고의 미학 읽을거리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