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머리말: 도서관에서 만난 바르트와 사랑에 빠지다 I. 작품은 수용자의 몫 1. 자연을 ‘모방’하는 ‘천재’ 작곡가 고대 예술의 미학적 토대가 된 자연 모방 이론 │ 음악으로 구현한 황금비율 │낭만주의적 감정미학의 출현 2. 살아 있는 유기체로서의 작품 전체론에 입각한 유기체론 │ 쉥커가 제안한 조성 음악의 근본구조 │ 작품 전체를 좌우하는 사소한 음들 3. 수용자의 “음악하기” 능동적 행위로서 감상의 발견 │ 계산될 수 없는 음악적 시간 4. ‘시간’을 조각하는 수용자 중단하고 후퇴하는 슈베르트 │ 베토벤의 역동성과 크레이머의 다중유도시간 II. 바르트에 대한 소소한 이야기 1. ‘어머니’를 사랑한 포스트모더니스트 《애도 일기》에 각인된 깊은 슬픔 │ 순간을 기록하는 이상적 형식 ‘하이쿠’ │고향 바이욘의 지리적 정체성 2. ‘신화’를 해체시킨 동성애자 신화에 내재된 이데올로기 │ 부유하고 유동하는 주체 3. ‘텍스트’를 해방시킨 중립주의자 쾌락과 관능의 ‘빈 공간’ │ 독서는 육감적 실천이다 │ 바르트가 사랑한 음악가 4. 몸으로 느끼는 아마추어 음악인 행동하는 능동적 주체, 아마추어 │ 연주자의 개입으로 실현되는 악보의 텍스트성 III. 다양한 해석을 품은 악보 1. 악보 속에 감춰진 소리 맛 서양 기보법의 발달 │ 악보에 담긴 작곡가의 메시지 │ 악보에 기보될 수 없는 것들 2. 청중을 매료시키는 연주자 파가니니와 리스트, 연주를 창조하다 │ 고전음악의 새로운 해석 │ 연주자에게 자유를, 음표 없는 악보 3. 다양한 소리를 창출하는 청취자 기악음악을 어떻게 감상할 것인가 │ 청취자의 해석을 기다리는 음악의 목소리│음악을 창조하는 청취자 4. 해석하고 ‘인용’(차용)하는 작곡가 작곡가에게 영감을 불어넣은 문학작품 │ 전례곡으로 차용된 다양한 민속노래│ 선율을 훔친 작곡가들 │ 새로운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IV. 텍스트를 다양한 해석을 품은 악보 1. ‘모방’하고 ‘인용’하는 저자 독자를 휘어잡는 무기, 수사학 │ 모방, 변형, 표절로 재탄생된 문학작품 │ 움베르토 에코의 텍스트 전략 2. ‘상호텍스트성’이 탄생시킨 독자 교차하고 확장되는 의미의 그물망, 상호텍스트성 │ 타자의 발견 │ 독자가 텍스트의 구조를 생산한다 3. 독서를 쓰는 롤랑 바르트 저자중심 비평에 반기를 들다 │ 독자적 텍스트와 작가적 텍스트 │ 《S/Z》를 수놓은 텍스트의 단편들 4. 발자크의 《사라진느》를 다시 쓰는 바르트 텍스트를 재생산하는 5개의 코드 │ 바르트가 분석한 《사라진느》의 발생텍스트 V. 클래식 독서하기 1. 문학(이야기) 속 음악, 클래식 속 드라마 슈테판 츠바이크의 문학과 음악 │ 발자크를 매료시킨 선율들 │ 음악의 내러티브 문법 │ 무조성 음악의 등장 2. 해체되는 성악곡: 게오르게와 쇤베르크 무조 음악의 효시 쇤베르크 〈현악4중주 2번〉 │ 쇤베르크가 재해석한 게오르게의 시, '공중정원의 책' 3. 바르트에 의해 해체된 클래식 아! 어디선가 들어 본 선율이: 슈베르트 “도플갱어” │ 여기 왜 이 ‘음’이?: 베토벤 〈피아노3중주 No. 5 D장조 Op. 70 No. 1〉(유령Ghost) │ 갑자기 등장한 ‘불협화음’의 정체는?: 브리튼 〈존 단의 신성한 소네트 Op. 35〉 에필로그: 우리에게 리모콘을 준 바르트! …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