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_ 나와 국부론 여는 글_≪국부론≫은 어떤 책인가 1부 애덤 스미스의 일생과 경제학 연구방법 스미스가 살던 시대의 정치ㆍ경제 01 삶과 경제학 여정 대학생활/글래스고 대학에서의 교직 생활/중농학파와 교류하다/≪국부론≫을 완성하다/에든버러에 잠들다 더 읽어보기 스미스는 어떤 집에서 살았을까 02 경제학 연구방법 도덕철학 강의/≪국부론≫의 편별 구성/≪국부론≫과 ≪자본론≫의 차이 더 읽어보기 데이비드 흄과 애덤 스미스 2부 분업과 화폐의 발생 공장 안의 분업과 사회 안의 분업의 차이 01 분업 분업의 예/분업의 이익/분업과 인간의 교환 성향/분업은 시장의 크기에 의해 제한된다 02 분업론에 대한 비판 분업에 의해 노동자는 한 가지만 아는 바보가 된다/기계의 발명 03 화폐 화폐는 어떻게 탄생했는가/주화의 등장 더 읽어보기 금화와 은화의 간단한 역사 3부 상품의 가치ㆍ가격과 노동 노동가치설과 효용가치설 01 상품의 교환가치와 노동 상품의 사용가치와 교환가치/상품의 교환가치를 재는 진정한 척도/불변의 가치척도/상품의 진실가격과 명목가격 02 상품 가치의 구성 부분 상품 가치는 소득의 합계인가/잉여가치의 분할/상품의 시장가격과 자연가격 더 읽어보기 애덤 스미스의 도그마 4부 노동자와 자본가 및 지주 자본주의 사회에서 왜 지주가 3대 계급 중 하나일까 01 노동자의 임금과 자본가의 이윤 임금 인상을 찬성하라/이윤율의 저하 경향과 상승 경향/이윤율의 균등화 02 지주의 지대와 사회의 일반적 이익 차액지대와 절대지대/농업 이윤율이 사회의 평균이윤율을 규제한다/세 계급의 이익과 사회의 일반적 이익 더 읽어보기 경제학은 ‘꼴사나운' 학문인가 5부 자본의 축적과 투자의 우선순위 01 자본의 축적 자본축적은 절약에 의해 가능한가/자본축적은 취업노동자를 증가시킨다/국왕ㆍ군인ㆍ성직자 등은 ‘비생산적’ 노동자 02 대부자본 대부자본과 이자율의 상관관계/이자 금지 법률의 효과 3장 자본을 투자하는 우선순위 어떤 투자가 국부를 가장 크게 증가시키는가/인간의 천성에 따른 투자 우선순위 더 읽어보기 스미스, 마르크스, 케인스 6부 중상주의와 중농주의 금과 은은 국부를 증가시킬 수 없는가 01 중상주의의 두 원칙 금은의 과잉 보유와 국제경쟁력/금은의 수출 자유화 02 중상주의 비판 자유무역 옹호/수출장려금의 부작용/식민지 경영의 손익 03 보이지 않는 손 자유방임과 자연적 질서/다른 두 곳에 나오는 보이지 않는 손 04 중농주의 분석 생산적 계급과 비생산적 계급/국부와 자유방임 더 읽어보기 스미스는 중농학파로부터 무엇을 배웠을까 7부 국가의 재정 왜 국가는 야경국가가 되어야 하는가 01 지출 국방비와 사법비/공공사업비 02 조세 03 공채 04 북아메리카 식민지의 독립전쟁 영국과 식민지 이주민들의 충돌/식민지의 독립선언 더 읽어보기 고전파경제학자들의 계보 맺는 글_≪국부론≫을 바로 읽어 시장만능주의를 개혁하자 애덤 스미스 연보 참고문헌 찾아보기 애덤 스미스 탄생 250주년 기념 포스터 부록_≪청소년을 위한 국부론≫ 차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