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냉혹하고 우아한 그녀의 뜨겁고도 차가운 이야기, 일상 곳곳에 내재한 폭력에서 스스로의 힘으로 살아남은 한 여성의 이야기 「엘르」는 1982년 첫 장편 「지옥처럼 푸른」을 출간한 이후, 36년 동안 「베티 블루」(1985년)를 비롯하여 23권의 장편소설을 출간한 필립 지앙의 19번째(2012년) 장편소설이다. 소설은 “뺨이 부어오른 것 같다”로 시작된다. 필립 지앙에 따르면, 이야기나 화자가 결정되기 전에 이 문장을 쓴 뒤 숙고 끝에 화자를 여자, 즉 영화제작사 대표 미셸로 결정했다고 한다. 소설의 첫머리에 미셸은 뺨이 부어올랐고, 쓰러져 있으며, 옆에는 꽃병이 깨져 있다. 그녀는 집에 침입한 괴한에게 강간을 당했다. 복면을 쓰고 집으로 침입한 괴한은 미셸을 광폭하게 범하고 현장을 떠난다. 그런데 이상하다. 미셸은 경찰에 전화를 걸지도, 가까운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다. 한참 만에 일어나 어수선해진 집안을 정리하고 매무새를 가다듬은 뒤 스시를 주문한다. 변변한 일자리가 없는 아들 벵상이 다른 남자의 아이를 가진 만삭의 약혼녀와 집으로 식사하러 올 예정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그녀는 경찰에 신고하지 않고, 애써 태연을 가장하며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은 듯 행동한다. 미셸을 범한 자는 누구인가? 미셸은 왜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가? ‘그 여자’(Elle)라는 제목처럼, 독자들은 미셸이라는 범상치 않은 여인의 욕망을 들여다보게 된다. 강렬하면서도 충격적인 시작과 달리 미셸의 일상은 적어도 겉으로는 평온하다. 하지만 그녀를 둘러싼 관계와 상황은 녹록하지 않다. 재능이 결여된 채 자부심만 드높은 시나리오 작가인 전 남편 리샤르는 불가능한 시나리오를 시도 때도 없이 들이민다. 일흔다섯 살의 모친 이렌느는 미셸 또래의 남자와 결혼하고 싶어 한다. 미셸과 동업자이자 절친인 안나의 남편 로베르는 미셸과의 불륜 관계를 청산할 생각이 없다. 수십 명의 아이들을 살상한 살인마 아버지는 감옥에서 임종을 앞두고 있다. 무엇보다 자신을 늘 감시하는 듯한 강간범의 위협은 현재진행형이다. 이런 생활 속에서 ‘호감남’으로 다가온 이웃집의 파트릭은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발기가 되지 않는 변태다. 무엇보다 그가 바로 강간범이다. 이렇듯 필립 지앙은 미셸이, 아니 우리 시대의 여성이 얼마나 다양한 유형의 폭력에 노출된 채 살아가는지를 숨기지 않는다. 마을 사람들을 무참히 살해한 연쇄살인범 아버지, 더 이상 원하지 않는 육체적 관계를 요구하는 친구의 남편, 또 다시 새로운 남자를 바꾸어 집에 들인 어머니, 경제적 능력도 없으면서 여자 친구가 낳은 다른 남자의 아이를 키우겠다고 대드는 아들……. 작가는 이렇게 묻는다. “당신은 폭력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그것이 삶의 일부가 되도록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폴 버호벤 감독, 이자벨 위페르 주연, 영화 「엘르」의 원작 소설 이 책은 「토탈 리콜」 「원초적 본능」 「블랙북」의 폴 버호벤 감독의 동명의 영화(2016년)의 원작이기도 하다. 강인하면서도 나약하고 신중하면서도 충동적인 미셸은 이자벨 위페르가 연기해서 평단과 관객들의 극찬을 이끌어냈다. 2017년 칸영화제 경쟁부문 초청작, 제74회 골든글로브시상식 여우주연상 및 외국어영화상의 성과가 이를 증명한다. 무엇보다 「엘르」가 흥미로운 까닭은 ‘강간’이라는 특수한 소재답게 시종일관 긴장된 문체를 유지한다는 것이다. 작가는 그 긴장을 유지하기 위해 장(章) 구분 없이 한 호흡으로 서술을 쏟아낸다. 때와 장소를 따로 명시하지 않은 장면이 툭툭 튀어나오기도 한다. 선정적으로 흐를 수밖에 없는 뜨거운 소재를 차갑게까지 느껴지는 절제된 언어의 리듬으로 정제시키기. 그 속에서 인물의 균열은 더욱 선명해진다. 「엘르」는 강간범과 사랑에 빠지는 여자의 이야기가 아니다. 강간은 소설을 운행하는 시동장치일 뿐이다. 「엘르」는 일상 곳곳에 내재한 폭력에서 스스로의 힘으로 살아남는 한 여성에 관한 이야기다. 「엘르」가 아름다운 이유다. ■ 시리즈 소개 인간의 에로티시즘과 욕망을 말하는 그책의 문학 시리즈, 에디션D 인간에게는 밤하늘의 별만큼이나 수많은 욕망이 내재되어 있습니다. 오이디푸스 신화, 나보코프의 『롤리타』, 아니 에르노의 『단순한 열정』 같이 원초적 욕망과 금기를 소재로 다룬 이야기는 시대를 초월하여 오늘날 불멸의 고전으로 남아 있습니다. 에디션D는 이처럼 인간 내면에 숨겨진 은밀한 욕망의 세계를 탐험하고, 나아가 인간이라는 가장 불가해한 존재에 대해 더욱 깊게 이해할 수 있는 작품들을 소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