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역판을 내면서 전기적 스케치 약어표 머리말 제1부 핵심 개념들과 시대 제1장 ? 총괄 개념들: 산문학, 종결불가능성, 대화 산문학 산문학과 일상언어 평범한 것의 철학으로서의 산문학 산문학과 윤리학 산문학과 체계들 눈에 띄지 않는 것과 평범한 것 종결불가능성 내재적인 것으로서의 종결불가능성 바흐친 대 바쿠닌 종결불가능성과 역사성 대화 대화를 향하여 대화와 다른 문화들 독백화 대화로서의 진리 제2장 ? 이력의 형성 네 시기, 세 분기점 1919~1924년: 초기 저술들 책임과 건축술 실제적 타자와 ‘불특정한’ 잠재적 타자 <언어 창작물의 내용, 재료, 그리고 형식의 문제>: 내용을 둘러싼 형식주의자들과의 대결 1924~1929년: 말의 잠재력 1930년대에서 1950년대 초까지: 말의 역사화와 이상화 카니발: 종결불가능성의 신격화 1950년대 초에서 1975년까지: 전문 직업의 대변인 제3장 ? 논란의 여지가 있는 텍스트들 논쟁 동기를 통한 행위의 입증 마르크스주의적인 책은 과연 마르크스주의적인가 끝나지 않는 논쟁 문제가 되는 것 제2부 저자성의 문제 제4장 ? 메타언어학: 저자성의 대화 언표 대 문장 능동적 이해: 말의 공동 창작 대화 저자들: 목소리와 억양 초월적 수신자 ‘이미 말해진 것’에 대해 말하기 이질언어성 대화화된 이질언어성 대화의 두 번째 의미 수동적 겹목소리의 말: 양식화 수동적 겹목소리의 말: 패러디와 스카츠 능동적 겹목소리의 말 틈구멍을 지닌 말 보고된 발화에 대한 볼로시노프의 논의 저자의 권위와 타자의 담론 간접화법, 직접화법, 그리고 의사 직접화법 주어진 것과 창조된 것 제5장 ? 심리학: 자아 저술하기 1920년대라는 맥락 행위와 자아 참칭자와 존재의 알리바이 <심미적 행위에 있어서 저자와 주인공>: 타자의 육체를 본다는 것, 그리고 타자에게 보인다는 것 정신분석, 환상, 예술의 창조 완전성, 창조성, 형식 정신 대 영혼, 틈구멍 대 리듬 비다성적 주인공에서 다성적 주인공으로 볼로시노프: 심리학과 이데올로기 볼로시노프: 외적인 말과 내적 발화 볼로시노프 대 비고츠키와 바흐친 《프로이트주의: 비판적 스케치》: 역사의 희망 없음으로서의 부르주아의 ‘내재성’ 레프 비고츠키: 말하기, 생각하기, 그리고 자아의 출현 의미의 유입과 언표 작업 제3기의 바흐친: 소설적 자아 내적으로 설득적인 담론과 권위적인 담론 법정에 선 소설적 자아: 카니발과 메울 수 없는 틈구멍 카니발적 자아 후기 저작들: 처음으로의 회귀 제6장 ? 다성성: 주인공 저술하기 다성성, 그리고 대화적 진리 감각 다성성과 저자의 새로운 지위 다성성과 잉여 창작 과정의 이론으로서의 다성성 산문학을 향하여: 플롯과 구조 대 다성성과 사건성 완결과 통일성 창조적 사건성의 통일성 도스토옙스키의 시간과 인물 인격과 불일치성 윤리학과 ‘중재자’에 의한 정의 제3부 소설의 이론들 제7장 ? 장르의 이론 아래에서부터 읽기 장르의 눈 문학사 예술적 사유의 형식들 의미와 잠재력 발화 장르들 장르 기억 장르와 사회학적 환원론 소설과 여타 장르들 소설과 소설화 제8장 ? 산문학과 소설의 언어 갈릴레오적 언어 의식 소설가 갈릴레오 시학 대 산문학 산문 대 시 혼종화: 소설의 실제 삶 인물 구역 영국식 코믹 소설과 ‘공통어’ 의사 객관성 혼종화: 약간의 개선과 확장 언어들의 상호 조명: 유기적 혼종과 의도적 혼종 소설적 언어와 내적 삶 소설의 두 가지 스타일 노선 ‘초장르적 문학성’ 고향 상실성의 뿌리 ‘고상한’ 언어 파토스의 담론 몰이해와 즐거운 속임수 전범화와 재강조 제9장 ? 크로노토프 크로노토프와 시공간: 칸트와 아인슈타인 크로노토프적 물음과 가능성 크로노토프적 사유와 소설 크로노토프적 모티프 그리스 로망스의 시간과 공간 그리스 로망스: 인물 이미지와 시험의 이념 일상생활의 모험소설 속 시간 일상생활 엿보기 고대 전기와 자서전 역사적 전도와 종말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