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01. 오빠는 군대에서 무엇을 할까? - ‘신성한 국방의 의무’와 국방 엔터테인먼트 영점으로서의 군대 | 군인들을 위한 유흥거리로서의 엔터테인먼트 | 군대/군사주의를 홍보하는 방식의 엔터테인먼트 | 군대 노동으로서의 국방 엔터테인먼트 | 국방 엔터테인먼트가 제공하는 메시지 | 나가며 02. ‘이미 완성된 남자들’의 군대 - 채널A <강철부대>의 위치와 군사화된 남성성 재현의 새 양상 아, 사나이 뭉친 한국군 | ‘진짜 사나이’들이 ‘위문열차’에서 내려오기까지 | ‘국방개혁 2.0’ 시대와 ‘하드바디’ | <강철부대>와 의 사이에서 03. 남성들은 무엇이 억울할까? - 억울함의 감정정치, 여성징병제 청원 억울함의 증표, 군 복무 | 무엇이 억울할까? | 젠더 프레임에 갇힌 공정성 | 성평등, 말을 전유하며 | 억울함의 감정정치 04. 섹슈얼리티 읽어-버리기 - 병역거부 심사와 재판은 성적 지향을 어떻게 다루는가 1. 읽어-버리기와 권력 읽기 | ‘당신이 병역을 거부하는 건 게이여서가 아닌가?’ | 젠더와 섹슈얼리티에 대한 모순적인 통제를 읽는 방법 | 2. 사법적 제도화: 사적인 것, 예외적인 것, 종교적인 것으로 읽어-버리기 | 이익형량판단, 비교 그리고 관용 | 3. 재판과 심사: 읽어-버리기 속 벌어진 틈 | 무시와 관용 | 의심 속에 벌린 틈 | 4. 읽어-버리기 너머의 자리 | 관용의 배신 | 관용 너머 함께 고민하는 자리 05. 나라 지키러 군대 간 내 아들을 보호하라 - 군형법 추행죄의 위태로운 존속과 강제적 이성애 ‘동성애 처벌법’이라는 명명 | 행위의 처벌과 존재의 호명 사이 | ‘추행’을 둘러싼 담론의 지속과 변화 | 남성중심적 섹슈얼리티 규범의 재/전유 | ‘가혹한 부담’을 최소화해야 하는 징병제의 딜레마 | ‘그들만의 이슈’를 넘어 06. 전쟁경험을 횡령당한 비국민-비인간존재들의 안부를 묻다 - ‘네발의 전우’라는 레토릭 프롤로그: 방탄조끼를 입은 작은 개는 영웅이 되고 싶었을까? | 강제군사노동, 난민화된 존재들의 대리노동 | 국가에 의해 횡령당하는 비인간존재의 전쟁경험 | 에코사이드의 책임을 물으면서도 여전히 생략되는 존재들 | 남은 질문들: 기후위기 담론에서 누락된 전쟁과 축산업 07. 인공지능 무기는 평화를 가져올 수 있을까 - ‘더 깔끔하고 확실한 승리’라는 환상을 깨고 ‘전쟁’과 ‘안보’ 다시 묻기 인공지능, 전쟁의 문법에 지각변동을 일으키다 | 누군가에게는 또 다른 전장, 국경과 감옥 그리고 인공지능 | 더 ‘깔끔한’ 전쟁, 더 ‘공정한’ AI라는 환상을 깼을 때 비로소 들리는 질문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