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학교, 근대성의 구현체
한국의 근대가 배태한 오늘날의 교육 문제
근대사회가 학교에 주목한 이유
근대적 교육 공간인 학교의 문제를 새롭게 보기
근대적 공간, 시간, 지식의 원리가 기획한 학교
역사사회학적 관점을 적용한 교육사회학 연구
근대사회로의 변혁기와 형성기
2장 근대사회의 이념과 작동 원리
근대적 시간과 공간, 지식
근대와 시간: 시계와 표준 시간의 등장
근대와 공간: 공간의 확장과 균질화
근대와 지식: 과학주의와 지식의 대중화
시간, 공간, 지식의 재구성과 그 의미
3장 근대학교의 출현
시민사회의 성립과 교육의 대중화
시민혁명과 공교육 기획
산업화와 교육에 대한 요구
국민국가의 형성과 국민교육
학교의 제도화와 근대교육 체제
근대교육의 이념적 층위들
4장 근대학교와 시간
산업화와 진보, 발전의 시간관
시간?기계와 산업화
테일러주의, 표준화와 분업화
산업주의와 시간의 의미
산업주의와 학교시간?기계
학교의 시간 분할
5장 근대학교와 공간
근대와 규율주의
근대적 공간의 형성
규율주의와 공간의 의미
규율주의와 학교공간?기계
6장 근대학교와 지식
근대와 과학주의: 문명개화와 과학화
과학주의와 지식의 의미
가정과 양육의 근대화, 과학화
과학주의와 학교지식?기계
7장 근대학교와 시간, 공간, 지식의 구조화
시간과 교육: 삶을 향유하는 인간적인 시간
공간과 교육: 규율과 자율의 공존
지식과 교육: 학습된 나로부터의 탈출
8장 결론 및 제언
결론
제언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