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차 례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머리말 . . . . . . . . . . . . . . . . . . . . . . . . . . 15 제 1 장 전제국가 인식의 계보 . . . . . . . . . . . . 19 1.1 중국에서 발견한 전제국가 . . . . . . . . . 19 1.1.1 고염무 . . . . . . . . . . . . . . 19 1.1.2 량치차오 . . . . . . . . . . . . . 23 1.2 근대일본에서 형성된 중국 전제국가론 . . . 29 1.2.1 나이토 고난 . . . . . . . . . . . 29 1.2.2 1930년대 사회과학의 중국 인식 32 1.3 전후 일본의 연구동향 . . . . . . . . . . . . 47 1.3.1 ‘세계사의 기본법칙’ . . . . . . . 47 1.3.2 전제국가론으로의 재접근 . . . . 50 제 2 장 전제국가와 봉건사회 . . . . . . . . . . . . 55 2.1 중국사회와 일본사회 . . . . . . . . . . . . 55 2.1.1 중국의 촌락과 일본의 무라 . . . 55 2.1.2 가족 ·동업자 조직 . . . . . . . . 64 2.1.3 중국의 사회재생산 . . . . . . . . 68 2.1.4 중국사회의 결합원리 . . . . . . 74 2.2 권력의 편성형태 . . . . . . . . . . . . . . . 78 2.2.1 일본 봉건사회의 단체중적체 성격 78 2.2.2 전제국가의 사회 ·정치편성 . . . 79 제 3 장 전제국가의 형성 . . . . . . . . . . . . . . . 85 3.1 전 국가사회의 발전이론 . . . . . . . . . . . 85 3.1.1 공동체 해체사에서 단체 형성사로 85 3.1.2 인간사회의 형성 . . . . . . . . . 89 3.1.3 무리에서 수장제까지 . . . . . . 97 3.2 중국전제국가의 형성 . . . . . . . . . . . . 110 3.2.1 중국수장제의 형성 . . . . . . . . 110 3.2.2 국가형성을 이끈 두 개의 힘 . . . 116 3.2.3 전제국가의 형성 . . . . . . . . . 122 3.3 고전고대국가와 일본 고대국가의 형성 . . . 132 3.3.1 고전고대국가 . . . . . . . . . . 132 3.3.2 고대국가 형성의 일본적 특질 . . 139 3.4 국가단계의 위치 . . . . . . . . . . . . . . . 143 3.4.1 집단발전의 굴절점인 국가단계 . 143 3.4.2 초기국가론 . . . . . . . . . . . . 145 3.4.3 단계 ·유형 ·상호관계 . . . . . . 147 제 4 장 봉건사회와 전제국가의 발전 . . . . . . . . 149 4.1 일본 봉건제의 형성과 발전 . . . . . . . . . 149 4.1.1 소경영 ·공동체 ·영주제 . . . . . 149 4.1.2 공동체와 영주제의 강화발전 . . 154 4.2 전제국가발전의 체계와 제반 단계 . . . . . 158 4.2.1 초기 전제국가 . . . . . . . . . . 158 4.2.2 전제국가의 변질과정 . . . . . . 163 제 5 장 근대로의 이행 1 - 경제 . . . . . . . . . . . . 171 5.1 사회유형과 경제발전 . . . . . . . . . . . . 171 5.2 중국사회의 경제형태 . . . . . . . . . . . . 174 5.2.1 조숙한 유통형성 . . . . . . . . . 174 5.2.2 면업으로 본 중일의 시장형성과정 . . . . . . . . . . . . . . . . 179 5.2.3 중국적 유통의 기본형태 . . . . 182 5.2.4 일본 봉건사회의 유통기구 형성 . 186 5.2.5 중국사회와 중국적 유통 . . . . . 193 5.2.6 노동력 지배의 실현형태 . . . . . 203 5.3 중국의 자본주의 형성 . . . . . . . . . . . . 208 5.3.1 중국형 자본주의 . . . . . . . . . 208 5.3.2 경제조직화의 진행과 규정 요인 . 217 제 6 장 근대로의 이행 2 - 정치 . . . . . . . . . . . . 223 6.1 일본 봉건사회의 성숙과 근대국가로의 이행 223 6.1.1 절대주의 . . . . . . . . . . . . . 223 6.1.2 시민혁명 . . . . . . . . . . . . . 226 6.1.3 근대일본과 전제 . . . . . . . . . 229 6.2 중국에서 근대이행의 사회적 전제 . . . . . 233 6.3 중국 내 근대적 통합의 형성과정 . . . . . . 237 6.3.1 임의단체에 의한 ‘자치’ . . . . . 237 6.3.2 공화정의 시행 . . . . . . . . . . 245 6.3.3 임의단체 대표제 권력구상 . . . 249 6.3.4 중국국민당의 당=국가제 . . . . 252 6.3.5 중국공산당의 당=국가제 . . . . 258 맺음말: 세계통합과 사회 . . . . . . . . . . . . . . . 263 후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7 찾아보기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