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머리말: 도시그림, 현실과 동경을 넘나들다 제1화 시에나 | 성모 마리아에게 바친 ‘천상의 도시’ 〈좋은 정부의 도시〉, 암브로조 로렌체티, 1339년 제2화 카이펑(開封) | 중국 최고의 그림에 담긴 번성한 중세도시 〈청명상하도〉, 장택단, 12세기 초반 제3화 피렌체 | 시민정신이 만들어낸 르네상스의 성채 〈사슬지도〉, 프란체스코 로셀리, 1490년 제4화 베네치아 | 융성했던 바다의 도시, 이게 최전성기의 모습이다 <베네치아 조망 그림> 야코포 데바르바리, 1500년 제5화 암스테르담 | 오로지 시민의 삶을 위해 만든 다채색의 도시 〈암스테르담 지도〉, 발타사르 플로리스, 1625년 제6화 쑤저우(蘇州) | 천하제일의 수향(水鄕), 그 활기찬 모습이 눈앞에 펼쳐지다 〈성세자생도〉 일명 〈고소번화도〉, 서양, 1759년 제7화 이스파한 | 이 도시는 세상의 절반과도 안 바꾸겠소 〈이스파한 전경〉, 얀 안소니우스, 1657년 제8화 파리 | 근대도시로 비상하는 18세기 파리를 생생하게 그려내다 〈튀르고 지도〉, 루이 브레테즈, 1739년 제9화 로마 | 공간의 네트워크로 묘사한 영원의 도시 〈놀리 지도〉, 조반니 바티스타 놀리, 1748년 제10화 런던 | 근대의 바빌론, 대영제국 수도의 두 얼굴 〈열기구에서 본 런던〉, 존 헨리 뱅크스, 1851년 제11화 빈 | 육백 년 합스부르크 제국의 수도, 그 황금시대를 그리다 〈확장된 빈의 파노라마〉, 구스타프 파이트, 1873년 제12화 베이징(北京) | 이건 도시가 아니다. 땅 위에 새겨진 거대한 도상이다 〈건륭경성전도〉, 청나라 궁중 화원, 1750년 제13화 교토(京都) | 한쌍의 6폭 병풍에 담은 에도 시대의 교토 〈낙중낙외도〉, 이와시 마티베에, 1615년 제14화 서울 | 12폭 병풍에 담은 19세기 도성 밖 한양의 풍경 〈경기감영도〉, 작자미상, 19세기 초반 제15화 뉴욕 | 격자 틀 속에 펼쳐진 초고밀의 맨해트니즘 〈뉴욕 조감지도〉, 헤르만 볼만, 1962년 맺음말: 유전자가 살아있는 도시가 아름다운 도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