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러두기 4 제2판 머리말 5 옮긴이의 말 7 들어가기 19 제1부 『신학대전』 제I권 84문 7항에 대한 입문 해석 1. 『신학대전』의 맥락에서 바라보는 본 항목에 대한 고찰 40 2. 항목의 제목에 대하여 44 3. 반론 50 4. 본문의 형식적 구조 60 5. 본문의 첫 두 절에 관하여 63 6. 본문의 제3절 1호 69 7. 제3절 2호 75 8. 제3절 3호 81 9. 제3절 4호 88 10. 제3절 5호 92 11. 반론에 대한 답변 94 제2부 세계 내 정신 제1장: 기초 1. 출발점: 형이상학적 질문 102 1) 형이상학적 질문의 기본 구조 102 2) 형이상학적 질문의 의문성 104 3) 형이상학적 질문의 ≫출처≪로서의 ≫세계≪ 108 2. 인식의 일치 114 3. 인식 행위와 피인식자 117 1) 자신과 함께 있는 행위를 통한 기원적 일치로서의 존재 행위와 인식 행위(존재 행위 자체의 주체성으로서의 인식 행위) 118 2) 존재 행위 개념의 본질적인 불확정성 123 제2장: 감성 1. 감성 개념의 출발점 132 2. 감성을 통한 감각적 타자에 대한 인식 139 1) 감각 대상의 자기 소여로서의 감각상 144 2) 감각 대상의 자기실현으로서의 감각상 145 3) 감성의 자기실현으로서의 감각상 150 4) 감성의 수동성 152 3. 감성의 선험적 구조 I: 공간 159 1) 감성의 가장 보편적인 선험으로서의 동자 160 2) 감성의 선험성으로서의 양적인 것 165 3) 감성의 기본인 상상력(imaginatio)의 선험적 형식으로서의 공간성 167 4. 감성의 선험적 구조 II: 시간 173 1) 운동의 시간 형성적 특질 174 2) 공간과 시간의 선험적 직관의 상호 관계 180 3) 시공간적 선험성으로부터의 파생 182 제3장: 추상 1. 문제: 주체의 자신으로의 귀환 186 2. 자기 자신으로의 추상적 회귀의 특징 191 1) 구체화하는 종합: 보편 개념 191 2) 확언적 종합: 판단과 그 안에서 드러나는 진리 195 3) 토마스에게 있어서 구체화와 결합 199 3. 자신으로의 주체의 회귀와 능동 지성 209 4. 능동 지성의 본질 213 1) 질료적 형상의 인식 가능성에 대한 선험적 가능성의 조건으로서의 능동 지성 214 2) 질료를 통한 형상의 제한에 대한 인식으로서의 능동 지성: ≫분리≪의 양태 217 3) ≫선취≪로서의 능동 지성 222 5. 초월 I: 예비 설명 228 1) 형상과 실현체의 상호 제한 231 2) 추상화하는 선취를 통해 파악된 형상으로서의 즉자적 존재 행위 241 3) 토마스의 존재 개념에 대한 예비 설명 243 6. 초월 II: 토마스의 존재 개념 253 1) 판단을 통해 파악된 실재의 즉자로서의 존재 254 2) 선험적 종합 ≫그 자체≪로서의 존재 행위 262 3) 형상적·초범주적 일치의 보편적 존재 행위로서의 존재 행위 268 4) 절대적 존재 행위로서의 존재 행위 276 7. 초월 III 281 1) 절대적인 부정적 무한성 자체로의 넘어섬 281 2) 인간 정신성의 구성 요소로서의 절대자를 향한 초월 284 8. 초월과 능동 지성 287 1) 세 가지 추상 단계 288 2) 판단 계기로서의 세 번째 추상 단계: 형이상학적 개념 형성의 배타적 능력으로서의 능동 지성 293 9. 존재 행위를 향한 초월 능력으로서의 능동 지성 306 1) 제일 원리들의 추상을 통한 능동 지성의 기본적인 특성화 307 2) 자신의 존재 행위를 통해 존재자를 선취함으로써 원리의 추상화를 가능하게 함 309 3) 조명-구상에 대한 존재론적 해석(대상에서 암묵적으로 함께 ≫보인≪ ≫조명≪이자 대상의 ≫가시성≪을 선험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조명≪) 318 10. 완전한 회귀로서의 추상 338 1) 자신으로의 완전한 회귀로서의 형상적 본질(자신 안에 실현된 형상) 339 2) 인간에게 고유한 완전한 회귀(표상으로의 전회를 통한 회귀) 343 제4장 표상으로의 전회 1. 질문에 대한 정의 353 2. 가능 지성 358 3. 감성의 기원인 (가능) 지성 365 1) 가능 지성을 감각화하는 기본 구조 366 2) 인간 정신의 특성에 따른 감각화의 필요성(육신-영혼 간의 관계의 문제 영역으로부터) 367 3) 능력들의 상호 기원적 관계 및 실체적 근거(본성적 발산)에 대한 기원적 관계의 형식적 구조 375 4) 지성과 감성 간의 특징적 기원 관계 384 4. 표상으로의 전회인 감성의 기원 38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