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머리말 제1장 역학의 탐구 아리스토텔레스의 운동론과 낙하 운동 아리스토텔레스의 지상 부근에서 일어나는 자연 운동에 대한 생각 / 아리스토텔레스의 강제 운동에 대한 생각 / 아리스토텔레스의 운동론에 대한 비판 / 아리스토텔레스 운동론의 모순 갈릴레오의 업적과 운동론의 발전 갈릴레오가 발견한 법칙① 진자의 등시성 / 갈릴레오가 발견한 법칙② 낙하 거리는 시간의 제곱에 비례한다. / 갈릴레오가 발견한 법칙③ 진공상태에서물체는 동시에 떨어진다. / 갈릴레오가 발견한 법칙④ 포물선 운동은 두 가지 운동의 조합이다. 힘, 운동량, 운동 에너지의 구별 힘의 분류 / 진공 속에서의 포물선 운동 / 보존되는 것은, mv? mv²? / 운동량 보존과 에너지 보존 힘의 정의 힘의 크기를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 힘 때문에 운동의 무엇이 변하는가? / 힘과 질량, 가속도의 관계 / 만약 힘의 균형이 잡혀 있다면 관성 질량과 중력 질량 갈릴레오의 사고 실험과 관성의 법칙, 관성 질량 / 일반 상대성이론과 질량의 근원을 찾는 소립자 역학의 탐구를 마치며 제2장 열의 탐구 열이란 무엇인가 고대 사람들은 열을 어떻게 생각했나 / 플로지스톤(燃素)과 칼로릭(熱素) / 열은 에너지의 형태 중 하나다 / 열운동 기체 분자의 운동 100℃ 수증기 사우나에서 화상을 입지 않는 이유는? / 기체 분자의 속도를 비교해 보자 / 기체 분자의 운동 정도가 절대온도 / 기체 분자의 온도가 같으면 속도도 모두 같은가? 열기관의 원리 열기관이 움직이기 위해서는? / 열을 버리지 않으면 열기관은 연속적으로 움직이지 않는다. / 효율 좋은 열기관으로 만들기 위해서 / ‘따뜻하게 차갑게’를 반복하는 것은 이런 곳에도? 열역학 제2법칙 열역학 제1법칙의 한계 / 들어간 열의 모든 것을 일로 바꿀 수 있나? / 제1종 영구기관과 제2종 영구기관 / 맥스웰의 악마 열전달 방법 열전도…열로 찌르는 것이 전해진다. / 열대류…덩어리의 이동으로 전해진다. / 열방사…전자파가 되어 열을 전달한다. 열의 탐구를 마치며 제3장 빛의 탐구 빛의 직진성과 굴절 빛은 직진한다 / 보인다는 것 / 볼록 렌즈는 왜 거꾸로 된 실상을 만드나 빛의 입자성과 파동성: 고전편 빛은 왜 휘어지나 / 하위헌스의 원리 / 페르마의 원리 / 복굴절과 빛의 입자성, 파동성 광속 측정과 파동의 역전 승리 뢰머의 광속 측정 / 토마스 영의 활약 / 프레넬의 역전극 / 물속에서 광속 측정과 파동설의 승리…그러나 에테르의 수수께끼 아라고의 불안 / 에테르의 바람 / 광속도 불변의 원리 빛의 입자성과 파동성: 근대편 19세기의 암운 / 광양자 가설 / 빛의 입자성으로 설명 가능한 것은? / 빛의 이중성이 초래한 것 빛의 탐구를 마치며 제4장 전기의 탐구 정전기의 시대 정전기력을 제일 처음 발견한 사람은 누구? / 의사 길버트의 책 / 유전분극이란?(현재의 해석) / 정전유도란?(현재의 해석) 정전기의 성질 전기를 모으는 도구의 발명 라이덴병 / 정전기의 방전 / 전기량과 정전기력의 관계: 쿨롱의 법칙 / 쿨롱의 법칙을 처음으로 발견한 사람은 쿨롱이 아니다 정전기에서 동전기로 동물전기와 금속전기 / 볼타의 전퇴(voltaic pile) / 전퇴에서 발전하다 / 열전기와 제베크 효과 전기로 찾는 물질의 성질 전기분해 / 옴의 법칙을 발견하기 직전 / 옴의 법칙 직교 논쟁 직류와 교류 / 직류 송전의 결점과 교류 송전의 우위 / 에디슨 vs 니콜라 테슬라 전기의 탐구를 마치며 제5장 유체의 탐구 층류와 난류 유체역학이란? / 층류와 난류의 구별 / 층류인데 소용돌이가 있다? / 층류의 연구는 최첨단 과학으로 이어진다. 정지유체 수압은 모든 방향으로 작용한다: 파스칼의 원리 / 부력은 왜 발생하는가? / 오해하기 쉬운 아르키메데스 원리의 진실 표면장력 왜 표면장력이 일어나는가? / 표면장력과 수학적 접근 / 표면장력을 약하게 하는 계면활성제 / 모세관 현상의 불가사의 베르누이의 정리 베르누이 부자의 불화 / 베르누이의 정리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 / 유체의 에너지보존법칙 / 베르누이 정리의 잘못된 사용법 양력의 발생 코안다 효과 / 양력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유체의 탐구를 마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