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료로 보는 아시아사

유인선님 외 10명 · 인문학
560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4.0(7명)
0.5
5
평가하기
4.0
평균 별점
(7명)
코멘트
더보기

'그부호' 잇는 독보적 감성

비주얼 마스터 웨스 앤더슨 신작

<페니키안 스킴> · AD

별점 그래프
평균 4.0(7명)
0.5
5

'그부호' 잇는 독보적 감성

비주얼 마스터 웨스 앤더슨 신작

<페니키안 스킴> · AD

저자/역자

코멘트

1

목차

1. 중국 고대사_김병준 최초의 왕조 / 서주의 봉건제 / 의후측궤(宜侯夨簋) / 춘추 시대 맹약 / 춘추 시대의 전쟁 / 서문표 일화 / 상앙 변법 / 제자백가 / 통일 전쟁의 필요성 역설 / 군현제의 실시 / 황제 칭호 / 분서갱유 / 진시황 각석 / 과진론(過秦論) / 항우와 유방 / 한대의 경기 통치책 / 이년율령 호률 / 사기의 체제 / 유교의 국교화 / 한 무제에 대한 평가 / 염철 논의 / 전한 초기 한과 흉노의 화친 관계 / 흉노의 독자적 풍습 유지 / 대외 팽창 정책의 조정 / 한대 국가 원리의 변화 / 한대의 인구 / 왕망의 정치 / 적미의 난 / 후한 광무제의 토지 조사 / 당고의 화 / 한대 호족의 등장 / 황실 재정과 국가 재정 2. 중국 중세사_하원수 중원으로 들어온 호족(胡族)들 / 후한 말 민중의 동요와 도교 교단의 성립 / 후한 말 군웅들의 할거와 유비(劉備) / 삼국(三國)으로의 분열과 조조(曹操)의 활약 / 서진(西晉)의 제도 정비 / 전란 속에서의 자립 집단 / 재력의 중요성 / 구품중정제(九品中正制)와 귀족 사회의 고착화 / 호족(胡族)의 성장과 서진의 멸망 / 전진(前秦)의 남진(南進) 좌절과 남북 대치 상황의 고착 / 북위 왕조의 호족(胡族)적 특성 / 북위의 균전제 / 북위 효문제의 한화 정책(漢化政策) / 북조 말 다시 강화된 호족(胡族)의 풍조 / 사인(士人)과 서인(庶人)의 구별 / 사인(士人)의 명망(名望) / 남북조 시기 풍속의 지역적 차이 / 불경의 한역(漢譯)과 불교의 발전 / 북조에서의 실용 기술 발전 / 중국의 분열과 고구려의 성장 / 서역(西域)과의 교류 / 호족(胡族)적 성격을 지닌 새로운 통일 제국 / 대운하의 건설 / 수나라의 흥성과 쇠퇴 / 당나라와 돌궐의 관계 / 당 태종 시기의 현실 / 당나라의 안정과 역사의 재정리 / 통일 제국의 법제 정비 / 당의 균전제(均田制) / 과거 제도의 출현과 전개 / 무주 혁명과 그 정치 / 당의 흥성과 쇠퇴 / 안사의 난과 당나라의 위기 / 번진(藩鎭)의 출현과 중앙 집권의 약화 / 양세법(兩稅法)의 시행 / 지주 계층의 성장 / 당나라 후기의 사회상 / 황소의 봉기 / 문벌 세력의 약화 / 중소 지주의 생활상 / 수나라와 당나라의 수도 형태 / 도교와 불교의 융성 / 당나라 여성의 삶 / 당 후기 사상의 새로운 분위기 / 당나라 안의 신라인들 / 동서의 문화 교류 3. 중국 근세사1(송·원대)_이근명 오대 무인 정치의 폐해 / 송의 중국 통일 / 무인의 권한 삭감 / 황제권의 강화와 중앙 집권화 / 과거제의 개혁 / 거란의 건국과 연운십육주 영유 / 거란의 이중 지배 체제 / 전연(澶D淵)의 맹(盟) / 서하의 건국 / 서하의 북송 침공 / 서하와의 맹약 체결 / 모역법 실시의 배경 / 왕안석의 이재 사상 / 신법의 시행 / 사마광의 신법 비판 / 사대부의 책임 의식(천하관) / 학문(과거 시험)을 통한 입시 출세 / 사대부의 정치 주도 / 사대부의 계층 유동성 / 구법당 내부의 분열 / 신법당의 재집권과 구법당 탄압 / 철종의 친정과 구법당 탄압 / 북송 말기 정치 기강의 이완 / 금 건국 이전의 여진국 / 완안아골타의 요 공격 / 금의 건국 / 맹안모극제 / 북송의 멸망 / 악비와 진회 / 『근사록』의 편찬 / 주자학의 체계 / 농업 / 상업과 화폐 / 도시의 발달 등 / 몽골 초원의 통일 / 칭기스 칸의 즉위 / 몽골 제국의 건립 / 천호제의 재편 / 칭기스 칸 시기 / 우구데이 칸의 즉위와 대외 원정 / 쿠빌라이 시기의 남송 정복과 일본 원정 / 쿠빌라이와 아릭 부케의 대립 / 카이두의 반란 / 야율초재(耶律楚材)의 활동 / 대도(大都)의 건설과 지배 체제 확립 / 지폐의 사용 / 역참제와 시박사 등의 제도 / 서민 문화의 등장 / 인쇄술의 발달 / 과학의 발전 4. 중국 근세사2(명·청대)_원정식 주원장의 등장과 원말의 상황 / 주원장의 북벌 격문(1367) / 이갑을 편성하고 부역황책을 만들게 하다 / 토지 대장을 만들게 하다 / 어제대고를 반포하다 / 중서성과 승상 제도의 폐지를 조법으로 삼도록 하다 / 연왕 주체(朱棣)의 쿠데타(정난의 역, 1399~1402) / 정화의 항해(1405~1433) / 명 전기 북변 방어의 취약성 / 명대 장성의 축조 / 등무칠의 난(1448~1449) / 명 중기 왜구와 중국인 / 장거정이 여섯 가지 정책 방향을 상주하다(1568) / 만력 연간의 당쟁 / 명 말 반란의 원인: 섬서의 흉년 / 누르하치, 일곱 가지 큰 원한을 제시하며 명나라와 전쟁을 시작하다(1616) / 청군의 강남 정복 과정: 양주의 참상 / 강희제, 과거 응시자들에게 현안 해결의 방법을 묻다 / 전국에 보갑제를 실시하다(1708) / 은의 지배가 시작되다: 은납화 / 고리대 상인과 농민 / 명 중기의 이농 현상 / 북방 변경의 삼림 남벌 / 명 말 수도로의 물자 운송과 대운하 / 중국의 공장에서 세계의 공장으로: 명 말 강남 지역의 농촌 수공업 / 방직 노동자들의 봉기[직용의 변(1601)] / 휘주의 상인과 사인 배출 / 과거 합격만이 신분 상승의 길이다 / 18세기 사치 풍조와 양주의 소금 상인 / 광동 해적들이 연맹을 결성하여 해상을 지배하다 / 19세기 초 차의 수출에 따른 산지 개발과 그 영향 / 서양 배의 광동 입항과 출항 절차 / 마음이 곧 이(理)이다(왕수인, 1472~1529) / 사치의 경제학(육즙, 1515~1552) / 군주 독재 제도 비판(황종희, 1610~1695) / 남녀평등 주장(유정섭, 1775~1840) / 고증의 원칙(염약거, 1636~1704) / 고증학자의 사회 비평(대진, 1724~1777) / 송학에 대한 비판(단옥재, 1735~1815) / 한학(漢學)에 대한 비판(초순, 1763~1820) / 역사 편찬학의 원칙(왕명성, 1720~1797) / 인구 증가는 비극이다(홍량길, 1746~1809) 5. 중국 근·현대사_김형종 서역에 행성을 설치하자는 논의[공자진(龔自珍)] / 아편에 대한 단속이 심해질수록 폐단이 더 심해지니 응당 신속하게 변통하여 처리해주실 것을 간청합니다[허내제(許乃濟), 1836) / (은이) 밖으로 새나가는 것을 엄밀히 막아 나라의 바탕을 북돋아야 합니다(嚴塞漏巵以培國本疏)[황작자(黃爵滋), 1838] / 전표 유통에는 큰 장애가 없으니 응당 아편흡식을 무겁게 금지하여 폐단의 근원을 막아야 합니다[임칙서(林則徐), 1838] / 영국 국왕(빅토리아여왕)에게 보내려 한 격문(檄諭)의 원고[임칙서(林則徐), 1839] / 난징 조약(1842. 8. 29.) / 『해국도지』 서문[위원(魏源)] / (중·영) 톈진조약(1858. 6. 26.) / 태평천국의 토지 제도 / 태평천국 반란군을 토벌하기 위한 격문[증국번(曾國藩)] / 양식 철공소·기계의 설치에 대한 상주문[이홍장(李鴻章), 1865] / 만국 공법[윌리엄 마틴] / 서학 채용에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4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