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개체화
사유 패러다임의 전환: 실체로부터 관계로 / 질료형상도식 비판 / 개체화: 준안정적인 존재의 상전이 / 변환 매체로서의 개체 / 개체화의 범례: 과포화 용액의 결정화 / 개체화 체제들의 연속과 불연속 / 형상을 대체하는 정보: 사이버네틱스를 넘어서 / 변환: 존재와 사유의 작동 논리 / 개체화론과 기술철학의 관계
2장 기술적 대상의 존재 양식
반(反)기술적 문화중심주의와 기술만능주의의 양극단을 넘어서 / 발생적 생성 추적하기: 탐구 방법의 문제 / 기술적 대상의 발생: 개체화 또는 구체화 / 데카르트적 기계, 구체화하는 기계, 사이버네틱스 기계 / 기술적 실재의 진화: 이완 법칙
3장 발명
시몽동과 베르그손 / 베르그손과 발명: 창조와 제작 사이 / 발명의 심리적 과정 / 발명의 사회적 가치 / 시몽동과 발명: 문제 해결의 변환 작동 / 기술적 본질의 발명과 구체화하는 발명 / 발명적 상상력 / 발명과 개체초월성
4장 기술-정치
기술의 정치적 효과 / 노동과 소외: 시몽동과 마르크스 / 노동으로부터 기술적 활동으로 / 사회 변혁을 위한 교육학적 기획으로서의 기술 문화 / 사회의 준안정성과 기술-정치적 주체: 개체초월성과 정서적 감동 / 시몽동 기술-정치학의 의미
5장 기술-미학
기술과 미학의 관계 / 기술미학의 등장 / 미학적 사유의 발생적 본성 / 아름다움의 본성 / 기술적 대상들의 아름다움 / 시몽동 기술미학의 현재성 / 시몽동과 백남준
6장 포스트휴먼
인간의 죽음과 포스트휴먼 / 트랜스휴머니즘의 향상된 인간 / 헤일스의 포스트휴먼: 인간과 지능형 기계의 접합체 / 시몽동과 과타리의 개체초월적-횡단적 주체 / 들뢰즈로부터 시몽동으로: 통제 사회를 넘어서 / 시몽동과 라투르: 인간-비인간 네트워크의 민주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