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제1장 세뇌란? 세뇌의 본질 세뇌의 수준 변성의식과 신비 체험 지복 체험과 트리거 호메오스타시스 가설 세뇌의 단계 체감적인 조건 부여 임장감의 강화 앵커의 매설 영원한 세뇌의 사이클 옴진리교 보도의 위험성 다크네스 바운다리에 매료된 사람들 교육은 세뇌는 아니다 제2장 탈세뇌 과정 디프로그래밍 앵커의 발견 앵커의 무기력화 공간의 지배 무의식의 공유 앵커의 확인 교의에 빠져들지 않으려면 전문가와 협력 자신의 수비 범위를 지킨다 앵커 개념의 기원 역할 분담 그외의 탈세뇌 수법 1 이니시에이션의 역전 2 의식 아래에 있는 정보의 디프로그램 3 기호화 정보의 디프로그램 4 카타르시스의 중화화 5 프레임의 재구축 6 게슈탈트의 정상화 추상 공간의 시각화 개인적인 체험 응용과 개성 탈세뇌에 실패하지 않으려면 사회의 협력 체제가 필요하다 컬트 탈퇴를 확실히 한다 제3장 디베이트와 탈세뇌의 관계 디베이트란 무엇인가? ·118 디베이트에서 벌이는 전투 상대주의의 그물 디베이트와 세뇌 디베이트의 역사적 의의 디베이트에 숨어 있는 위험성 제4장 탈세뇌의 사례 연구 출소 첫 대면 격론 디베이트의 의의 옴진리교 교의를 논파한다 추상 공간의 이용 숙제 신비 체험의 세뇌를 푼다 복합 기술의 중요성 교의의 모순을 공격한다 앵커 제거 앵커 탐색 탈세뇌의 도덕 나머지 주의점에 대해서 제5장 미국의 '세뇌' 현주소 고전적인 세뇌 감각 차단 실험 NASA와 세뇌 비즈니스에 응용 심리 요법의 발전 현대 컬트의 기원 세뇌적인 교육 종교 컬트의 탄생 통합되는 종교 컬트 일본의 위기 제6장 나의 탈세뇌론 인지과학과의 만남 예일에서 카네기 멜론에서 뇌를 본다 변성의식의 연구 옴진리교와의 만남 철학과 종교 철학은 세상을 구원할까? 세뇌를 연출하는 사람들 전통 종교의 태만 규범의 결여 옴진리교적인 것의 위험성 마음의 보상 행위 세뇌는 질병은 아니다 세뇌에 대한 몰이해 세뇌로부터 일본을 지킬 수 있을까? 용어 해설 원주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