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역자

목차

- 머리말 / 영화와 사회의 상관성 [1] 영화와 사회. 문화적 맥락성, 그리고 기호학 1. 영화와 사회. 문화 사이의 맥락성 2. 영화의 '스토리텔링(이야기하기)' 속성과 사회. 문화적 맥락성 3. 영화의 '스토리리스닝(이야기 듣기)' 속성과 사회. 문화적 맥락성 [2] 영화와 통치 권력의 정치적 맥락성 1. 영화에 내재된 의미에 대하여 2. 영화 [살인의 추억]의 쟁점 논의: 관련 이론들과의 연계 3. [살인의 추억]에 대한 분석 4. 영화 [살인의 추억]의 통합체 구조: 서사 구조 5. 영화 [살인의 추억]의 계열 구조: 등장인물과 수행 행위 6. 영화 [살인의 추억]의 등장인물들의 관계 구조: '행위주 모델' 적용 7. 영화 [살인의 추억]의 담론 구조: 등장인물들의 담화 8. [살인의 추억] 사회구조적 모순을 말하다 [3] 영화와 여성과의 젠더적 맥락성 1. 여성의 몸과 영화 2. 여성의 몸과 몸 관리에 대한 기존 논의 3. 몸 관리의 시대적 의미 변화 4. 미디어의 몸 담론과 권력적 작용의 의미 5. 영화 속의 여성 몸에 대한 접근 방법들 6. 영화 [미녀는 괴로워]의 여성 몸의 서사성 7. [미녀는 괴로워] 속의 여성 몸 담론 8. 영화 [미녀는 괴로워]의 사회적 의미 9. 몸은 어떻게 이...야기되는가? [4] 영화와 수용자의 담론적 맥락성 1. 영화를 말하는 사람들 2. 영화 전문 평론 3. 영화 네티즌 평론 4. [디-워]에 대한 일반 평론과 전문 평론 사이의 갈등 전개 5. 전문 평론과 네티즌 평론의 쟁점별 갈등 6. 누가 [디-워]를 걸작으로 만들었나? [5] 영화와 지배 집단의 계급적 맥락성 1. 자본주의 속 애니메이션의 이데올로기 2. 애니메이션 3. 애니메이션 캐릭터 4. 애니메이션과 이데올로기 5. [원더풀 데이즈]의 통합체 6. [원더풀 데이즈]의 신화 7. 애니메이션, 현대 자본주의 사회를 반영하다 - 참고문헌 - 찾아보기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