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사 산책 1990년대편

강준만
368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코멘트

2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

목차

1권 1990∼1993년 머리말: '이념의 시대'에서 '소비의 시대'로 제1장: 6공 체제를 지키기 위한 몸부림 - 1990년 3당합당: 이념은 가도 투쟁은 남는다 | 내각제 파동: 김영삼과 박철언의 갈등 | 부동산 투기: 재벌과의 힘겨루기 | 보안사 민간인 사찰과 '범죄와의 전쟁' | KBS 사태: "정부 여당이 믿고 사랑하던 KBS" [자세히 읽기] "세계는 넓고 볼 것은 많다" | "빼앗아간 장물을 내놓으라" | '장군의 아들'과 '남부군' | '빚카드'가 된 '신용카드' 제2장: '이념'에서 '땅'으로 - 1991년 수서사건: 정치부패와 언론부패 | 강경대: '치사정국'에서 '분신정국'으로 | "누가 땅을 뒤흔들고 있는가?" | 리영희: '사회주의의 실패'에 대해 | 신문전쟁: 전국 동시인쇄시대 개막 | 텔레비전: '사랑이 뭐길래'와 '여명의 눈동자' [자세히 읽기] 정주영과 현대사건 | 할리우드 직배영화와 비디오 제3장: 소비문화와 대중문화의 결혼 - 1992년 정주영의 통일국민당 창당 | 제14대 총선과 민자당 경선 | 국민을 열광시킨 바르셀로나올림픽 | 제14대 대통령선거: 언권선거 | 마광수와 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 자동차혁명: '마이카시대' | '바람부는 날이면 압구정동에 가야 한다' | '질투'와 '최진실 신드롬'| 드라마 페미니즘: '아들과 딸'과 '여자의 방' | 서로 닮아가는 드라마와 광고 | 10대가 지배하는 대중문화 [자세히 읽기] 종교의 대선 참여 | SBS의 반란 | '원초적 본능'과 '결혼이야기' | '서태지와 아이들'의 출현 | 노래방의 대중화 제4장: 김영삼·이건희·신세대 신드롬 - 1993년 김영삼 신드롬 | 김영삼의 여론정치 | 금융실명제와 '깜짝쇼' | 대학입시 부정사건 | 이건희 신드롬 | 기차·비행기·배 참사: 구포에서 위도까지 | 쌀: 우르과이라운드 협상 타결 | 서편제 열풍 | 신문전쟁과 신문개혁 | 텔레비전: 당당한 상업주의, 대담한 시청자 | 신세대: 네 멋대로 해라 | '연예인 신드롬'과 연예저널리즘 [자세히 읽기] 김영삼의 청교도적 생활 | '한완상의 충격적인 대북관'? | 박정희 복고주의 | 지역생활정보신문 돌풍 2권 1994∼1996년 제5장: 남북전쟁·입시전쟁·광고전쟁 - 1994년 "김현철은 새 정부 최후의 성역인가" | 전쟁위기설: 미국의 대북 전면전 검토 | '김일성 사망'과 '주사파 파동' | 성수대교 붕괴: 붕괴된 건 다리만이 아니었다 | 삼성의 승용차 진출 | "'대학교'라는 신흥종교의 광신자" | 서태지: '발해를 꿈꾸며'·'교실 이데아' | 언론: 광고전쟁과 {조선일보}의 두 얼굴 | 유홍준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 신용카드·백화점·전광판 | 신세대·마니아·PC통신 | 텔레비전: 차인표·신은경 신드롬 | 지존파: '살인 연습'까지 한 엽기적 살인마 [자세히 읽기] | 김일성·김정일은 섹스광? | "내 아기는 다르다" | 맥주 전쟁 | '쉰들러리스트'·'태백산맥'·'투캅스' 제6장: 세계화와 삼풍백화점 - 1995년 세계화 원년 선포 | 김석원 영입: 김영삼의 분별력 | 대구 지하철 폭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