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서문
옮긴이 서문
들어가며: 사라진 비석과 실체가 불분명한 강
동아시아의 역사적 공간
다변적 로컬
지역적 차원의 로컬
지구적 차원의 로컬
1장 경계를 넘다: 두만강 지역의 사회생태학
두만강 지역: 청의 동북 대 조선의 동북
청과 조선의 초기 협상
위기의 동아시아, 연계망 속의 두만강
2장 왕조의 지리학: 경계 획정의 수사
국경회담 이전의 지리 지식
감계: 의례적 경쟁
청 국경 형성의 연계망
국경지대의 지도 제작
왕조의 변경 지리학: 이중하와 오대징
3장 간도 만들기: 경계를 넘나드는 사회의 유동성
간도의 형성
토지소유권, 생산 관계, 민족 관계 그리고 교역
토비: 국가와 사회의 사이
4장 변경 길들이기: 국가권력의 침투와 국제법
청: 내지화와 귀화
러시아: 철도 식민주의와 공동행정구역
한국: 군사화와 영토화
일본: 아시아를 선도하고 만주를 정복하고 한인을 ‘보호’하다
국제법의 도래: 새로운 담론
5장 다시 정의된 경계: 다층적 경쟁
국가·비국가 행위자들의 경쟁
간도협약을 향하여: 갈등의 세 가지 층위
공간적 상상: 나이토 코난, 송교인 그리고 신채호
6장 다시 정의된 인민: 연변과 정체성의 정치학
연변 사회: 새로운 발전
일본인이 된다는 것: 식민지의 경제와 정치
중국인이 된다는 것: 한인의 수용과 배제
한국인이 된다는 것: 한국 너머의 민족 정치학
맺으며: 우리 땅, 우리 민족
목극등비의 실종과 만주의 변화
한국계 중국인의 정체성
다시 그어진 경계
경계와 역사
에필로그: 영화 <두만강>
감사의 말
참고문헌
주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