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8
머리말 12
1장 트렌드를 읽어내다, 천天 23
천지인 사상으로 보는 기획 | 기획은 세상의 촉각과 기획자의 촉각이 만난 산물 | 간접경험과 직접경험으로 외부탐험하라 | 트렌드, 시사에 답이 있다 | 직접경험, 실제적 감각과 시대정신을 포착하라 | 트렌드를 꼭 따라야 할까? 따른다면 어떻게?
2장 콘텐츠를 읽으면 기획이 보인다, 지地 49
답은 이미 기존의 콘텐츠에 있다 | 벤치마킹으로 우뚝 선 현대카드 | 움프쿠아 은행의 성공과 벤치마킹 | 미션과 비전, SWOT, 벤치마킹 |콘텐츠 해독의 3단계 | 무한도전은 이렇게 기획되었다
3장 문제는 사람이다, 인人 79
인문학 공부는 건물의 기초를 놓는 일 | 기획도 사람의 마음을 읽는 일 | 심층 인터뷰와 감정의 구조 | 독일 방송에 토킹헤드가 많은 이유 | 인터뷰, 어떻게 진행할까? | 인터뷰 잘하는 테크닉
6장 창의력에 대한 몇 가지 오해 101
창의적인 특성은 타고난다? | 창의적인 아이디어는 느긋하게 이완해야 나온다? | 창의력에 인내는 중요하지 않다? | 스토리텔링의 핵심도 창의적인 아이디어 | 가츠산도를 만들고 난 식빵 꼬투리는 어떻게 쓸까? | 문학이 마을을 살린다, 온센북스 프로젝트
6장 미디어, 플랫폼, 재매개 125
콘텐츠와 미디어의 관계는? | 미디어 혹은 플랫폼의 힘 |플랫폼이 왜 중요한가? | 미디어는 인간의 확장 | 재매개란 무엇인가? | 재매개가 어떻게 기획에 도움이 될까? | 토란잎과 샘물을 재매개한 데시마 미술관
6장 의미론과 어원학으로 기획하기 155
고속열차 ICE는 어떻게 바다를 건널까? | 언어의 선험성 | 언어의 타자성 | 언어의 주술성 | 까다로운 소비자를 생포하라, 옴니채널 SSG.com | 강제연결법으로 〈단박인터뷰〉 기획하기 | 의미론을 이용한 제작 메커니즘의 결정 | 의미론을 이용한 출연자의 선정 | 어원학으로 기획하기 | 경제의 본질은 먹고 마시는 문제
수사학과 은유의 인사이트 187
수사학의 역사와 내용 | 수사학을 집대성한 아리스토텔레스 | 수사학과 은유 | 은유, 어떻게 적용할까? | 수사학을 응용한 기획안 작성 | 수사학의 응용, 기획안 작성
KJ 법 211
KJ법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 내부탐험과 외부탐험의 효용 | 분류와 통합: 통합에서 발상이 시작된다 | 기획 기법으로서의 KJ법 | KJ법 이렇게 시작하자 | KJ법 이렇게 완성하자
편집의 논리 237
편집을 위한 삼겹살의 법칙 | 세상도 편집이 되나요? | 21세기는 편집의 시대 | 요약과 연상, 그리고 편집‘다움’ | 요약 편집의 기법과 도해 | 뉘앙스의 차이를 탐색하는 시소러스 기법 | 시소러스와 통합체와 계열체
디자인씽킹과 에스노그라피 261
디자인씽킹이 마을을 살린다 | 음식이 달린 잡지가 지역을 살린다, 잡지 〈먹는 통신〉 | 사람을 최우선으로, 디자인씽킹 | 천천히 달리는 터틀 택시 | 디자인씽킹을 위한 단계 | 디자인씽킹과 에스노그라피 | 에스노그라피로 결핍을 발
견하다
기획자의 해시태그 : 기획의 키워드 291
나는 | 열정적으로 | 사랑한다 | 우리는 | 끈기있게 | 꿈꾼다
참고문헌 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