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옮긴이 서문?서문 제1장 선거제도 연구 1-1 왜 선거제도를 연구하는가??1-2 선거제도의 유형 분류?1-3 대표의 의미에 대한 상반된 두 관점?1-4 결어 제2장 1인 선출 단순다수제 2-1 1인 선출 단순다수제의 실제?2-2 선거제도 개혁을 향한 영국의 긴 여정?2-3 여타 1인 선출 단순다수제 국가들에서의 선거제도 개혁 논쟁?2-4 단순다수제의 다른 유형?2-5 결어 제3장 절대다수제: 2회투표제와 대안투표제 3-1 2회투표제?3-2 대안투표제?3-3 절대다수제에 대한 평가?3-4 결어 제4장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 4-1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의 기원?4-2 당선결정방식: 최대잔여제와 최고평균제?4-3 선거구 크기와 다계층 선거구 획정?4-4 기표방식: 폐쇄형, 가변형, 그리고 개방형 명부?4-5 네덜란드의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4-6 결어 제5장 혼합형 선거제도 5-1 독일의 혼합형 선거제도?5-2 독일에서의 비례성, 정당, 그리고 정치?5-3 혼합형 선거제도의 여러 유형?5-4 결어 제6장 단기이양식 비례대표제 6-1 아일랜드의 단기이양식 비례대표제?6-2 단기이양제 운용 방식?6-3 단기이양제의 여러 유형?6-4 단기이양제의 정치체제에 대한 영향?6-5 결어 제7장 선거제도의 영향 7-1 여러 선거제도의 비례성 정도?7-2 선거제도와 정당체제?7-3 ‘축소판’으로서의 의회??7-4 선거제도의 전략적 효과?7-5 결어 제8장 선거제도 설계의 정치 8-1 선거제도의 기원?8-2 선거제도 개혁?8-3 선거제도의 기원과 개혁에 대한 해석?8-4 선거제도 공학자로서의 정치학자?8-5 선거제도에 대한 유권자 태도 평가?8-6 결어 제9장 선거제도의 다른 요소들 9-1 선거제도에 내재된 왜곡 요소들?9-2 선거 관리 개혁?9-3 결어 제10장 선거제도와 안정성 10-1 비례대표제와 정부 안정성, 그리고 책임성?10-2 비례대표제와 극단주의 정당의 등장?10-3 제도의 복잡성, 유권자 혼란 그리고 투표 행태?10-4 비례성과 안정성은 상반관계(trade-off)인가??10-5 결어 부록 표?용어 해설?참고문헌?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