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고 온 것

강영숙 · 소설
264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3.2
평균 별점
(5명)
코멘트
더보기

불가해한 세계 속에서 해명할 수 없는 실존적 불안에 시달리는 현대인을 그려내는 데 천착해온 작가 강영숙의 여섯번째 소설집. 등단 이래 2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일상을 파고드는 혼란과 불안을 황폐한 도시로, 폐부를 비집고 들어오는 흙먼지로, 희뿌연 환영과 낯선 길로 형상화하며 독보적인 소설세계를 구축해온 강영숙은 재난 ‘이후’에 주목하며 더욱 넓어진 지평을 선보인다. 소설은 현실을 유리 파편에 비추듯 날카롭게 그려내는 데서 그치지 않고 재난이 휩쓸고 지나간 자리를, 개인적 불행을 겪은 인물들이 마주한 폐허를 딛고 서서 그 너머로 시선을 던진다.

'그부호' 잇는 독보적 감성

비주얼 마스터 웨스 앤더슨 신작

<페니키안 스킴> · AD

'그부호' 잇는 독보적 감성

비주얼 마스터 웨스 앤더슨 신작

<페니키안 스킴> · AD

저자/역자

코멘트

2

목차

어른의 맛 … 009 두고 온 것 … 039 버려진 지대에서 … 065 후암 이후 … 091 낙산 … 117 스모그를 뚫고 … 139 더러운 물탱크 … 163 곡부 이후 … 181 라플린 … 209 해설│황예인(문학평론가) 결국 누구도 도망가지 않았다 … 239 작가의 말 … 259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밤새도록 읽었다. 문장들이 송곳처럼 가슴을 찌르고 들어왔다.” _김도영(<82년생 김지영> 영화감독) 이효석문학상 수상작 「어른의 맛」 수록 불가해한 세계 속에서 해명할 수 없는 실존적 불안에 시달리는 현대인을 그려내는 데 천착해온 작가 강영숙의 여섯번째 소설집 『두고 온 것』이 출간되었다. “자기 경험의 세계가 순금같이 구현된 소설” “다른 세대는 하기 힘든 두툼한 이야기”라는 평과 함께 제18회 이효석문학상을 수상한 「어른의 맛」을 비롯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발표한 아홉 편의 단편이 수록되었다. 등단 이래 2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일상을 파고드는 혼란과 불안을 황폐한 도시로, 폐부를 비집고 들어오는 흙먼지로, 희뿌연 환영과 낯선 길로 형상화하며 독보적인 소설세계를 구축해온 강영숙은 『두고 온 것』에 이르러 재난 ‘이후’에 주목하며 더욱 넓어진 지평을 선보인다. 소설은 현실을 유리 파편에 비추듯 날카롭게 그려내는 데서 그치지 않고 재난이 휩쓸고 지나간 자리를, 개인적 불행을 겪은 인물들이 마주한 폐허를 딛고 서서 그 너머로 시선을 던진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뒤흔들리는 세계에서, 재난이 또다른 재난으로 도미노처럼 이어지는 가운데 우리에게 도착한 『두고 온 것』은 그래서 더욱 의미 깊게 읽힌다. 희뿌연 스모그 너머에 두고 온 것을 찾아 길을 되짚고 헤매고 끝끝내 걸어나가는 이들 소설집의 문을 여는 「어른의 맛」의 주인공 ‘승신’은 ‘호연’과 오랜 불륜 관계를 이어가고 있다. 부모 중 한 명이 자살했다는 공통점과 그로 인한 불안감으로 강하게 결속된 둘은 사랑이나 욕망 대신 재해에 대한 공포와 죽음에 대한 불안만을 나눌 뿐이다. 이런 관계와 삶에 권태를 느끼던 승신은 어느 날 어렸을 적 친구 ‘수연’의 연락을 받고 그의 집을 방문한다. 양계장을 운영하던 수연의 집이 조류독감으로 짐작되는 바이러스 때문에 이사를 가면서 헤어진 지 수십 년 만의 일이다. 승신은 호연과 나누지 못했던 누추한 ‘삶’에 대한 이야기를 수연과 나누고 어두운 길을 나선다. 「두고 온 것」의 ‘민수’는 아내 ‘진영’과 과거에 묵었던, 지금은 폐허가 된 ‘H호텔’ 안을 헤매는 중이다. 민수는 언젠가부터 이상행동을 보이다 결국 폐쇄병동에 입원한 진영을 예전으로 되돌릴 실마리를 그곳에서 찾을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하지만, 그가 마주하는 것은 호텔처럼 무너져내린 자신의 모습뿐이다. 외국에 보낼 중요한 상품 샘플을 잃어버린 뒤 해고당한 민수는 그 때문에 피해의식에 시달리며 진영과 다를 바 없이 착란을 일으키고, 자신이 무엇을 찾는지도 잊은 채 호텔 안을 맴돈다. 개인적 불행을 겪고 정처없이 떠도는 인물들의 모습은 「낙산」과 「스모그를 뚫고」에서도 이어진다. 「낙산」의 화자 ‘나’는 임신중단 수술을 받은 뒤 낙산 일대를 배회하며 그곳의 풍경을 관망한다. 인근의 절벽마을에 위치한 ‘나’의 원룸은 열악하기 짝이 없고, 남자친구와 함께 십 년을 벌어야 낡은 빌라를 전세로 얻을 수 있을까 싶을 정도로 삶은 여유가 없다. 「스모그를 뚫고」의 ‘지영’과 ‘상혁’ 부부 또한 구 주택단지에 살며 신도시 고층 아파트에서의 삶을 꿈꾸지만, 그곳으로 향하는 길에서 마주하는 것은 위협적인 트라우마가 되어버린 옛 애인과 구제역으로 살처분된 짐승들처럼 자신도 땅속에 파묻힐지 모른다는 공포뿐이다. 그런가 하면 「후암 이후」와 「더러운 물탱크」는 모두 실직을 겪은 중년 여성 화자의 이야기를 다룬다. 「후암 이후」에서 “후배들에게 양보”(108쪽)하라는 말과 함께 해고당한 ‘영주’는 부동산중개사인 친구 대신 부동산을 관리하며 비어 있는 남의 회사에 무단 침입하곤 한다. 어느 날, 그는 손님으로 방문했던 한 여성이 무허가주택의 방을 무단 점거하고 있다는 소식에 그곳으로 향하고, 술에 취해 널브러져 잠든 여성의 모습에 자신을 겹쳐 본다. 역시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사직을 권고받은 「더러운 물탱크」의 ‘미스 수’는 대표가 건넨 “이제 자기 길 가”(169쪽)라는 말에 시청 인근을 서성이다 ‘극지연구소’행 버스에 오르지만, 그가 마침내 도착한 곳은 쓰레깃더미가 쌓여 있는 흉한 공터이다. 이처럼 표류하는 인물들을 둘러싼 현실은 마치 막막한 스모그와도 같다. 거기에는 미세먼지나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부터 조류독감이나 구제역과 같은 바이러스, 질환이나 실직 등 개인에게 닥친 불행까지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재난이 배음처럼 깔려 있다. 이 모든 재난이 직조해낸 짙은 스모그의 장막은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을 만큼 조밀하고 두텁다. 장막을 걷고 저 너머 두고 온 이후의 삶을 향해 그러나 『두고 온 것』의 인물들은 그 너머로 한 걸음을 더 내디딘다. 「버려진 지대에서」에서 중년에 접어든 다큐멘터리 작가 ‘은수’는 노년의 엄마 ‘소희’와 함께 옛 공업도시로 ‘다크 투어리즘’을 떠난다. 제 몫의 삶을 지탱하는 것도 버거운 은수는 엄마를 살뜰히 챙길 여력이 없고, 가정폭력으로 남편과 이혼한 뒤 홀로 은수를 키워낸 소희는 자신에게 무심한 딸이 섭섭하다. 둘은 과거 모습 그대로 버려진 도시를 거닐며 서로의 삶을 돌아본다. 버려진 지대에서의 여행을 마치고 돌아온 뒤 소희는 ‘산림보전지구’로 이주해 새로운 삶을 꾸리기로 하고, 은수는 엄마를 찍은 영상에 대해 “전과 달리 네 영상이 차분하고 따뜻해졌다”(89~90쪽)는 동료의 말을 듣고 웃음 짓는다. 소설집 끝에 나란히 배치된 「곡부 이후」와 「라플린」도 그처럼 제자리에서 한 걸음을 내딛는 인물들의 모습에 초점을 맞춘다. 「곡부 이후」의 ‘진석’은 중국 곡부에서 실종된 ‘정대리’를 찾아 그의 종적을 되짚는다. 그 막막한 여정 속에서 그는 회사가 무섭다고 말하던 정대리를 점차 이해하고, 애써 외면하고 숨기려 했던 자신의 연약함을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진석은 정대리가 길을 찾고 있는 중이라고 믿기로 했다. 그리고 돌아가는 대로 꼭 공수병 주사를 맞겠다고 다짐했다. 왠지 사진을 찍어대는 사람들의 목소리가 잘 들리지 않았다. 누런 땅콩버터 빛깔의 황하가 저기에서 흐르고 있다는 것 말고 다른 점은, 변한 것은 없었다. 그뿐이었다.(208쪽) 쇠락한 사막도시에서 가이드 일을 하며 지내는 「라플린」의 ‘나’는 햇빛을 받으면 상태가 악화되는 병 ‘루푸스’를 앓고 있다. 브로커의 의뢰로 죽음을 앞둔 노인 부부를 유기하는 일을 맡은 ‘나’는 도시를 순례한 끝에 돌아와 자신의 죽음을 기다리지만, 그를 찾아온 것은 죽음이 아닌 아침이다. 일출을 바라보던 그는 그다음의 아침도 맞이할 것을 다짐한다. 모텔방에 태양빛이 들어오기 시작했다. 아저씨 일어나요, 일어나. 저기 윈드 스콜피온이 왔어요. 나는 대답할 수 없었다. 라플린의 일출 시간이었다. 그들에게 라플린의 일출을 보여주지 않은 건 명백한 실수였다. 다음 고객에게는 반드시 라플린의 일출을 보여주겠다고 다짐했다.(236쪽) 저마다 ‘두고 온 것’을 찾아 길 위를 헤매는 인물들은 끝내 자신이 두고 온 것을 되찾지 못하는 듯 보인다. 그러나 강영숙은 그 사실을 짚어 보이기보다 그저 길을 걷는 그들의 모습 자체를 끈질기게 응시한다. 그 시선을 좇다보면 어느 순간 두고 온 ‘것’은 희미해지고, 두고 온 ‘이후’의 걸음만이 우리 앞에 선명해진다. 그것은 어디에 무엇을 두고 왔든, 다시금 “잘 아는 길을 걷는 것처럼, 다시 돌아오지 않을 것처럼”(「어른의 맛」, 37쪽) 나아갈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게 아닐까. 그렇게 ‘두고 온 것’이 잃어버린 것이 아니라 ‘남겨두고 떠나온 것’이 될 때, 『두고 온 것』은 결국 길을 되짚고 헤매면서도 그 ‘이후’를 향해 걸어나가는 이들의 이야기가 될 것이다. 평론가 황예인의 말처럼 “낙관과 긍정, 비관과 체념 그 어떤 단어로도 잘 잡히지 않는 독특한―그냥 여기에 똑바로 서서 그 무엇도 외면하지 않은 채 끝까지 살아가겠다는”(해설, 257쪽) 태도로 꿋꿋하게, 결코 도망치지 않고서 살아나가는 이야기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2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