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우리는 모두, <언어의 지문>을 남긴다. 무심코 내뱉는 사소한 단어가 내가 어떤 사람인지 알려준다. 말과 글이 난무하는 세상, 이제는 단어가 <사람을 이해하는 열쇠>다. 레이디 가가의 트윗부터 닉슨의 녹취록까지, <단어의 비밀>을 파헤친다! 워터게이트 사건 이후, 닉슨이 사용한 단어는 어떻게 변했는가? 연설문, 대화, 이메일, 블로그, 메신저, SNS 등에 내가 쓴 단어는 나에 대해 무엇을 드러내고 있는가? ▣ 심리학 교수가 20년간의 연구로 밝혀낸 단어와 우리 삶의 연관성 대해부 현재 텍사스 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이자 학과장으로 재직 중인 저자가 대통령과 정치인들의 연설과 기자회견은 물론 우리의 일상적인 대화, 이메일, 블로그, 인터넷 게시글, SNS, 자기소개글, 대입 논술, 다양한 문학작품과 영화 등에 사용된 단어를 분석해 단어와 그 단어를 사용한 사람의 심리적 연관성에 대해 분석한, 일종의 <단어 심리학>이라고 할 수 있는 책이 출간되었다. 사회심리학자로서 글쓰기를 통한 치유 효과를 연구해오던 중 <단어의 비밀>을 발견하게 된 저자는 사람들은 모두 말과 글을 통해 자신만의 <언어의 지문>을 남기며, 따라서 단어라는 단서만 있으면 그 단어를 사용한 사람의 도 파악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심리학자로서는 특이하게도 20년 이상 단어 연구에 매진해온 저자는 하지만 자신이 진짜로 관심을 두는 것은 단어 그 자체가 아니라 그 단어를 사용하는 <사람>이라고 강조한다. 이 책에서는 <단어들이 작동하는 방식>을 하나씩 살펴봄으로써 어떻게 이들이 그 단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복잡한 심리 상태를 알려줄 수 있는지 알아본다. 이때 단어는 사람들의 생각, 감정, 동기, 사회적 관계 등을 알아내는 강력한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저자는 말과 글이 난무하는 시대에 결국 <단어>는 그 사람을 이해하는 <열쇠>라고 강조한다. ▣ 대통령의 연설에서 레이디 가가의 트윗, 자기 소개서, 인터넷 게시글, 대입 논술까지 분석 저자는 이 책에서 레이디 가가, 패리스 힐튼, 오프라 윈프리, 존 매케인 등의 트윗과 조지 W. 부시와 버락 오바마의 연설과 기자회견, 워터게이트 사건 관련 닉슨 대통령의 녹취록, 존 케리와 오사바 빈 라덴의 연설, 제인 오스틴과 셰익스피어, 찰스 디킨스 등의 작품, 「대부」와 「시애틀의 잠 못 이루는 밤」, 「펄프 픽션」, 「델마와 루이스」 등의 영화, 비틀스의 노래 가사, 그 외에도 단어로 남겨진 수많은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를 보여준다. 특히 9/11 테러 두 달 전과 두 달 후에 올라온 7만 건 이상의 블로그 게시물을 비교 분석하고, 5만 건 이상의 대입 논술, 소개팅 사이트에 올라온 수천 건의 자기 소개글, 법정에서의 수많은 증언들, 1만 9천 건 이상의 인터넷 게시글, 실험을 통해 얻은 수많은 언어 포본들, 100여 쌍에 이르는 연인들의 메신저 대화, 또 저자 자신이 학생들을 위해 써준 2백여 편의 추천서와 자신이 직접 주고받은 개인적인 이메일까지 공개하면서 그것에 쓰인 다양한 단어들을 분석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그동안 우리가 미처 인식하지 못했던 <단어들의 존재감>을 발견했고 그 단어들이 우리 삶 속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폭넓게 조사했다. ▣ 가장 많이 사용하지만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작고 사소한 단어들>이 가진 놀라운 힘!! 저자는 사람마다 단어 사용에 차이가 있다고 말한다. 즉 각자만의 <단어 사용 스타일>이 있다는 것이다. 단어 사용의 차이는 거의 무의식적으로 내뱉는 단어를 통해 드러난다. 그 단어의 차이가 결국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를 드러낸다는 것이다. 그 중 가장 흔하게 쓰이며 대수롭지 않게 여겨지는, 짧고 놓치기 쉬운 하찮은 단어들, 즉 들이 우리에 대해 가장 많은 것을 드러낸다고 저자는 말한다. 일반적인 우리의 예상과는 반대로, 실질적 의미를 담은 <내용어>보다 조용히 문장을 지원해 주는 보조적 역할을 하는 기능어가 우리에 대해 상상 이상으로 많은 것을 드러낸다는 것이다. ▣ 전체 어휘에서 0.1%도 안 되는 기능어가 우리가 사용하는 단어의 60%를 차지한다. 결국 우리가 듣고, 읽고, 말하는 단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몇 개 되지도 않는 숨어 있는 단어, 즉 기능어다. , 즉 <숨어 있는 단어>, 또 즉 <쓸모없는 단어>로도 불리는 기능어에는 등 우리가 가장 많이 사용하지만 문장 속에 숨어 있어 눈에 잘 띄지도 않는 단어들이 포함된다. 전 세계 언어 공통으로 대명사와 조사 역할을 하는 단어, 그리고 그 밖의 숨어 있는 단어들이 우리가 어떤 유형의 사람인지를 가장 정확히 알려준다. 이것이 바로 이 책에서 하려는 이야기다. 저자는 이제 <우리가 무심코 내뱉는 하찮은 단어들이 그 중요성을 인정받을 때가 왔다>고 말한다. ▣ 자신이 사용할 때는 통제하기 어렵고, 다른 사람이 사용할 때는 감지하기 어려운 단어들 모든 언어에서 <소수의 기능어>는 어지러울 정도로 많이 사용되는 반면, <방대한 내용어>는 의외로 매우 낮은 비율로 사용되고 있다. 기능어는 자신이 사용할 때는 통제하기 어렵고 다른 사람이 사용할 때는 감지하기 어렵다. 그래서 우리는 기능어를 놓쳐 상대방이 전달하려고 의도한 <감정적 단서>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어떤 사람이 사용한 단어를 보고 그가 나중에 좋은 대통령이 될지, 좋은 배우자가 될지, 좋은 직원이나 학생이 될지 알 수 있을까? 우리는 결혼하거나, 투표하거나, 직원을 채용하기 전에 사람들이 사용하는 단어를 듣고 결정하지만 잘못 판단할 때가 얼마나 많은지 모른다. 이럴 때 대명사를 비롯한 숨어 있는 기능어들이 사람들이 인식하지 못하는 <감정 탐지기> 역할을 한다. 이런 단어들의 작동법을 안다면 우리는 단어를 잘못 해석해 엉뚱한 판단을 하는 실수는 저지르지 않을 것이다. 또한 단어를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통해 세상과 타인을, 더 중요하게는 자신을 보다 더 잘 알아갈 수 있다고 저자는 말한다. ▣ 그렇다면, 사람들은 단어를 <얼마나 다르게> 사용하는가? 각자의 등에 따라서 사람들은 기능어를 매우 다르게 사용한다. 결국 사소하고 숨어 있는 하찮은 <기능어의 사용 스타일>을 통해 그 단어를 사용하는 사람의 성격, 사고방식, 심리 상태, 사회적 관계, 권력과 지위 등이 그대로 드러낸다. 우리 뇌는 이런 단어들을 알아차리지 못하지만 유심히 살펴보면 그 <미묘한 힘>이 보이기 시작할 것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이 책은 결국 우리가 매일 수없이 사용하면서도 잘 인식하지 못하는 짧은 단어들이 어떻게 우리가 어떤 사람인지를 보여주는 <창>의 역할을 하는지 밝힌다. ▣ <나>와 <우리>의 사용 : 지위를 알 수 있는 힌트는 <대명사>에 있다. 저자는 특히 기능어 중에서 <대명사>를 가장 중요하게 본다. 자칭 <대명사 전문가>라고도 불리는 저자는, 사람들이 구어체에서 가장 많이 쓰는 1인칭 단수 대명사(I-words)와 3인칭 대명사(we-words)를 언제 어떻게 사용하는지 비교하면서 대명사 사용을 통해 그 사람에 대해 알 수 있다고 말한다. 특히 <나>와 <우리>라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다르게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고 저자는 말한다. - <우리>라는 3인칭 단수 대명사를 사용하는 사람: 지위가 높은 사람들, 자아 존중감을 즐기고, 거만하고, 감정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