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드백 노이즈 바이러스

데이비드 조슬릿
312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코멘트

2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

목차

여는 글: 민주주의와 대립하는 텔레비전 1 개방회로 OPEN CIRCUITS 2 바이러스 VIRUS 3 피드백 FEEDBACK 4 아바타 AVATAR 후기: 선언 미주 감사의 글 옮긴이 해제 : 기원전 / 텔레비전 / 기원후 찾아보기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백남준, 앤디 워홀, 사이키델리아 히피 문화, 미디어 행동주의, 블랙파워 운동, TV 대선 토론, 셀러브리티… ‘낡은’ 미디어의 근과거가 송출하는 예술과 정치의 출구들 예술의 역사, 또는 이제는 낡아버린 미디어의 과거를 들여다보는 일이 정치적 힘을 발휘할 수 있을까? 《피드백 노이즈 바이러스: 백남준, 앤디 워홀 그리고 이미지 정치에 관하여Feedback: television against democracy》는 텔레비전 초창기(1950년대 초부터 1970년대 말)의 역동적인 ‘이미지 생태계’를 탐사하며, 20세기 예술을 견인한 ‘혁명’과 ‘전복’이라는 수사를 넘어선 정치적 가능성을 모색한다. “역사학자의 의무는 예술가들이 고안한 불가능한 궤적과 단명한 정치적 개입이 파열하는 지점으로부터 영감을 얻어서 어떻게 사물이 달리 순환할 수 있을지 설명하고 이론화하는 일”이라고 믿는 미술사학자 데이비드 조슬릿은 백남준의 비디오아트, 앤디 워홀의 작업들, 사이키델리아 히피 문화, TV 대선 토론과 시트콤, 여러 셀러브리티들과 사회운동, 미디어 행동주의를 오가며 수십 년 전에 발명된 효과적인 전술들을 펼쳐놓는다. 그리고 그렇게 도출해낸 ‘바이러스’, ‘피드백’, ‘아바타’라는 은유적 이미지는 폐색감에 사로잡힌 우리의 정치적·미학적 상상력을 ‘개방’할 것이다. 그간 서구 미술사학계에서 진지한 평가가 거의 부재했던 백남준의 비디오아트 작업을 새롭게 해석해내는 부분도 특히 눈여겨보아야 할 지점. 굿모닝, 미스터 텔레비전 누구나 안다고 여기지만 아무도 관심 없던, 텔레비전의 사회적 삶 ‘뉴 미디어’ 인터넷과 스마트폰이 잠식한 매체 환경에서 텔레비전은 ‘올드 미디어’를 대표한다. 텔레비전은 익숙하고도 너무 낡았다. 그러므로 텔레비전에 대해서는 이미 잘 알고 있거나 논의할 가치가 충분하지 않다고 여기지만, 결과적으로 텔레비전 그 자체에 진지한 관심을 기울이는 사람은 거의 없다. 한편, 최근 텔레비전은 ‘민주주의’와의 결합으로 새로운 활로를 발견한 것처럼 보인다. 시청자 투표를 곁들인 <나는 가수다> <K팝스타> <마이 리틀 텔레비전>부터 “당신의 소녀에게 투표하라”며 걸그룹 최종 멤버를 선택할 권리를 전적으로 시청자에 부여한 <프로듀스 101>에 이르기까지, 텔레비전은 끊임없이 민주주의에 대한 환상을 유포한다. 이때, 미국의 ‘미술’사학자(텔레비전 연구자나 미디어 이론가가 아니다) 데이비드 조슬릿은 《피드백 노이즈 바이러스》에서 텔레비전, 그리고 그것과 민주주의의 관계에 관해, 독특한 이론적 프레임과 유용한 언어를 제공한다. 조슬릿에 따르면, 9·11과 이라크 전쟁 이후 미국 민주주의는 역행을 맞았고, “예술이 동심원에 갇혀 진행되는 동안” 정치인들은 텔레비전에서, 예술대학 출신들보다 더 능숙하게 이미지를 조작해왔다. 이러한 진단은 당혹감과 함께 비평가.미술사학자의 의무감을 불러일으켰다. 그는 예술가가 여전히 강력한 역할을 수행하기를 바라면서, “텔레비전의 역사를 이해하는 것, 그리고 그것이 공공 담론에 미치는 지대한 영향력을 이해하는 것이 오늘날에도 긴급하다”(245쪽)는 믿음으로 이 책을 썼다. 이 책에서 미술‘사학자’ 조슬릿은 1950년대 초부터 1970년대 말에 이르는 텔레비전 초창기, 텔레비전의 멀지 않은 과거이자 우리 시대의 기원으로 되돌아간다. 이 시기는 텔레비전의 부상과 광역적 보급으로 “정치와 공적 발언은 전례 없는 규모로 시각적인 것의 영역에 편입되었고, 시각적인 것 그 자체도 공격적 상업화와 대규모 자본화를 겪”(58쪽)은 시기이며, 텔레비전을 둘러싼 다양한 예술 실험과 사회운동이 폭발했던 시기이다. 그는 이처럼 역동적인 시기의 이미지 정치를 면밀히 들여다보기 전에, 텔레비전 시스템 자체의 장치적 분석을 시도한다. 그가 아파두라이의 논의를 따라서, 사물의 의미는 물질적 존재가 아니라 자신이 남기는 궤적을 통해 획득된다고 말할 때, 텔레비전의 사회적 삶은 폐쇄회로 속에 운동을 채널링하면서 이루어진다. 텔레비전이라는 장치는 상품이 판매에만 봉사하도록 사물의 운동을 제한한다. 한편, 텔레비전의 무의식은 전자기파이며 그것은 ‘주사’와 ‘피드백’이라는 메커니즘에서 발생하는데, 이 두 가지는 초기 비디오아트의 수사에 상응한다. 그러므로 조슬릿이 “비디오아트는 텔레비전의 ‘사회적 삶’에 속한 하나의 차원”(54쪽)이라고 말할 때, 텔레비전과 비디오아트의 역사는 서로 맞물리며, 텔레비전에 관한 논의는 단순히 개별 프로그램 콘텐츠나 방송사의 프로그램 편성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것은 백남준의 비디오아트와 앤디 워홀이 제작한 TV 광고 영상 등을 포괄한 ‘이미지 생태계’로 확장된다. 이렇듯 《피드백 노이즈 바이러스》는 텔레비전의 사회적 삶을 추적함으로써 텔레비전을 새로운 맥락에 위치 지으며, 나아가 텔레비전 시대에 부합하는 새로운 미디어 개념을 제안한다. 이 책은 텔레비전이 낯설어지는 경험과 함께, 미디어 전반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계기를 마련한다. 바이러스, 피드백, 아바타 ‘혁명’과 ‘전복’의 환상 이후의 이미지 정치 예술의 역사, 또는 이제는 낡아버린 미디어의 과거를 들여다보는 일이 정치적 힘을 발휘할 수 있을까? “역사학자의 의무는 예술가들이 고안한 불가능한 궤적과 단명한 정치적 개입이 파열하는 지점으로부터 영감을 얻어서 어떻게 사물이 달리 순환할 수 있을지 설명하고 이론화하는 일”이라고 믿는 데이비드 조슬릿은 “예술가와 행동주의자들이 폐쇄된 텔레비전의 영토 속을 종횡하며 변종적이거나 유토피아적인 경로를 생산해내려고 기울였던 노력들”(69쪽)을 추적한다. 그 노력이란 사물을 다른 경로 속에 위치시키는 것이자 텔레비전의 폐쇄회로를 개방하는 것이다. 또한 20세기 예술을 견인한 ‘혁명’과 ‘전복’이라는 수사를 넘어선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조슬릿에 따르면, 손쉽게 현실을 부정하고 ‘혁명’을 선언해버리거나 페티시화나 물화를 단순히 ‘전복’하면 된다는 식의 환상은 ‘모 아니면 도’에 가깝다. 그러한 수사는 “비현실성을 노골적으로 드러내”며 미술사에 “냉소적 기회주의나 유아적 순진함”(11쪽)을 남겼고, “우리의 공적 세계를 빚어내는 폐쇄회로를 적절히 다루”(69쪽)지도 못한다. 따라서 조슬릿은 이 시기 예술가와 행동주의자들이 개발한 시각적 전술들로부터 ‘바이러스’, ‘피드백’, ‘아바타’라는 세 가지 새로운 은유를 이끌어낸다. 첫째, 바이러스. 숙주를 ‘전복’하지 않고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처럼, 바이러스 미학은 “패턴의 막힘없는 재생산에 간섭하여 동요나 떨림, 노이즈를 유발하는 것”(99쪽)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백남준은 마르셀 뒤샹과 재스퍼 존스를 잇는 레디메이드 전통의 후계자이자 바이러스 미학·정치를 대표하는 예술가로 평가된다. 둘째, 피드백. 피드백은 “의미 있는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피드백 노이즈를 통한 의도적 신호 방해라는 이중의 의미”(141쪽)를 가리킨다. 이러한 피드백의 정치를 대표하는 사례로, 미디어 행동주의와 비디오아트, 앤디 워홀과 EPI의 공연, 멜빈 밴피블스의 영화 등이 제시된다. 셋째, 아바타. 아바타는 현대의 셀러브리티 존재론과 정체성의 정치에 대한 이 책의 응답으로, “정체성을 사유화된 상태에서 해방시킴으로써 공중을 만들어”(244쪽)내는 아이콘이다. 아바타의 정치는, 셀러브리티의 구축과 해체 전략(섐버그, 워홀), 블랙파워 운동과 대선 후보들의 아이콘 정치, 시트콤 캐릭터와 실제 인물 사이의 동일시 문제, ‘과정적 정체성’을 제안하는 비디오아트 작업을 아우르는 맥락에서 등장한다. 이러한 논의는 현재의 미디어 ‘셀럽(셀러브리티)’ 문화에 대해 깊이 있는 이해의 틀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특별한 주목을 요한다. 이처럼 ??피드백 노이즈 바이러스??는 텔레비전 초창기의 ‘이미지 생태계’를 탐사하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효과적일 전술들을 펼쳐놓는다. ‘낡은’ 미디어의 과거는 예술과 정치와 삶이 겹쳐졌던 사람들의 이야기, “해석을 반대하여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1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