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전시 기획자들의 12가지 이야기

김홍희
306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3.0(6명)
0.5
3
5
평가하기
3.0
평균 별점
(6명)
코멘트
더보기

해외에서 주목받는 직종인 미술전시 기획자(큐레이터)들이 우리나라에서는 어떻게 작업하고 있는지, 또 미술전시 기획자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궁금해 하는 사람들을 위해 기획되었다. 미술전시의 시작과 끝 사이에 어떤 직종들이 포진하고 있는지 12가지로 세밀하게 나누어 국내 유명 기획자들의 현장의 소리와 그들이 공개하는 참고자료를 엿볼 수 있게 했다.

별점 그래프
평균 3.0(6명)
0.5
3
5

저자/역자

목차

큐레이터를 꿈꾸는 이들에게 보내는 현장의 소리 - 시작하는 말 광주 비엔날레, 베네치아 비엔날레 - 김홍희 2006년 광주 비엔날레 총감독 갤러리 전시의 노하우 - 박규형 (주)아트파크 대표 예술품과 공간의 조율사 - 박정욱 이응노 미술관 소장 우리 동네와 함께하는 미술현장 - 박찬응 스톤앤워터 관장, 안양천 프로젝트 운영위원장 공공미술, 거리의 미술관 - 박삼철 (주)아트컨설팅서울 소장 전통과 현대가 만나는 곳, 박물관 - 나선화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학예실장 문자를 날리는 시대의 서예전시 - 이동국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큐레이터 미술관을 넘어선 대안, 쌈지스페이스 - 김홍희 쌈지스페이스 관장 사고파는 미술품 - 박혜경 (주)서울옥션 경매사 미술 아카이브, 작품을 뺀 모든 것 - 김철효 삼성미술관 기록보존소 연구원 자료가 있어야 전시가 있다 - 김달진 김달진 미술연구소 소장 큐레이터는 미술만 알면 된다? - 김찬동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미술전문위원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