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릿말 004 한국 독자분들께 드리는 말 011 스페이스 인베이더에서 시작된 비디오 게임 붐 018 서장 세가 하드 이전의 역사 어린이들이 열광했던 ‘전자 게임’ 021 가정용 게임기와 하비 퍼스컴 026 1983년 패미컴과 SG-1000이 등장 031 제1장 SG-1000 일본 게임사에 큰 영향을 준 「콜레코 비전」 036 갑작스레 발매하게 된 SG-1000 039 패미컴에 이은 2번 타자 자리를 획득! 045 가정용 하드 사업을 본격화 048 제2장 세가 마크Ⅲ 패미컴에 참가? 056 패미컴의 성능을 뛰어넘는 「세가 마크Ⅲ」 059 메가 카트리지로 반격을 꾀하다 063 제2.5장 게임잡지 게임 전문지 [Beep] 070 패미컴 전문지와 공략본 붐 072 세가에게 계속 다가가는 [Beep] 075 제3장 마스터 시스템 1986년, 「세가 마크Ⅲ」를 해외로 080 유럽에서는 가정용 게임기 쉐어 No.1을 획득 085 일본에서도 세가 마크Ⅲ가 마스터 시스템으로 089 제4장 메가 드라이브 세가의 공세를 뒷받침한 「시스템16」 098 1988년, 메가 드라이브 발매 100 다양한 하드에서 즐길 수 있었던 세가 게임 107 최대의 대형 타이틀 『판타지 스타Ⅱ』 110 인기에 불을 붙였어야 했던 『테트리스』 의 발매중지 112 『대마계촌』을 시작으로 히트작이 속속 등장 116 해외에서 GENESIS를 발매 120 샤이닝 시리즈의 탄생과 RPG 125 세가의 간판 타이틀 『소닉 더 헤지혹』 129 CD-ROM을 둘러싼 「메가CD」와 「PC엔진 Duo」의 싸움 132 1992년, 메가 드라이브의 주 전장은 미국으로 138 3D 붐의 시작 『버추어 레이싱』 145 1993년, 치열한 쉐어 경쟁 149 해외에서는 확대가 이어지는 한편, 일본에서는 자웅이 가려지다 155 차세대기의 선두를 끊은 3DO 159 시대는 3D 폴리곤 게임으로 161 제5장 게임 기어 「게임보이」가 공전의 대히트를 기록 170 화면의 컬러화로 차별화를 노린 「게임 기어」 173 최종적으로 1,000만 대를 팔다 176 제6장 세가 새턴 차세대 게임기 전쟁, 개전 전야 182 플레이스테이션이 준 충격 185 1994년의 연말 시즌, ‘차세대 게임기 전쟁’ 제1 라운드 191 소니와 세가, 각자가 업계에 일으킨 변혁 193 1995년 제2 라운드는 세가 새턴이 승리 198 “파이널 판타지Ⅶ, 시동” 203 충실한 1996년의 세가 새턴 라인업 205 일본 내 500만 대를 판매한 플레이스테이션 214 『드래곤 퀘스트Ⅶ』과 세가 반다이 216 성장하는 플레이스테이션, 기세를 잃는 세가 새턴 219 지속이 어려워진 세가 새턴 227 세가 새턴에서 드림캐스트로 233 제7장 드림캐스트 꿈을 전하기 위한 총력전으로 242 인터넷 표준 대응을 위한 도전 247 개발 개시와 플레이스테이션2의 그림자 250 의욕적인 신작이 이어지나…… 255 닿지 않는 목표 200만 대 262 플레이스테이션2와 DVD 265 대망의 온라인 RPG 등장 270 가정용 하드 사업에서 철수 274 ‘창조는 생명’을 실현한 하드 278 제8장 그 후 확대되어 가는 비디오 게임 시장 284 약 20년 만의 가정용 하드 발매 286 맺음말 292 역자 후기 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