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출판사 제공 책 소개
견고하고 독보적인 문장, 다른 곳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유일무이한 서사 작가 배수아의 새로운 장편소설 “더 이상은 그 어떤 일도 할 수 없게 막연하고도 암울했으며, 더 이상은 아무런 행복도 불행도 느낄 수 없었고, 그러므로 불가능하게도 그를 찾아서, 걸어서 여행을 떠나야겠다” 2011년 봄부터 여름까지 자음과모음 인터넷카페에 연재된 배수아의 13번째 장편소설 『서울의 낮은 언덕들』이 출간되었다. 현실에는 없는, 낭송극 전문 무대 배우라는 주인공의 직업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등장하며 그가 어느 날 문득 태어나고 자란 도시를 떠나 먼 나라 낯선 도시와 낯선 사람들을 방문하는 여정을 담고 있는 이 작품은, 언제부터인가 ‘에세이형 소설’, ‘소설과 에세이의 혼종’이라고 불리기 시작한 배수아만의 비서사적 소설세계 가장 깊숙한 곳까지 이어진다. 한국문학이 가질 수 있는 가장 귀중한 마이너리티의 감성, 배수아 배수아, 1990년대 포스트모더니즘 문학의 흐름 속에도 유난히 낯설고 독특한 모습으로 등장했던 이 작가는 그후 18년 동안 6권의 소설집, 13권의 장편소설, 1권의 에세이, 여러 독일어 번역문학을 쉼 없이 선보이며 소설가이자 에세이스트로, 번역문학가로 자신의 영역을 구축해갔다. 그 과정에서 배수아는 내러티브 소설 작법에 따르지 않고 배수아 고유의 독특하고 견고한 문학적 세계를 창조했다. 그 세계에서 ‘소설’이란 구체적인 서사구조와 인물 없이도, 미문이나 아포리즘에 기대지 않고도, 작가와 화자의 의도적인 중첩 속에 사유와 문장을 쌓아나가는 방식으로 완성되는 이야기다. 그리하여 배수아의 소설은 언제나 양극단의 반응을 얻었다. 그의 소설이 지루하고 난해하여 읽는 것이 아니라 해독해야 한다고, 그의 문장이 번역투의 비문이라고 하는 ‘대중’이 존재했고, 또 그의 소설이 일관되게 담고 있는 단단한 언어적 사유와 상상력에 기반한 미적 성취에 열광하는 ‘매니아’가 존재했다. 꿈과 환상이라는 요소를 전면에 내세운 전작 『북쪽 거실』(2009) 이후 그보다 더 심화되고 확장된 모습으로 완성된 세계가 이번 장편소설 『서울의 낮은 언덕들』이다. 서사를 압도하는 진술체의 문장은 이제 ‘낭송극’이라는 무대로까지 나아간다. 사유의 문장을 통해 서사가 아닌 서사를 만들어냈던 것처럼 이번 작품에서는 문자를 통해 음성(낭송)으로 감정과 감각을 확장시키려 한다. “도시와 언어를 바꾸어도 소용이 없었다. 무엇인가가 끊임없이 나를 빨아대는 이 어질어질한 현기증의 느낌” 주인공은 ‘경희’라는 이름을 가진 30대의 여성. 그녀는 낭송극 전문 무대 배우로 오래 활동해왔으나 점차 성우, 아니운서 등에 밀려 일거리가 줄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어느 날 문득, 자신의 독일어 선생이었던 이가 죽음을 앞두고 있다는 소식을 받고 “더 이상은 그 어떤 일도 할 수 없게 막연하고도 암울했으며, 더 이상은 아무런 행복도 불행도 느낄 수 없었고, 그러므로 불가능하게도 그를 찾아서, 걸어서 여행을 떠나야겠다”라고 충동적으로 결심한 경희는 먼 나라, 먼 도시로의 여행을 떠난다. 단출한 여행가방을 들고 낯선 도시의 공항에 도착한 ‘경희’는 그곳에서 ‘미스터 노바디’, ‘마리아’, ‘반치’, ‘치유사’ ‘동양인 남성’ 등 여러 사람들을 만난다. 그들은 특정한 이름으로 좀처럼 호명되지 않으며 어떤 존재인지 잘 드러나지 않는다. 종종 화자는 명확한 기준 없이 주인공 ‘경희’에서 갑자기 ‘우리들’이라는 구체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주체의 복합으로 이동하기도 한다. 그리고 낯선 꿈으로 이루어진 숲속에서 길을 잃어버리듯, 경희의 목소리를 따라 이 아름다운 혼란과 낭송의 소설을 읽어가던 독자의 눈앞에 어느 순간 ‘경희’라는 존재는 사라져버리고 만다. 그리고 그녀의 흔적과 기억을 더듬으며 그녀를 찾아나서는 ‘우리들’의 목소리로 서사는 가득 차오르면서 소설은 마지막 순간에 한 편의 낭송극 무대로 변신하여 막을 내린다. “내가 고민하는 것은 그 스토리를 전달하는 비서사적 진술 방식의 발견이며, 내가 저항하는 것은 스토리텔링을 소설의 명품 필수 아이템 정도로 생각하는 사고 자체이다. 『서울의 낮은 언덕들』은 종결되었지만, 앞으로 나는 어떤 형태로든 이 이야기의 후속편 혹은 보완편을 쓰게 되리라는 예감이다” (배수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