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일본역사교과서왜곡대책반 비망록을 열며 _ 4 1장 단군, 신화인가 역사인가 단군기원의 의미 _ 19 수동태로 쓰인 우리 역사 _ 22 선생님도 믿지 않는 건국 기록 _ 23 <세종실록지리지>와 고조선 _ 26 기원전 7세기 문헌에 나오는 고조선 _ 28 단군은 가공의 인물인가 _ 30 2장 한반도의 청동기시대는 언제부터인가 청동기 역사가 이상하다 _ 35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에 대한 대응 시나리오 _ 37 ‘이 씨 조선’도 고치지 않는 일본 _ 39 기원전 400년에서 기원전 4000년까지 _ 40 자고 나면 학설이 달라지는 게 고고학 _ 44 청동기 문명과 국가 건설 _ 48 청동기는 어디서 시작되어 어떻게 전파되었나 _ 51 청동기의 나라 고조선 _ 55 3장 고인돌에 새겨진 역사 고조선, 청동기, 고인돌 _ 61 전 세계 고인돌의 절반이 한반도에 있다 _ 64 영국의 스톤헨지와 한국의 고인돌 _ 67 고인돌의 건축 연대가 열쇠다 _ 69 고인돌은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전파됐다 _ 72 한류보다 파급효과가 큰 고인돌 연구 _ 74 4장 단군릉과 단군 뼈의 진실 단군과 아브라함 _ 77 북한의 단군릉 발굴 _ 78 발굴은 인정하나 단군릉은 인정 못해 _ 82 50여 회 측정, 동일한 결과 _ 85 유물 절대연대 측정의 한계 _ 89 조작된 결과인가, 잘못된 실험인가 _ 91 단군릉 논쟁은 빙산의 일각 _ 94 5장 고조선은 대동강 유역에 있었나 한사군 논쟁의 의미 _ 99 패수는 대동강인가 _ 101 《사기》에 기록된 위만조선과 한의 전쟁 _ 104 《사기》에 나타난 진실 _ 112 평양은 어디에 있었을까 _ 115 평양성이 왕험성이 아닌 4가지 이유 _ 119 한사군은 설치된 적이 없다 _ 120 국사 교과서와 한사군 _ 122 학교에서 배우지 않은 역사 _ 125 6장 명도전은 고조선 화폐가 아닐까 명도전이 연나라 화폐가 아닌 이유 _ 137 고조선과 연나라는 전쟁 중이었다 _ 143 진시황의 도량형 개혁과 반량전 _ 145 명도전 출토 분포를 보면 고조선이 보인다 _ 148 명도전 유적과 패수의 위치 _ 153 명도전 연구가 필요하다 _ 157 7장 일본은 《삼국유사》를 변조했나 《삼국유사》 중종 임신본 _ 159 조선사편수회에서 울분을 터뜨린 최남선 _ 160 고조선 이전에 환국이 있었다 _ 163 재야 학자들이 하는 소리 _ 165 원본에 덧칠된 글자 _ 166 1904년 도쿄제국대 발행 《삼국유사》 _ 170 누가, 왜 고쳤을까 _ 176 변조되지 않은 《삼국유사》를 찾아서 _ 178 國인가 因인가, 이체자 논쟁 _ 180 환국은 환인의 오류가 아니다 _ 181 환국·환인 논쟁 왜 중요한가 _ 188 환국은 나라인가, 신인가 _ 190 일본의 역사 왜곡은 현재진행형 _ 192 국보급 고문서 변조는 국제적인 범죄행위 _ 194 8장 위서 논쟁 속에 묻혀버린 고조선 위서란 무엇인가 _ 197 영광스런 고대사를 위해 만든 책 _ 198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하는 기서와 비기들 _ 202 《규원사화》의 오류 _ 204 ‘문화’는 20세기 초 일본에서 수입된 말인가 _ 208 위서 논쟁 이전에 전문 감정이 필요하다 _ 212 9장 《환단고기》에 기록된 천문 현상 《환단고기》가 주목받는 이유 _ 217 붉은 악마와 치우천왕 _ 220 대종교 계통의 책이라 믿을 수 없다 _ 222 연개소문 아들 남생의 기록에 담긴 비밀 _ 223 발해 정혜 공주의 묘지와 《환단고기》 _ 227 천문학으로 《환단고기》의 비밀 푼다 _ 229 재야 사서의 비판적 연구가 필요하다 _ 234 10장 고조선 논쟁은 계속돼야 한다 고조선 역사, 불가피한 논쟁 _ 237 일제강점기 역사 말살과 왜곡의 상처 _ 240 역사 논쟁은 훌륭한 논술 교재 _ 241 단군조선은 우리의 과거이자 미래 _ 243 도표·고조선에 대한 견해 차이 _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