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더

이반 일리치
398p
구매 가능한 곳
별점 그래프
평균3.8(8명)
평가하기
3.8
평균 별점
(8명)
이반 일리치 전집. 페미니스트들은 말한다. 인간에게는 ‘성’만이 본래적이고 ‘젠더’는 사회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라고. 이반 일리치는 말한다. ‘성’이 만들어진 것이고 인간은 처음부터 ‘젠더’로 태어나서 자라난다고. 1983년 출간 직후부터 숱한 오해와 논쟁을 불러일으킨 이 책은 오늘날의 성차별 문화가 근현대 자본주의 사회에만 있는 기이한 현상임을 밝혀낸다. 일리치는 주장한다. 원래 남자와 여자는 불평등한 게 아니라 비대칭적일 뿐이며, ‘젠더’라는 서로 비교할 수 없는 특징을 가진 존재들이었다고. 일리치의 이 책은 현대의 성차별적 현실을 뿌리로 거슬러 올라가 조명한 역사서이자, ‘경제적 인간’의 탄생에 대한 인류학적 보고서이기도 하다.

[디아스포라영화제 개최]

단, 5일 간 인천에서 만나요!

디아스포라영화제 · AD

별점 그래프
평균3.8(8명)

[디아스포라영화제 개최]

단, 5일 간 인천에서 만나요!

디아스포라영화제 · AD

저자/역자

코멘트

2

목차

감사의 글 제1장 성차별로 이룬 경제 성장 세뇌된 언어들 / 경제적 중성의 시대 / 성장을 포기해야 하는 이유 제2장 보이지 않는 성 경제 보고되는 경제 / 보고되지 않는 경제 / 그림자 경제 / 그림자 경제와 성차별 / 빈곤의 여성화 제3장 젠더로 이루어진 세상 모호한 상보성 / 사회생물학의 성차별주의 / 사회과학의 성차별주의 제4장 토박이 문화 속의 젠더 젠더와 도구 / 젠더, 지대, 상업, 수공업 / 젠더와 친족 / 젠더와 결혼 제5장 젠더의 공간과 시간 젠더 구분하기 / 젠더와 가정 / 젠더와 현실 이해 / 젠더와 말 제6장 젠더의 역사 젠더 경계 넘기 - 금기와 ‘파네’ / 동성애의 역사 / 양심을 발명하다 / 성의 도상학 제7장 경제적 중성의 시대 다시 쓰는 젠더의 역사 / 과학으로 지어낸 과거 / 마지막 이야기 주와 참고문헌 해설: 박경미 (이화여대 교수)

출판사 제공 책 소개

■ 현대 성차별주의의 경제적 뿌리를 파헤치다 - 인간의 타고난 ‘젠더’는 어떻게 경제적 ‘성’으로 전락했는가? 페미니스트들은 말한다. 인간에게는 ‘성’만이 본래적이고 ‘젠더’는 사회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라고. 이반 일리치는 말한다. ‘성’이 만들어진 것이고 인간은 처음부터 ‘젠더’로 태어나서 자라난다고. 1983년 출간 직후부터 숱한 오해와 논쟁을 불러일으킨 이 책은 오늘날의 성차별 문화가 근현대 자본주의 사회에만 있는 기이한 현상임을 밝혀낸다. 생식기만으로 구분되는 여자와 남자란 인류 역사에 한 번도 존재한 적이 없다. ‘성역할’이라는 이름 아래 남녀에게 생산과 소비의 기능을 각각 부여하고, 둘을 끊어질 수 없는 경제 단위로 묶은 것이 성(sex)이기 때문이다. 일리치는 주장한다. 원래 남자와 여자는 불평등한 게 아니라 비대칭적일 뿐이며, ‘젠더’라는 서로 비교할 수 없는 특징을 가진 존재들이었다고. 따라서 성에 근거하여 남녀평등을 외치는 오늘날의 여성운동은 성이 근대 경제체제가 만든 획일적 인간형의 표현임을 망각하는 경향이 있다. 성을 동등한 것으로 주장한다고 해서 남녀가 평등해지는 게 아니라 언제든지 대체가능한 중성의 경제적 행위자 ‘호모 에코노미쿠스’를 강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리치는 이 책에서 풍요롭고 건강했던 과거 문화 속의 젠더를 복원한다. 다양한 공동체들 속에서 어떻게 젠더가 서로를 도우며 삶의 터전을 일궈나갔는지를 생생하게 기술한다. 일리치의 이 책은 현대의 성차별적 현실을 뿌리로 거슬러 올라가 조명한 역사서이자, ‘경제적 인간’의 탄생에 대한 인류학적 보고서이기도 하다. ■ ‘젠더’란 무엇인가? 이 책 『젠더』에서 일리치가 말하려는 요지는 책의 첫 머리 문장으로 요약된다. “산업사회는 두 가지 신화를 창조했다. 하나는 이 사회가 성적인 계보에서 나왔다는 신화이고, 다른 하나는 평등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는 신화이다.”(본문 15쪽) 저자의 말인즉, 성차별이 만연했던 과거 사회가 오늘날 성평등으로 나아가고 있는 게 아니라, 남녀간 차별이 아닌 젠더의 차이에 기초했던 사회가 오늘날 성 중심의 사회로 변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젠더’란 무엇인가? 흔히 젠더(gender)는 두 번째 성, 곧 태어날 때부터 가지는 생물학적 성(sex)에 비해 사회적이고 후천적으로 주어진 성이라고 설명한다. 그러나 일리치의 생각은 이 지점부터 다르다. 인간은 애초부터 암수의 동물로 환원할 수 없는 존재이며 그렇게 존재했던 적이 아예 없다는 것이다. 성을 원초적인 것으로 보는 것은 근대 과학의 획일적인 동질화 논리에서 나온 허구의 관념일 뿐이다. 갓난아이는 몸을 뒤척이고 손을 뻗을 때부터 젠더의 눈으로 세상을 지각한다. 왜냐하면 아이를 둘러싼 문화와 환경이 그렇게 만들어져 있기 때문이다.(본문 126쪽 참조) 인간을 인간으로 만드는 문화와 젠더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젠더는 사라지고 성이 지배하는 세계, 그리하여 성차별이 만연한 세계가 되었을까? 일리치는 그 이유를 경제적 측면에서 찾는다. 서로 다른 젠더가 합심하여 공유의 환경을 일구며 살아가던 세계에 모든 것을 평평하게 문질러 균질화한 화폐 및 시장의 논리가 침투하면서, 젠더를 상실한 중성화된 경제적 행위자만이 남게 되었다는 것이다. 공동의 생계를 위해 남녀가 합심해 일하는 것이 아니라, 근대가 발명한 ‘희소성’의 가치를 위해 누구나 똑같이 상품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사회에서는 재생산의 경제적 단위인 ‘성’이면 충분하다. ■ 상보성과 비대칭성의 원리 일리치는 과거의 삶과 문화가 ‘젠더’에 의해 가능했던 이유로 상호보완성과 비대칭의 원리를 든다. 어느 문화에서나 젠더 사이에는 뚜렷한 경계가 있어서 함부로 침범하거나 넘나들 수 없었고, 남녀는 서로 존중하는 관계였다고 한다. 젠더 경계는 지역이나 공동체마다 모두 달랐고, 그 덕분에 공동체들은 저마다 독특한 문화를 일구었다. 구성원들은 누군가 멀리서 일하는 것만 봐도 여자인지 남자인지 알았고, 농사도구도 서로 달랐으며, 걸음걸이조차 달랐다고 한다. 이런 역할들이 한데 어울려 공동의 생존 조건을 마련했으며, 여기에 우열은 없었다는 것이다. 이처럼 젠더는 경쟁과 대립이 아닌 비대칭의 상호보완적 관계였고, 어느 곳에서도 동일하지 않은 근본적 이원성을 이루고 있었다. 왼손 없이 오른손만으로 할 수 있는 일이 없듯이, 그러면서도 양손의 역할이 똑같을 수 없듯이, 남녀는 다르면서 서로 어울렸던 것이다. ‘성’이 하나에 하나를 더해 정확히 똑같은 쌍들을 만들어내는 이원성이라면, ‘젠더’는 두 부분이 합쳐져 언제나 새로우며 복제 불가능한 전체를 만들어내는 이원성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그러나 모두가 동일한 상품을 생산하고 동일하게 필요를 충족하는, ‘교환가치’에 바탕을 둔 산업사회에서는 성을 통해 남녀를 구분할 필요가 있었다. 동일 기준으로 남녀를 비교할 수 없는 젠더 사회에 대해서는 산업사회의 공리를 관철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산업사회는 필연적으로 성차별적일 수밖에 없다. 성적으로 동등한 남녀가 희소성을 둘러싸고 경쟁하는 한, 여기서는 어떤 식으로든 지배하거나 종속되는 성이 나올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 젠더와 성으로 바라본 남녀 관계의 역사적 조감도 이 책 『젠더』에서 저자는 젠더 소멸과 성으로의 이행 과정을 설명하면서 깊은 역사적 통찰력을 보여준다. 젠더 사회가 성 중심 사회로 이행한 데는 시장의 형성, 자본주의 침투, 화폐와 상품 의존성의 심화 같은 경제적 이유도 있었지만, 가족, 농촌공동체, 교회 등 사회 구조와 관념상의 변화도 있었다. 일리치는 여러 흥미로운 사례를 들어 중세와 근대초의 젠더 변화를 보여준다. ‘샤리바리’라는 농촌공동체의 자율적 처벌 관습, 마녀가 탄생한 이유, 개인의 특이한 습성 정도로 여겨졌던 동성애 문화, 세계 각 지역의 젠더 구분 관행 등 풍부한 역사적 예화들이 등장한다.(제4장, 제5장 참조) 이 사례들은 그 자체로 흥미진진한 읽을거리를 제공한다. 토박이 젠더 문화가 근대의 획일적 성으로 바뀐 과정에는 특히 교회의 역할이 컸다고 저자는 지적한다. 교회는 ‘혼인성사’ 제도를 통해 부부 결합을 표준으로 만듦으로써 부부 중심 가정이라는 근대의 관념을 확립했다. 공동체의 기초가, 집과 토지와 혈연을 모두 포함하는 도무스(domus, domain)에서 남녀로 이루어진 원자적 부부로 바뀐 것이다. 이와 함께 교회는 남녀 젠더가 마땅히 지켰던 ‘도리’가 아닌 인간 보편의 ‘양심’을 교리에 도입하고 고백성사를 공식화함으로써, 각 가정의 침대와 개인의 마음속까지 밀고 들어올 명분을 확립했다. 이런 돌봄과 관리의 체제가 상품 및 서비스 공급을 중심으로 한 근대 경제체제의 초석이 되었음은 물론이다.(제6장 참조) ■ 이반 일리치가 꿈꾼 것 일리치의 젠더 이론은 오늘날의 페미니즘과는 구별되는 측면이 다분히 있다. 과거의 가부장제 사회가 현대의 성차별주의와는 전혀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었고 젠더 간의 단순한 권력 차이에 기인한 것이라고 해석한다든지, 여성운동이 허구의 양성 개념에 기초해 있는 한 성 평등은 이루기 힘든 목표로 남을 거라는 비판이 그러하다. 사회적으로 부여된 젠더를 인간의 근원적 존재 양식으로 보는 것부터 일리치는 큰 모험을 감행하고 있는 셈이다. 일리치의 이런 주장들은 그의 관심사가 성 평등의 실현만큼이나 인간의 회복에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는 여성과 남성에게서 자립적 생존의 능력을 빼앗고 상품경제의 예속적 존재로 추락시킨 경제성장과 효율성의 이념을 특히 문제시한다. 그러기 위해서 일리치는 먼저 산업사회의 위조된 성적 계보와 거기에 근거한 평등의 신화를 폭로해야만 했다. 젠더 회복은 결국 일리치에게 성 해방만이 아닌 인간 회복의 문제였던 것이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3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