늑대가 온다

최현명
384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코멘트

1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

목차

- 네이멍구 야생일기 - 늑대 화보 - 여행 밖 늑대 이야기 - 추천의 말

출판사 제공 책 소개

2020 우수환경도서 선정도서 최현명의 늑대 이야기는 몽골 초원처럼 넓고 숲의 소리처럼 깊다 음흉하고 사나운 부정적인 이미지도 있지만 동시에 늑대는 언제나 매력적인 동물이기도 했다. 개와 같은 DNA를 가지고 있어서일까, 낯설지만 왠지 더 궁금하기도 한. 《빨간 두건 소녀》의 무서운 늑대의 모습은 쉽게 잊혀 졌고, 《정글북》 속 모글리의 가족들이기도 했던 늑대 가족이나, 〈늑대아이〉 같은 이야기 속 늑대소년의 모습은 오래도록 기억에 남았다. 고도의 유기적 협력 체제, 가족 중심의 작은 사회, 신뢰와 약속과 지도력과 신중함으로 대표되는 성품…… 《늑대가 온다》의 하루하루를 읽어나가며, 저자의 등 뒤에 꼭 붙어 도무지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늑대를 쫓으며, 조곤조곤 늑대의 이야기를 풀어놓는 저자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다보니, 문득 늑대를 포함한 야생과 지금 현대의 문명 중 어느 쪽이 더 야만적인가를 생각하게 된다. 은빛 머리칼에 늘씬한 체구, 반짝이는 눈매의 최현명 선생의 모습을 떠올리니, 아닌 게 아니라 그가 곧 우리들 속의 늑대가 아닌가 싶기도 하다. 이 책에서는, 많은 추천인들이 말하고 있는 대로 다른 무엇보다 늑대를 향한 저자의 열정과 애정이 단연 돋보인다. 이십여 년 이상을 늑대에만 매달려온 그의 이야기는 이제야 시작이다. 이 책의 마지막 장을 덮는 순간, 우리는 곧장 그의 다음 책을 기다리게 될 것이다. 원고를 끝내고 난 늦은 밤 저자는 읊조리듯이 탄식처럼 내뱉었다. “입에서 단내가 날 만큼 달려서 모래언덕 꼭대기에 올랐는데, 녀석은 이미 사라졌다. 괴롭힐 마음이 털끝만치도 없는데, 녀석은 순간의 시간도 허락하지 않았다. 나는 왜 사람이고 너는 왜 늑대일까. 무엇이 이토록 간절하게 만들었을까. 도대체 알 수 없는 인연이지만, 지금 녀석과 나는 같은 시간에서 살고 있다.“ 네이멍구를 떠나기 전날 우얼순 강가에 앉아 쓴, 그의 기록. “이제 나는 집으로 간다. 여행이란 결국 돌아오는 과정에 불과하다. 더 머물고 싶지만 어차피 집과 가족을 품고 떠나온 길이었다. 돌아가면 또 이곳이 그리워 몸앓이를 할 터. 그러다 또 떠날 궁리를 하겠지. 우얼순 강가에 앉아 가장 기억에 남는 사람과 인상적인 장면을 되새김질하다가 곧 그만둔다. 아무것도 잊지 않는 게 좋으니까 애써 기억하여 의미를 새길 필요도 없다. 눈에서 멀면 마음에서도 멀어진다 했던가. 이제 우리나라에서 늑대가 사라진 지 반세기가 되었다. 그 세월만큼 사람들이 생각하는 늑대에 대한 편견도 두터워졌다. 미우나 고우나 함께 살 때 느꼈을 공포와 미움의 강도는 옅어지지만, 습관처럼 배인 편견은 쉽사리 사라지지 않는다. 물음보다는 받아들임에 더 익숙한 까닭이다. 한 동물종이 완전히 사라지면 과장과 왜곡이 난무한다. 때로는 신화처럼, 때로는 괴물처럼. 그 종에 대해 모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산에서 늑대와 승냥이, 호랑이와 표범 같은 최상 포식자 종이 사라진 것은 비극이다. 그들이 사라졌다고 해서 우리 삶에 위기가 오거나 피폐해지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우리 생태계는 활력을 잃고 자연을 대하는 태도가 가벼워진 것만은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나만의 결핍일까.“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2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