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대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 현재의 텍스트는 26장으로 이루어지는데 비극론이 그 대부분을 차지한다. 비극론에 이어 희극을 논하는 제2부가 있었으나 이것은 없어졌다. 예술활동이 대부분 인간의 모방본능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는 유명한 모방설에서 논술이 전개되었다. 모방의 수단·대상·방법에 따라서 예술의 장르가 나누어짐을 역설하고 그에 따라서 연극의 정의가 내려지고, 이어서 비극과 희극의 구별 및 각각의 기원을 기술하고 있다. 제6장에는 이미 기술한 내용을 정리하고 비극의 정의가 기술되는데, 유명한 정화설(카타르시스)은 이 정의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비극은 관중의 마음에 두려움과 연민의 감정을 유발하고 그에 따라서 같은 종류의 감정을 정화하는 효과를 지닌다>고 보통 해석되는 구절인데, 그 진의에 대해서는 예로부터 논의가 계속되어 왔다. 다음으로 비극의 구성요소로서 이야기(줄거리)·성격·문체·사상, 시각적 효과, 작곡의 6가지를 들고 각각의 실례를 들어 논술하였으며 저자가 품고 있는 비극의 이상상을 묘사하였다. 제20∼22장은 문체에 관한 것이고 거의 문법론 내지 문체론적 내용이다. 제23장부터 마지막 장까지는 주로 서사시 및 서사시와 비극을 비교하여 논하였는데, 모두 비극을 문학의 최고 형식으로 생각하는 저자의 입장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 책은 근세에서 오늘에 이르기까지 문학이론의 고전으로 평가되고 있다.--한메디지털백과사전
영화 속 '주인'처럼 10대였던 시절 🏫
윤가은 감독이 사랑한 별 다섯 개 영화들을 확인해 보세요!
왓챠피디아 · AD
영화 속 '주인'처럼 10대였던 시절 🏫
윤가은 감독이 사랑한 별 다섯 개 영화들을 확인해 보세요!
왓챠피디아 · AD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