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눈보라 치는 길 위에서 겪은 극한의 고통과 우정의 기록. <아이슬란드 너는 나에게 뜨거웠다> 저자 박종성은 간절기 옷에 얇은 텐트를 짊어지고 67일 간의 아이슬란드 여행길에 오른다. 그는 아이슬란드의 외곽을 따라 710km를 걷고 산악지역은 히치하이크로 676km 총 1386km를 횡단한다. 오로라와 설경으로 유명한 아이슬란드의 아름다운 풍경과 텐트를 짊어진 여행자의 현실은 정반대다. 빈 집에서 가위에 눌리고 공중화장실에서 자고 주린 배를 안고 눈보라 속을 걷는다. 때론 서럽고 힘들어 다 포기하고 싶다. 하지만 마음 속 깊은 곳에서 무언가 치고 올라온다. 여기서 멈출 수 없다. ‘좋다, 비바람아 어디 불어봐라. 힘껏 밀어내 봐라. 누가 이기는지 한 번 해보자.’ 오늘은 어디에 도착하게 될지, 어디서 자게 될지 모르지만 그는 포기하지 않는다. 희망을 가지고 또 한 걸음 한 걸음 꿋꿋이 걸어갔다. 아이슬란드의 겨울은 지독히 차갑지만 거기에는 너무나 따뜻한 사람들이 있다. 배낭을 메고 걷는 그에게 차를 돌려 다가가 태워다 줄까 묻고, 빈 방도 내어준다. 마치 우리의 어머니들처럼, 저녁을 대접하고 다시 길에 나서는 그에게 따뜻한 커피도 챙겨준다. 그는 목표를 향해 걸어간다. 절대 잊을 수 없는 폭포의 절경도 마주하고, 화장실에서 같이 잘 친구도 만난다. 아름다운 오로라는 사진기로 담아내기를 포기하고 그저 말없이 바라본다. 67일간의 생생한 여행기는 지루할 틈이 없다. 그의 여행에는 너무나 차갑고 너무나 따뜻한 순간들이 강렬하게 공존한다. 그리고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는 저자의 발걸음에 어느새 빠져들게 된다. 저자 박종성은 평범한 여행가가 아니다. 그의 여행기에는 맛집이나 관광명소가 담겨있지 않다. 그는 25kg의 배낭을 짊어지고 아이슬란드 도보 횡단길에 나선다. 설레임을 가지고 출발한 첫 날. 물통의 물이 점점 얼어가고 추운 날씨에 몸도 마음도 점점 어는 듯하다. 첫날밤은 그야말로 악몽 그 자체다. 현지 친구의 조언대로 찾은 폐가는 당장이라도 귀신이 나올 것만 같다. 어쩔 수 없이 텐트를 설치하고 덜덜 떨며 가위에 눌려 자다 깨다를 반복한다. 그래도 아침은 온다. 여행은 시작되었으니까. 한걸음씩 앞으로 나아가는 거다. 몰아치는 눈보라 앞에서 나홀로 눈물을 흘리고 때로는 버스를 타고 집으로 돌아가고 싶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아침에 되면 또다시 여행길에 오른다. 누구와 약속을 한 것도 아니다. 자신의 한계를 시험하듯이 갈 수 있는 만큼 가보는 거다. 언젠가 후회하지 않도록. 그는 멈추지 않는다. 모두 스스로 정한 일이다. 그는 절대 포기하지 않는다. “나는 지금 내가 선택한 여행을 하는 중이다.” 추위 속에서 잘 곳을 찾는 일은 가장 힘든 일이다. 강풍이 부는 허허벌판에 텐트를 치기에는 너무 춥다. 함부로 사유지에 텐트를 칠 수도 없는 일이다. 결국 염치고 체면이고 다 내려놓고 불이 켜진 집을 찾아 초인종을 누르고 하룻밤만 자도 되겠냐고 묻는다. 지독히 추운 아이슬란드에는 예상외로 따뜻한 사람들이 살고 있다. 폐가에서 자려는 그를 구하기 위해 마을사람들이 모여 회의를 하고 저녁 만찬에 초대하기도 한다. 갓 구운 스테이크를 먹으며 감동한 그에게 이게 당연한 거라고 말한다. “세상은 감사하는 자들의 것이라는 말이 가슴으로 와닿았다. 세상은 감사하면 할수록 더 감사할 일을 만들어주었다. 소중히 해야 할 삶의 진리를 여행 속에서 배워가고 있었다.” 아이슬란드의 추위와 극한의 고통, 앞으로 나아가려는 의지, 또 오로라와 온천 등의 아름다운 자연, 그리고 너무나 따뜻하고 사랑스러운 사람들... 이보다 더 차갑고 더 뜨거운 곳이 있을까. 감성적인 사진이 가득한 책장을 넘길수록 저자와 함께 차고도 뜨거운 아이슬란드를 깊이 탐험하게 된다. “나는 지금 아이슬란드를 그리고, 이곳의 겨울을 여행하고 있다. 아마도 언젠가 시간이 흘러 이 시리게 추웠던 겨울을 기억하겠지만, 이 따뜻함 또한 함께 기억 할 것이다. 오래도록 잊지 못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