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수의 문화 사랑방 디자인 사랑방

김민수
224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코멘트

1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

목차

머리말 5 프롤로그_불교와 디자인 17 1장 상품이 행복을 주진 않는다 어린이날과 문방구 23 청바지와 상품 이데올로기 26 유치한 광고, 왜곡된 가치관 29 거꾸로 가는 유비쿼터스 33 환골탈태 한국 자동차 36 휴대하고 살아야 할 것들 39 2장 왜곡된 역사, 뒤틀린 정체성 기억과 동상 45 위대한 의자와 히틀러 55 왜곡된 숭모사업 64 일본 교과서와 아톰 71 혐한류의 속살 74 6?15와 「모내기」 사건 77 베를린에서 DMZ까지 81 3장 전통의 힘 토리노 동계올림픽과 이탈리아 디자인 87 애니멘터리 한국설화 96 국립고궁박물관 개관 99 달항아리의 미학 102 국립중앙박물관 개관 107 우에노 공원에서 111 숙정문 개방과 한양성 116 헤이리와 ‘아름다운 옛 책’ 전 119 4장 예술가의 초상 백남준이 남긴 것 125 고우영 만화와 해학의 미학 133 오윤의 부조리 미술 140 통영 ‘윤이상 거리’에 서서 144 이철수 판화와 ‘작은 것들’ 147 단원 김홍도와 화격 150 찰나의 순간과 깨달음: 카르티에-브레송의 사진미학 154 내 서랍 깊은 곳에서: 나라 요시토모의 이면에 157 “바람이 또 나를 데려가리”: 키아로스타미의 흑백사진들 160 보드리야르의 ‘존재하지 않는 세계’ 163 절망에서 희망으로: 세바스티앙 살가도의 다큐 사진 166 뉴미디어 아트의 가능성 169 실험영화가 사는 길 172 5장 공공을 위한 디자인은 무엇인가 수직도시의 판타지 177 판타지 문화의 성찰 187 새 청사가 곁에 있어도 194 청계천 블루스 199 새로운 자동차 번호판 202 노들섬 오페라하우스 205 건축가들이 통영으로 간 까닭은 208 걷고 싶은 도시의 여백: 선유도 공원 211 에필로그_내가 원하는 우리 문화 221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디자인이 대세인 시대, 그만큼 디자인의 오용과 남용도 늘어났다.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디자인은 오늘날 한국 사회를 움직이는 중대한 정치.사회.경제적 의사결정과 공생 관계를 이루며 그저 상품을 꾸미듯 폼 나게 사는 법만을 가르친다. 이에 맞서 <필로디자인>의 저자 김민수 교수는 겉모습 이면, 시각 문화의 진실을 꿰뚫어 보는 힘을 길러준다. 상품미학과 왜곡된 역사 문제를 다루면서 잘못된 현실에 눈뜨고, 전통의 힘과 치열한 예술적 혁신으로부터 삶에서 진짜 소중한 가치들을 깨닫게 하는 “문화와 디자인을 제대로 읽는 법”을 알려준다. 디자인 열풍을 넘어 생성하고 소통하는 삶의 문화 읽기! -시각문화 독해력으로 회복하는 문화사회의 꿈 디자인이 대세인 시대, 수도 서울을 비롯한 주요 도시들이 모두 공공디자인을 명분으로 성형수술중이다. 명품도시, 감성도시, 친환경도시 건설, 디자인거리 조성 및 간판 정비사업 등 수많은 개발 사업들이 남발하는 더 멋진 삶의 구호와 이미지……. 첨단 기능과 ‘간지 나는’ 물건들로 채워진 e-멋진 아파트에 사는 우리의 삶을 돌아보자. 그래서 정말 우리는 세계적 수준의 ‘아름다운 나라’에서 명품인생을 살고 있는가? 오히려 남들에게 자랑하기에만 좋은 왜곡된 이미지만 좇다가 지쳐, 정작 추구해야 할 인간의 향기, 열정과 품위는 잃어버린 삶을 살고 있지 않은가. 서울대 디자인학부 김민수 교수는 새 저작 『김민수의 문화 사랑방 디자인 사랑방』(이하 『김민수의 문화 사랑방』)에서 디자인을 통해 삶의 질을 높이려는 사회적 관심이 높아진 것은 바람직한 일이지만, 그만큼 디자인의 오남용 역시 심각해졌다고 진단한다. 그는 이 문제를 내면의 진실보다 화려한 겉모습을 중시하는 문화 전반의 문제로 설명한다. 남의 시선에 맞춰진 허울뿐인 삶에 갇히는 이 현상은 사실 근대 서구 문명, 그리고 그것을 모방한 일본 제국주의가 타자들에게 이식한 오리엔탈리즘의 부작용이다. 경제가 발전해, 돈이 생긴 지금은 증상이 더욱 심해졌다. 그렇게 남들 보기에 좋게(팔리기 좋게) 상품을 디자인하고, 생활의 공간과 삶 자체를 디자인하는 맞춤형 삶 속에서, 삶의 열정을 고양시키고 시대정신과 사회적 가치를 표현하는 예술과 문화는 오히려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그 대안으로 김민수 교수는 현대 사회에서 시각문화가 갖고 있는 중요성과 그 기능을 제대로 이해하는 시각문화 독해력 증진을 제시한다. 그것은 돈벌이와 연결된 문화산업이 아니라 우리가 일상에서 만나는 상품, 역사, 전통문화, 현대예술 등 보다 보편적인 차원에서 문화를 이해하고, 그 문화의 맥락과 진정성을 꿰뚫어 볼 줄 아는 능력이다. 그간 몸을 움직여 사유와 실천을 결합해 온 것처럼, 김민수는 한국의 문화 현장을 직접 찾아다니며 우리의 시각문화가 어디서부터 잘못되었고, 또 어디에서 희망을 찾을지 문화 읽는 법을 친절하게 알려준다. 더 많은 대중들이 헛된 욕망만을 추구하는 판타지에서 깨어나 소통하고 교감해 신뢰를 형성하는 사회적 미학으로 나아가 직접 문화를 읽고 생산할 수 있는 사회를 희망하면서. 욕망만 부추기는 디자인 산업 vs 소통-관계-신뢰의 공공미학 그동안 우리는 문화 혹은 디자인 하면 더 예쁜 것, 우아한 것, 아름다운 것을 사적으로 소유하거나 즐기는 차원에서 생각하곤 했다. 그러다 보니, 문화란 말은 곧 ‘럭셔리’로 포장되었다. 사회학자 부르디외의 설명대로 ‘나는 남과 다른 사람’이라는 구별을 문화를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이다. ‘문화생활’ 하면 돈을 내고 영화관이나 미술관에 가는 걸 떠올리는 것만 봐도, ‘문화’가 한 시대의 보편적 생활양식을 포괄하는 개념보다는 점점 상품 이데올로기에 가까운 말이 됐음을 알 수 있다. 문화를 무언가 아름답고 환상적인 대상 혹은 상품으로만 생각하기 때문에, 남이 만든 것을 가져다가 소비하고 소유할 욕망만이 자라난다. 그러한 욕망은 우리 자신의 문화를 생산하지 못하고, 쓰레기 더미와 환경파괴만을 낳는 ‘욕망의 사업’만 키워 줄 뿐이다. IMF시대 이후 본격 수입된 값비싼 외제 명품들, 해외 유명작가의 전시회 등이 고급 문화상품으로 인기를 끌면서, 이런 욕망은 “문화라는 포장만 씌우면 얼마든지 비싸게 팔아도 된다, 우리도 해보자” 하는 자본주의 논리와 연결되었다. 오늘날 한국 사회를 움직이는 중대한 정치공학적·사회경제적 의사결정 대부분이 디자인과 공생 관계에 들어간 것도 이 때문이고, 그러다 보니 뉴타운 개발과 광화문 광장에서 보듯, 공동체를 파괴하고, 집단적 열정을 표백시키는 수단으로 ‘디자인’이 한몫 크게 하게 된 것이다. 『김민수의 문화 사랑방』은 이처럼 점점 더 그 기능이 욕망을 포장하고 부풀리는 일로 단순화되고 있는 디자인 산업의 문제를 제기하고, 해법으로 공공미학을 제시한다. 공공미학이란 사적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건축, 디자인, 미술과 구별해 공동체의 삶을 원활하고 활기차게 약속하는 삶터 형성을 목적으로 공공성에 기초한 ‘소통-관계-신뢰의 미학’을 의미한다. 불가에서 설파하듯 비움으로써 또한 새로워질 줄 아는 초발심을 통해 삶의 활기를 되찾고, 기독교의 ‘서로 사랑하라’는 공동체적 가치와 문화를 회복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해 보자는 것이다(<프롤로그_불교와 디자인>_17쪽). 이를 위해 현재 한국 디자인과 시각문화의 현실을 꼼꼼히 챙겨보자. 디자인에서 한국 사회 읽기 <1장_상품이 행복을 주진 않는다>에서는 오늘날 상품이 우리의 구체적인 삶의 현실에 어떻게 접합되고 있는지 상품미학의 차원에서 살펴본다. <2장_왜곡된 역사, 뒤틀린 정체성>에서는 동상과 화폐 등에 담겨진 역사적 기억의 문제, 일제 잔재, 정치적 목적을 위해 사유화되고 있는 공공성의 훼손, 표현의 자유 침해, 분단 시대의 미술 등 한국 시각문화의 부조리와 현실의 문제를 다룬다. ▶상품 디자인에서 이데올로기 읽기: 물건값만 올리는 디자인은 가짜다 우리의 사회적 일생은 ‘돈’과 무언가를 맞바꿀 수 있음을 알게 되면서 시작된다. 아직 말도 제대로 못하는 아이가 문방구에서 장난감을 사고, 오락기에 동전을 넣는 재미를 알게 될 때 이미 (상품으로 이뤄진) 상징 세계로 진입하는 것이다(‘어린이날과 문방구’_23쪽). 처음엔 오래 입기 위해 만들어진 질긴 바지가 수십만 원짜리 프리미엄 진으로 변신했듯 저마다 문화적 역사를 가진 상품은 특정한 가치와 그로 인한 이미지를 갖게 된다(‘청바지와 상품 이데올로기’_26쪽). 문제는 이런 이미지가 겉만 번지르르하지, 그 내용을 따져 보면 유치한 광고를 통해 왜곡된 가치관을 양산한다는 데 있다. 자신이 소유한 자가용과 럭셔리한 아파트로 자기 삶을 설명한다니, 정말로 오락기 속 게임에나 나올 법한 사고방식이다(‘유치한 광고, 왜곡된 가치관’_29쪽). 디자인은 단지 물건값을 올리는 포장이 아니다. 그 알맹이를 제대로 담을 수 있는 그릇이어야 한다. 또 그만큼 새로운 삶의 방식을 창조할 수 있는 힘을 갖추려면 당대의 기술력과 생산 시스템, 그리고 사회 변화 등의 현실적인 기반이 따라야 한다. ▶한국 시각문화의 부조리 읽기: 역사 왜곡이 정체성 왜곡으로 서울 남산에 가면 김구 선생과 안중근 의사의 동상이 있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 동상들을 제작한 이는 친일 경력이 있는 조각가다. 단순히 친일 경력을 문제 삼는 것이 아니다. 일본 제국주의에 봉사했던 작가의 작품은 그 내용 자체가 문제적이다. 만인(滿人)이 우러러볼 수밖에 없는 높은 곳에 동상을 세우는 문화 자체가 서구 제국주의 문화의 소산이요, 동상 받침대에 새겨 넣은 군상들은 독일 파시즘 미학의 영향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런 기념물로 이 땅의 평화를 꿈꾸었던 선열들을 기리는 것은 형용 모순이다(‘기억과 동상’_45쪽). 이런 일이 일어나는 것은 우리가 친일 잔재를 말끔히 해소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는 패전 후 후속 세대의 모범이 될 수 없는 일본의 전범(戰犯) 세대가 미래에서 온 ‘아톰’으로 새 희망을 창조하고, 원폭전쟁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