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1장 난해한 고전인 『계몽의 변증법』에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1. 고전들의 난해성
2. 방대한 규모의 인식, 넘치는 통찰, 질적으로 심원한 인식
3. 개념 사용에서의 난해성
4. 논리 구성의 거부로 인한 난해성
5. 개념과 논리를 통해 구축하는 체계의 거부로 인한 난해성
6. 글쓰기 형식으로서의 에세이, 성좌적 배열
7. 한국어 번역본에 대해
2장 자연과 인간의 접촉, 문명과 사회의 전개
1. 『계몽의 변증법』에 다가가는 첫걸음, “인류는 왜 새로운 종류의 야만 상태에 빠져드는가?”
2. 자연에의 맹목적 종속 상태
3. 원시제전, 미메시스, 자기 보존
4. 자연지배의 출발, 자기 주체의 자기 포기, 주체성의 원사
5. 합리성과 도구적 합리성의 원형
6. 합리화와 비합리화의 변증법의 출발
7. 부자유한 노동과 권력의 발생, 사회의 시작
3장 계몽과 탈주술화, 신화, 계몽과 신화의 변증법
1. 『계몽의 변증법』에서 계몽의 개념과 탈주술화
2. 막스 베버의 세계의 탈주술화 테제와 『계몽의 변증법』
3. 신화
4. 계몽과 신화의 변증법
4장 문명의 타락의 진화·복합화, 도구적 이성의 본격적인 출발
1. 사고의 형성, 개념의 형성
2. 오디세우스의 개념 형성 능력, 도구적 이성의 본격적인 출발
5장 도구적 이성의 발달과 진화, 도구적 이성이 자행하는 폭력
1. 도구적 이성
2. 도구적 이성을 공구로 사용하는 계몽이 자행하는 폭력
3. 계몽의 마지막 산물로서의 실증주의
6장 계몽에 대한 계몽, 계몽 자체를 향하는 계몽, 이성의 자기 자각
1. 계몽에 대한 계몽, 지배를 두 조각으로 갈라지는 것으로 냉정하게 알리는 것
2. 이성의 자기 자각, 주체 내부에서 본성을 기억해 내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