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연동북아총서 발간에 부쳐 10
머리말 12
1장 중일전쟁기 일본의 전쟁화 │ 김용철
1. ‘명분없는 전쟁’과 부진한 전쟁화 연구 17
2. 전쟁화 제작 배경 20
3. 중일전쟁기 일본 전쟁화의 유형 23
4. 느슨한 듯 다양한 전쟁화 42
2장 “싸우는 미술(戰ふ美術)”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의 미술은 어떻게 싸웠는가│ 강태웅 44
1. 전력(戰力)으로서의 미술 44
2. 전시기 미술계, ‘르네상스’를 맞이하다 46
3. 전시기 미술계, ‘신체제’로 재편하다 48
4. 미술은 사치인가 53
5. “싸우는 미술”과 그 한계 55
6. 국가와 미 62
3장 일본 총력전 시기의 항공미술
“거짓말의 진실”을 통한 영원성의 재현 │ 한정선 64
1. 총력전과 미술 64
2. 제국 일본의 전쟁화: 선전화(宣傳畵) 또는 예술화(藝術畵)? 66
3. “광의의 전쟁화” 그리기: 항공미술 작품을 중심으로 72
4. “거짓말의 진실”로서 전쟁화 81
4장 전쟁화를 그린 여성화가
하세가와 하루코(長谷川春子)와 여류미술가봉공대(女流美術家奉公隊)│기타하라 메구미 84
1. 잊힌 제국의 페미니스트 84
2. 하세가와 하루코와 전쟁 89
3. 여류미술가봉공대와 [대동아전쟁 황국부녀 전원노동 그림
(大東亞戰皇國婦女皆?之圖)](1943) 99
4. 여성 전쟁화가의 전후: 경계침범과 상징질서의 회복 105
5장 전쟁과 일본 조각 1937~1945 │ 다나카 슈지
1. 세대 110
2. 로댕과 고전 114
3. 조각가의 기대 117
4. 필요한 조각과 필요 없는 조각 125
6장 에필로그 :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 전쟁화의 전후 행방│ 김용철
1. 전쟁화는 어디로 갔나? 130
2. GHQ의 접수와 미국 이송 132
3. 미국에서의 ‘발견’, 그리고 반환 139
4. 반환 후의 전쟁화 149
영문초록 160
초출일람 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