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도입부 53 1. 일반적 사고들 53 2. 헬레니즘 시대와 당대 자연에 대한 태도의 특징 76 제1장 우주와 지구의 질서 그리고 목적 103 1. 신학과 지리학 103 2. 목적론적 자연관의 시작 109 3. 설계에 대한 크세노폰의 사상 114 4. 신과 자연의 장인성 117 5. 자연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 122 6. 테오프라스토스의 의심 126 7. 스토아주의의 자연관 129 8.《신들의 본성에 관하여》 135 9. 에피쿠로스 철학에서 발전한 반목적론적 사고 147 10. 플루타르코스, 헤르메티카, 플로티노스 166 제2장 공기, 물, 장소 177 1. 환경론의 그리스적 근원 177 2. 히포크라테스의 “공기, 물, 장소”론 180 3. 풍속과 환경에 대한 헤로도토스의 관심 190 4. 입지론과 히포크라테스의 영향 194 5. 문화적 다양성의 문제 200 6. 로마 저작선에서의 민족지와 환경 209 7. 스트라본의 절충주의 214 8. 비트루비우스의 건축론 217 9. 필론과 요세푸스의 비판 224 10. 환경론적이고 점성술적인 민족지 225 11. 세르비우스의 베르길리우스론 230 제3장 제2의 자연 창출 233 1. 장인성과 자연에 관하여 233 2.《안티고네》와《크리티아스》 238 3. 헬레니즘 시대의 환경 변화 242 4. 환경 변화에 대한 일반적 서술 251 5. 가축화ㆍ작물화 및 기후 변화에 대한 테오프라스토스의 입장 253 6. 농촌 생활과 황금시대 256 7. 대지는 사멸하는 존재인가? 261 8. 광범위한 문명 철학에서의 환경 변화 해석 268 9. 결론 282 제4장 유대-기독교신학에 나타난 신, 인간, 자연 287 1. 서론 287 2. 창조, 원죄, 지배 289 3. 자연 질서 속의 인간 293 4. 세속의 환경 295 5. 자연에 대한 태도와 지혜 문학 299 6. 로마인에게 보낸 편지 1장 20절 304 7. 세속에 대한 경멸 307 8. 핵심적 사고와 그 영향의 본질 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