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영화이미지(학)란 무엇인가? 제1부 이미지-지각: 베르그손&벤야민&베르토프 제1장 지각과 이미지, 그리고 영화이미지: 베르그손 1. 근대 기계주의적 지각과 영화적 환영 (1) 근대 과학의 기계주의적 지각구조: 시간과 운동의 규칙적 분할∥(2) 영화적 지각구조와 근대 기계론적 환영 2. 이미지와 지각 (1) 이미지란 무엇인가?∥(2) 이미지의 두 체계와 신체 이미지∥(3) 지각과 정감∥(4) 지각과 기억 결절 제2장 분산적 지각에서 몽타주적 지각으로: 벤야민 1. 근대의 지각양식 변화와 분산적 지각: 짐멜과 크라카우어 (1) 대도시와 지각양식의 변화?신경과민증에서 둔감증으로: 짐멜∥(2) 영화?분산적 지각과 깨어남: 크라카우어 2. 시각적 충격에서 분산적 지각으로: 벤야민 (1) 근대의 이미지들과 시각적 충격: 아케이드, 교통, 군중∥(2) 영화: 촉각적 지각에서 분산적 지각으로 3. 기계적 지각과 영화 (1) 기계복제 예술: 지속성의 소멸과 지각의 기계화∥(2) 기계적 리듬과 기계적 지각, 그리고 영화 4. 변증법적 지각 및 보기의 변증법 (1) 변증법적 지각과 영화: 꿈꾸기와 깨어나기∥(2) 몽타주적 지각 및 보기의 변증법 결절 제3장 물질적 지각과 물질적 우주: 베르토프 1. 키노-아이: 기계-눈과 기계적 지각 (1) 키노-아이: 기계적 지각, 기계적 구성∥(2) 키노-아이: 현실의 기록 및 구성 2. 몽타주: 사물의 운동과 물질적 지각 (1) 몽타주: 사물의 운동과 리듬∥(2) 몽타주: 물질의 운동, 물질의 지각 3. 간격 (1) 간격: 이미지 사이의 운동∥(2) 간격과 내재성의 평면: 바깥 및 시간에 대한 사유 결절 제2부 이미지-정신: 엡슈타인&발라즈&모랭&미트리 제4장 포토제니, 그리고 사유하는 기계로서의 영화: 엡슈타인 1. 포토제니와 영화이미지: 델뤽과 엡슈타인 (1) 델뤽의 포토제니: 사진과 영감의 결합∥(2) 엡슈타인의 포토제니: 영화이미지와 정신적 특질의 증대 2. 영화: 시간을 사유하는 기계 (1) 포토제니의 운동성: 시공간 안에서의 가변성∥(2) 영화이미지와 시간적 원근법∥(3) 영화: 시간을 사유하는 기계 3. 영화이미지: 애니미즘적, 원시주의적 언어 (1) 인격성과 애니미즘∥(2) 원시주의와 현전성 결절 제5장 상相, 얼굴, 신체: 발라즈 1. 영화이미지와 상 (1) 상: 내적 특질 및 영혼을 나타내는 외적 형상∥(2) 영화이미지와 상 2. 얼굴과 클로즈업 (1) 영화 속 얼굴: 이중적, 다성적 언어∥(2) 클로즈업 및 클로즈업된 얼굴: 부분이자 전체, 자율적 전체∥(3) 클로즈업: 시각적 무의식성 및 미세표정법 3. 가시적 언어 및 신체언어로서의 영화이미지 (1) 가시적 언어로서의 영화이미지∥(2) 신체언어로서의 영화이미지 결절 제6장 영화이미지의 이중성과 초현실성: 모랭 1. 영화이미지의 이중성 (1) 물질적 이미지이자 정신적 이미지∥(2) 객관적 이미지이자 주관적 이미지∥(3) 분신으로서의 영화이미지 2. 영화 이미지의 몽환성, 마법성, 초현실성 (1) 몽환적 세계 또는 마법적 세계∥(2) 영화이미지의 초현실성 결절 제7장 지각이자 정신, 실재이자 형상으로서의 영화이미지: 미트리 1. 지각이미지, 실재이미지, 정신이미지 (1) 이미지란 무엇인가?∥(2) 지각이미지와 정신이미지∥(3) 실재이미지와 정신이미지 2. 실존-본질, 실재-형상으로서의 영화이미지 (1) 실존이자 본질로서의 영화이미지∥(2) 실재이자 형상으로서의 영화이미지 3. 언어기호로서의 영화이미지 (1) 언어기호로서의 영화이미지∥(2) 영화 언어체계와 일반 언어체계의 차이∥(3) 재현의 기호에서 의미작용의 기호로 결절 제3부 이미지-기호: 메츠&파솔리니&바르트 제8장 언어기호로서의 영화: 메츠 1. 랑가주로서의 영화 (1) 메츠 영화기호학의 전개과정∥(2) 영화: 랑그 없는 랑가주 2. 영화이미지의 복합적 의미작용 (1) 영화에서의 외연과 내포∥(2) 파롤로서의 영화이미지∥(3) 이미지기호: 도상적 유사성을 넘어 일반 기호로 3. 영화에서의 약호화, 그리고 랑그로서의 영화 (1) 약호화 층위들∥(2) 영화적 약호들의 분류 결절 제9장 영화, 이미지기호로 이루어진 시적 언어: 파솔리니 1. 영화언어 (1) 영화와 이중분절∥(2) 영화: 현실로 쓰인 언어, 현실이라는 ‘말’에 대한 ‘글’∥(3) 시네마와 필름, 무한 시퀀스숏과 몽타주 2. 이미지기호와 시적 영화 (1) 이미지기호란 무엇인가?∥(2) 자유간접주관적 시점∥(3) 시적 영화 결절 제10장 영화이미지와 기호적/탈-기호적 요소들―무딘 의미에서 환유적 확장성으로: 바르트 1. 내포 및 순수 외연으로서의 이미지 (1) 내포적 메시지로서의 사진이미지∥(2) 순수 외연적 메시지로서의 사진이미지 2. 무딘 의미와 영화적인 것 (1) 제3의 의미 또는 무딘 의미∥(2) 잉여 또는 일탈로서의 무딘 의미∥(3) 무딘 의미와 영화적인 것 3. 영화와 환유적 확장성 (1) 사진이미지와 환유적 확장성: 푼크툼과 절대 유사성∥(2) 영화이미지와 환유적 확장성: 몽타주와 프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