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단고기>는 <부도지>와 더불어 우리 고대사 연구의 쌍벽을 이루는 최고의 사료이다. <부도지>는 1만4천 년 전 파미르고원을 발원지로 펼쳐졌던 한민족의 상고 문화를 다루고 있는데, 단군시대와 단군 이전의 한웅시대, 그 이전의 한인시대, 그 이전의 마고성시대의 역사를 담았다. <한단고기>는 한국, 배달, 조선, 부여, 고구려, 발해, 고려 등의 활동상은 물론 정치, 철학, 종교, 문학, 문자, 음악, 고고학, 민속학 등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의 뿌리와 인류 문화의 근원을 밝힌 책이다. 주로 발해의 전적을 근거로 한 이 책은 고려 말엽의 충신 행촌杏村 이암이 편집하고 저술한 <단군세기>와, 조선 중종 때에 찬수관을 지낸 일십당 이맥이 지은 <태백일사>를 운초 계연수가 1898년에 모아서 편집하고 저술한 후, 거기에 다시 1911년에 신라 사람 안함로의 <삼성기>와 고려사람 원동중의 <삼성기> 그리고 범장의 <북부여기> 상.하 및 '가섭원부여기'를 합편한, 모두 5권으로 된 책이다. 한민족의 정신을 말살코자 했던 일제의 마수를 피하기 위해 옹기그릇에 담아 땅속에 매장했다가 1948년에 필사본 초판이, 1979년에 재판이 출간되었다. 이 책의 저본은 1979년 판을 사용했으며, <부도지>의 역자이기도 한 김은수 선생이 1985년 가나출판사에서 출간했다가 절판된 책을 복간한 것이다.
기억의 문 열어볼까요?
코고나다감독 판타지 감성 시네마
빅 볼드 뷰티풀 · AD
기억의 문 열어볼까요?
코고나다감독 판타지 감성 시네마
빅 볼드 뷰티풀 · AD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