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멘터리

폴 워드
218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코멘트

3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

목차

옮긴이의 말 감사의 말 머리말 1 다큐멘터리의 정의 2 허구와 비허구의 구분 3 역사 다큐멘터리의 변화 4 코미디와 손잡은 다큐멘터리 5 애니메이션과 다큐멘터리의 재현 맺음말: 다큐멘터리의 미래 참고문헌 찾아보기

출판사 제공 책 소개

[터칭 더 보이드], [프리드먼가 사람들 포착하기], 닉 브룸필드의 작품 등을 논의하면서 현재 다큐멘터리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성장을 보이고 있는 영역을 소개한다. 다큐멘터리와 드라마 간의 관계, 특히 재구성과 재연에 대한 통념 그리고 이 형식들의 정의와 이해를 탐구한다.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코미디와 다큐멘터리의 만남, 역사적 사건을 재현하는 다큐멘터리도 검토한다. [책의 특징] 이 책은 일반적인 다큐멘터리 개론서와 달리 역사적 접근이나 정전을 중심으로 한 기술 방법을 거부하고, 부제에서도 밝히고 있듯이 ‘가장자리(the margins)’의 경향과 양식을 주로 탐구한다. 그렇다고 저자가 주변부 작품을 찬양하거나 숨겨진 텍스트를 발굴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 책은 최근 다큐멘터리에서 가장 역동적이고 논쟁적인 양상을 보이며 주목을 받고 있는 양식들을 주로 탐구하고 있다. 저자도 분명히 밝히고 있듯이 ‘가장자리’의 양식이 도전하고 있는 다큐멘터리 양식은 다이렉트 시네마로 대표되는 관찰자적 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현실을 있는 그대로 포착할 수 있다는 믿음은 오랫동안 다큐멘터리에 대한 상식적인 통념에 큰 영향을 미쳐왔으며, 다이렉트 시네마가 다큐멘터리 일반으로 가정되면서 다큐멘터리의 양식의 다양한 존재가능성을 억압해 온 일면이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새롭고 흥미로운 양식들이 활발히 제작되고 있다. 드라마, 재구성/재연, 코미디, 애니메이션이 양식이자 전략으로서의 다큐멘터리와 인터페이스되는 공간이 바로 그러한 양식들이 발생되는 영역이다. 이 새로운 경향들은 다큐멘터리에서 리얼리티의 가능성을 끝까지 밀어붙이면서 다큐멘터리란 무엇인가를 현재 시점에서 재사유하고 재정의하게 만든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이제 막 다큐멘터리에 흥미를 갖기 시작한 독자와 다큐멘터리 역사를 숙지하고 있는 독자 모두에게 매우 유용하며 시의적절한 다큐멘터리 개론서라고 할 수 있다. ★ 숏 컷 시리즈(THE SHORT CUTS SERIES) 영화의 장르, 개념, 역사와 영화 운동, 테크놀로지를 포함한 영화 연구의 모든 영역을 다루는 종합적인 입문서. 역사·문화의 맥락 안에서 동시대의 쟁점을 간결하게 짚어 내고, 사례를 폭넓게 활용한 것이 특징이다. 1. 아방가르드 영화: 다양한 형식과 주제, 열정의 발견 영화의 최전선에선 어떤 일이 벌어졌고 벌어지고 있는가? 1920년대 유럽을 휩쓴 모더니즘 운동부터 소비에트 영화와 미국 언더그라운드 시네마, 프랑스 뉴 웨이브, 구조주의와 영국 청년 예술가의 영상설치까지 실험적인 영화 제작의 발전 과정을 담았다. 마이클 오프레이 지음, 양민수·장민용 옮김 2. 호러 영화: 매혹과 저항의 역사 영화보다 더 무섭고 끔찍한 현실 속에서도 공포영화는 살아남았다. [사이코], [피핑 톰], [살아 있는 시체들의 밤], [나이트메어], [드라큘라] 등 다양한 사례를 제시했다. 공포영화의 역사, 이론, 현실이 깔끔하게 요약되었다. 폴 웰스 지음, 손희정 옮김 3. 여성영화: 경계를 가로지르는 스크린 장르도 아니고 운동도 아니다. 여성영화, 그 악명 높은 개념에 대한 안내서. 할리우드 영화나 실험영화에서 여성영화 감독이 직면한 한계와 도전은 무엇인지, 전 지구화 시대에 여성영화의 위치는 어디인지 논의한다. 앨리슨 버틀러 지음, 김선아·조혜영 옮김 4. 멜로드라마: 장르, 스타일, 감수성 3개의 전혀 다르지만 연관된 개념으로 멜로드라마에 접근한다. 초기 유럽 극장에서 발생한 하나의 장르로, 더글러스 서크에 의해 전형화된 영화 스타일로, 그리고 관객의 욕망과 불안을 반영하는 감수성으로 멜로드라마를 이해한다. 존 머서·마틴 싱글러 지음, 변재란 옮김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2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