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AWS를 이용한 운영 서버 환경 구축
▣ 01장: 운영 서버와 AWS 소개
1.1 운영 서버
1.2 운영 서버 관리의 세 단계
1.3 AWS
__1.3.1 AWS의 탄생 배경
__1.3.2 운영 서버에 필요한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AWS
__1.3.3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로서의 AWS
__1.3.4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을 써야 하는 이유
__1.3.5 전 세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AWS
__1.3.6 회원 가입
__1.3.7 무료로 AWS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
▣ 02장: 운영 서버 환경의 구성
2.1 운영 서버 아키텍처의 이해
__2.1.1 단일 서버
__2.1.2 애플리케이션/데이터베이스 서버 분리
__2.1.3 서버 단위의 로드 밸런서
__2.1.4 서버 내 앱 단위의 로드 밸런서
2.2 AWS EC2를 이용한 서버 인스턴스 생성과 관리
__2.2.1 EC2
__2.2.2 EC2를 생성하려면 꼭 알아야 하는 개념
__2.2.3 [실습] AWS EC2 인스턴스 생성
__2.2.4 [실습] 샘플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위한 서버 환경 구성
2.3 소스코드 배포
__2.3.1 Git을 이용한 소스코드 배포
__2.3.2 [실습] Git으로 EC2 인스턴스에 코드 배포하기
2.4 웹 서버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__2.4.1 웹 서버
__2.4.2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__2.4.3 웹 서버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사용
__2.4.4 클라이언트의 요청 이동 경로
__2.4.5 nginx, Phusion Passenger
__2.4.6 [실습] nginx, Phusion Passenger 설치 및 서비스
__2.4.7 [실습] nginx, Phusion Passenger 서비스 명령어 추가
__2.4.8 [실습] 시스템 시작 시 자동 시작 서비스에 등록
__2.4.9 [실습] 하나의 서버에서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하기
2.5 정리
▣ 03장: 다중 서버 환경 구성
3.1 AWS Auto Scaling 그룹을 이용한 다중 서버 구성
__3.1.1 AWS Auto Scaling 그룹
__3.1.2 AWS Auto Scaling 그룹의 응용 예
__3.1.3 AWS Auto Scaling 그룹의 구성
__3.1.4 [실습] Auto Scaling 그룹 생성
__3.1.5 Auto Scaling 그룹 화면 구성
__3.1.6 [실습] Auto Scaling을 통한 인스턴스 자동 추가, 제거
__3.1.7 Auto Scaling 그룹 개념 정리
3.2 AWS Elastic Load Balancing을 이용한 서버 트래픽 분산 관리
__3.2.1 Elastic Load Balancing
__3.2.2 대상 그룹
__3.2.3 로드 밸런서의 상태 검사
__3.2.4 [실습] Auto Scaling 그룹, 대상 그룹, 로드 밸런서 구성
3.3 장애 조치 아키텍처 구성
__3.3.1 Auto Scaling 그룹을 이용한 장애 조치
__3.3.2 [실습] Auto Scaling 그룹과 로드 밸런서를 통한 장애 조치
3.4 정리
▣ 04장: 운영 서버의 외부 환경 구성
4.1 도메인, DNS
4.1.1 도메인
__4.1.2 [실습] AWS Route 53을 이용한 도메인 등록
__4.1.3 [실습] 로드 밸런서에 도메인 등록
4.2 SSL/TLS, HTTPS
__4.2.1 SSL/TLS 인증서, HTTPS 동작 방식
__4.2.2 SSL/TLS 인증서의 가격
__4.2.3 SSL/TLS 인증서 설치 방법
__4.2.4 [실습] AWS Certificate Manager를 통한 SSL/TLS 인증서 등록
4.3 정리
▣ 05장: 배포 과정
5.1 배포 관련 용어
__5.1.1 무중단/중단 배포
__5.1.2 현재 위치 배포
__5.1.3 서버 단위의 블루/그린 배포
__5.1.4 서버 내 블루/그린 배포
5.2 블루/그린 배포
__5.2.1 배포에 필요한 절차
__5.2.2 [실습] 블루/그린 배포
5.3 정리
▣ 06장: 배포 자동화
6.1 AWS IAM
__6.1.1 IAM 설명
__6.1.2 용어
6.2 AWS CodeDeploy
__6.2.1 CodeDeploy 설명
__6.2.2 CodeDeploy 작동 절차
__6.2.3 CodeDeploy 구성 요소
__6.2.4 [실습] CodeDeploy로 현재 위치 배포 진행하기
__6.2.5 기타
6.3 정리
▣ 07장: 비밀 값 관리
7.1 비밀 값
__7.1.1 비밀 값 관리 원칙
7.2 관리 방법
__7.2.1 배포 자동화 툴
__7.2.2 Blackbox
__7.2.3 Vault
__7.2.4 AWS Secrets Manager
__7.2.5 [실습] Secrets Manager 사용법
__7.2.6 AWS Systems Manager의 파라미터 스토어
__7.2.7 어떤 방법을 쓸 것인가?
7.3 정리
▣ 08장: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활용
8.1 모니터링의 목적과 영역
8.2 AWS CloudWatch
__8.2.1 AWS CloudWatch 설명
__8.2.2 CloudWatch 지표
__8.2.3 [실습] CloudWatch에 사용자 지정 지표 기록
__8.2.4 [실습] CloudWatch Agent로 메모리, 디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