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유라는 이름의 폭력』(부제: 근현대 한국에서 장애?젠더?성의 재활과 정치)은 장애와 질병이 있는 몸의 현존을 부정하고 반드시 재활하고 극복해야 할 ‘치유’의 대상으로 여기며 폭력적으로 서사화해 온 한국의 역사, 정책, 제도, 문화 텍스트 등을 비판적으로 분석한 책이다. 미국 시러큐스대학교 여성/젠더학과와 장애학 프로그램 부교수 김은정의 저서로, 2017년 미국에서 출간된 이후 여성학, 장애학, 한국학 등 학계의 주목을 받았고, 2017 전미여성학학회 앨리슨 피프마이어상, 2019 미국 아시아학학회 제임스 B. 팔레이즈상을 수상하며 평단의 찬사를 받았다.
이 책은 근현대 한국에서 장애를 다룬 소설, 영화, 신문 기사, 정책 문건, 활동가의 글 등을 텍스트 삼아 ‘치유’를 명분으로 장애와 질병을 가진 사람/삶을 파괴하는 ‘폭력’을 들여다보고 사회적·정치적 맥락 안에서 분석함으로써, 장애와 질병에 관한 사회적 경험과 문화적 재현의 다른 상상력을 제안한다. 「심청전」, 「노처녀가」, 「백치 아다다」, 「저기 소리 없이 한 점 꽃잎이 지고」, 『당신들의 천국』, <만종>, <꽃잎>, <팬지와 담쟁이>, <수취인불명>, <오아시스>, <핑크 팰리스> 등 고전에서 현대까지의 서사와 기념우표, 광고, 사진 등의 시각적 이미지를 망라해 여성주의 장애학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장애학적 문화 비평의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한다. 조혜영 영화평론가는 이 책이 장애학뿐 아니라 문학, 영화, 드라마 등 서사와 관련된 활동과 연구를 하는 사람을 위한 필독서라고 권한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한국 사회의 국가주의가 장애의 문화적 재현, 관련 정책, 사회운동과 어떻게 만나는지를, 저자 특유의 정교한 논리와 세심한 언어로 살필 수 있다.
-----
“이 책은 과거와 미래 사이, 타자성과 정상성 사이, 치유 전과 후에 존재하는 장애를 주목한다. 이 중간 지대에서 치유와 장애는 과정으로서 공존한다. 나는 역사적이고 초국가적인 맥락에서, 한국의 문화적 재현에서 장애와 치유가 어떻게 봉합되고 있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이 접점에서 치유라는 이름으로 가려지는 폭력이 중요한 주제로 떠오른다. 장애화된 몸은 접힌 시간 속에서 다층적으로 구성된 타자성과 정상성의 경계로 이뤄진 지형 안에서 시각화되고 서사화된다.” (30쪽)
“저자의 장애학적 독해는 ‘접힌 시간’을 펼쳐 내 은유로서의 장애를 비판할 뿐만 아니라, 그 이야기를 살아 낸 장애의 신체성과 물질성을 감각하게 하고, 거래하고 협상하는 장애의 행위성을 인식하게 한다. 특히 이 책의 장애학적 비평이 빛나는 순간은 장애학이, 정상성과 규범성을 질문하는 페미니즘, 퀴어, 탈식민적 관점과 교차할 때다.” (조혜영, 추천의 글)
치유의 이름으로 일어나는 폭력
정치적 개념으로서 ‘치유’
이 책에서 ‘치유’는 정신적·기능적·신체구조적 정상성을 갖게 되어 장애가 없어지고 아픈 몸에서 건강한 상태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정상성과 건강의 범주는 유동적이기에, 치유가 되더라도 병력 때문에 낙인이 지속되거나 사회적 치유에 도달하지 못해 소수자로 남을 수 있고, 장애와 질병이 그대로이더라도 계급과 성별에 따라 더는 장애인이 아니라고 간주될 수도 있다. 정상성과 건강의 범주는 장애와 질병의 정의뿐 아니라 치유의 정의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치유는 도덕적인 당위가 아닌 정치적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11쪽). 김은정은 한국어판 서문에서 치유가 “정상과 건강의 테두리를 만들어 내는 행위”이고 “추방된 몸들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포섭함으로써 경계를 강화시키는 과정”(10쪽)이라고 설명한다. 또 장애와 질병을 당연히 없애야 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장애와 질병을 가진 사람을 파괴하는 폭력을 정당화하는 사회에 대한 비판적 견지를 밝히며 ‘치유 폭력’이라는 말을 사용한다. 치유 폭력은 장애와 질병에 대한 직접적인 폭력으로 나타날 수도 있고, 장애와 질병이 가진 차이를 없앰으로써 발휘될 수도 있다. 치유는 당위성이 강조될수록 개인이 아니라 가족·사회·국가 공동체를 위한 것이 된다. 이때 개인은 얻게 될 보상과 치러야 할 대가를 고려해 협상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공동체를 위해 죽음의 가능성을 감수하기도 한다(10쪽).
-----
“나는 타자를 소위 나아지게 해줄 것이라는 명목으로 타자가 지닌 차이를 지우려는 힘의 행사를 묘사하기 위해서 ‘치유 폭력’(curative violence)이라는 말을 사용한다. 치유 폭력은 치유가 장애의 존재 자체를 문제로 규정하고 치유 과정에서 그 대상을 파괴할 때 일어난다. …… 치유와 관련된 폭력은 두 가지 차원에서 존재한다. 첫째, 장애와 질병을 삶의 다른 방식으로 보는 여지를 없애는 폭력이다. 둘째, 치유의 이름으로 정당화하며 장애인들에게 신체적?물리적으로 가하는 폭력이다.” (38쪽)
과거와 미래 사이에 사라진 현재
‘접힌 시간’을 펼쳐 내기
2005년 7월 31일 방영된 KBS <열린음악회>에는 가수 강원래와 과학자 황우석이 출연했다. 척수 장애가 있는 강원래가 휠체어를 타고 무대에 나와 춤춘 뒤, 과학기술부 장관과 함께 무대에 오른 황우석은 자신의 연구에 성원해 달라고 당부하며 강원래를 “벌떡 일으켜” 그가 과거처럼 “날렵한” 춤을 추는 걸 다시 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강원래는 같은 해 발표한 뮤직비디오에서 대역 배우와 특수 효과를 동원해 ‘일어나’ 춤추는 ‘과거’의 자기 모습을 재현했는데, 언론은 치료된 ‘미래’에 초점을 맞춰 그가 “휠체어에서 일어났다”고 보도했다. 황우석은 자신의 연구가 ‘국익’에 도움이 된다면서 강원래처럼 사고로 척수가 손상된 미국 배우 크리스토퍼 리브(<슈퍼맨>의 주연배우)의 연락을 받았다고 했는데, 리브 역시 2000년 미국 투자사 뉴빈(Nuveen)의 광고에 ‘치유’된 모습으로 나온 적이 있다. 가까운 미래의 장애 관련 행사를 그린 이 광고에서 카메라가 의자에서 ‘일어서서’ 걸어오는 한 남성의 하반신과 발, 전신을 차례로 비춘다(전신이 나오고 나서야 시청자들은 리브를 알아본다). 광고 속 진행자가 리브를 악수로 맞이하면 관객들이 ‘일어서서’ 박수를 보낸다. 리브의 머리가 다른 몸과 합성돼 있기에 ‘뭔가 달라 보였음에도’ 이 광고는 ‘너무 진짜처럼 보였기 때문에’ 시청자들을 호도하는 결과를 가져왔다(여러 시청자가 리브의 치유에 대해 문의했다). 한편 황우석의 치료용 배아 복제 연구는 연구 조작 등이 드러난 뒤에도 정부 지원과 국제적 관심을 받았다.
김은정은 강원래, 황우석, 크리스토퍼 리브를 둘러싼 이런 치유의 논리를 ‘접힌 시간’이라는 시간성으로 설명한다. 접힌 시간은 “정상적인 과거로 현재를 대신하고 …… 정상적인 미래를 현재에 투영시킴으로써 현재를 사라지게” 만든다(23쪽). 장애를 갖기 이전의 과거와 치료된 미래만이 의미를 갖는 것이다. 이는 장애인이 사회로 ‘복귀’하려면 먼저 치유되어야만 한다는 사회적 명령을 강화하고, 여기에 담긴 비장애 중심적 전제를 유지시킨다. 이런 사회에서는 치유가 폭력의 명분이 된다. 장애와 질병을 삶의 다른 방식으로 보는 여지를 없애고, 치유의 이름으로 폭력을 가하는 것을 정당화한다. “치유만이 유일한 길이라고 강조하는 것은 …… 치유가 항상 뭔가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지만, 이와 동시에 뭔가를 불가능하게도 할 수 있는 다면적인 협상 과정이며 고통이나 상실, 죽음을 초래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가려”(27쪽) 버린다.
-----
“과연 우리는 장애가 있는 몸을 과거의 몸이나 앞으로 되어야 할 미래의 몸이 아닌 현재 상태 그 자체로 볼 수 있을까? 무엇이 장애를 가진 현재의 삶을 가능하게 하거나 불가능하게 하는가, 혹은 그 중간의 무언가로 만드는가? ‘괜찮았던’ 과거를 향한 향수나 ‘더 나은’ 미래에 대한 희망을 장애가 있는 몸에 투영하면서 과거와 미래에만 주목하기 때문에, 몸의 역사와 함께, 그리고 나이든 후의 미래와 함께 현재에 머무르기 힘들다는 것이 접힌 시간 속에 살아가는 삶의 특징이다.” (358쪽)
장애와 질병이 있는 삶을 손실된 시간으로 보는 가정
멈출 수 없는 훈련과 재활<B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